본문으로 이동

후쿠오카 지하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불필요함. 나중에 [후쿠오카 시 교통국]에 옮길 예정임.
잔글 문서는 두시고 토론에서 의견을 남긴다음 조율을 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도시 철도 체계
#넘겨주기 [[후쿠오카 시 교통국]]
|체계명 = 후쿠오카 시 지하철
|체계명2 =
|그림 = Fukuokasubway2000.jpg
|그림설명 = 2000 시리즈 차량
|그림2 = Fukuoka city subway map JA.png
|그림설명2 = 전체 노선도
|종류 = [[도시 철도]]
|나라 = {{JPN}}
|상태 = 운행중
|노선 수 = 3
|역수 = 35
|개통일 = [[1981년]]
|폐지일 =
|소유자 =
|운영자 = [[후쿠오카 시 교통국]]
|영업거리 = 29.8
|실거리 =
|시설연장 =
|궤간 = 1,067 mm / 1,435 mm
|선로 =
|전철화 =
|신호 =
|영업최고속도 =
|설계최고속도 =
|주석 =
}}
[[file:Fukuokasubway3000.jpg|thumb|250px|나나쿠마선 3000 시리즈 차량]]
[[file:Fukuoka fcard.jpg|thumb|250px|F-카드(전면)]]
'''후쿠오카 지하철'''({{llang|ja|福岡市地下鉄}})은 [[일본]]의 [[후쿠오카 시]]의 도심을 운행하는 [[지하철]]이다. '''후쿠오카 시 교통국'''({{llang|ja|福岡市交通局, ふくおかしこうつうきょく}})이 운영한다.

[[신칸센]]을 타고 후쿠오카에 온 관광객들은 JR의 하카타 역에 내려, 지하에 있는 하카타 지하철 역으로 환승할 수 있다. [[후쿠오카 공항]]도 지하철과 연결되어 있는데, 이 지하철로 공항과 후쿠오카 시내를 오가는 시간이 10분 이내로 단축되었고, 세계에서 가장 접근이 용이한 공항들 중에 하나가 되었다.

== 노선 ==
* [[후쿠오카 지하철 공항선|공항선]]({{llang|ja|空港線, くうこうせん}})
* [[후쿠오카 지하철 하코자키 선|하코자키선]]({{llang|ja|箱崎線, はこざきせん}})
* [[후쿠오카 지하철 나나쿠마 선|나나쿠마선]]({{llang|ja|七隈線, ななくません}})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
|-
!style="width:1.1em"|색
!노선번호
!노선명
!구간
!길이(km)
!개통일
!역수
|-
|style="background:#e51;"| 
|style="text-align:center"|1호선
|[[후쿠오카 지하철 공항선|공항선]]
|[[메이노하마 역|姪浜駅]] - [[덴진 역|天神駅]] - [[나카스카와바타 역|中洲川端駅]] - [[하카타 역|博多駅]] - [[후쿠오카 공항역|福岡空港駅]]
|style="text-align:right"|13.1
|[[1981년]]
|13
|-
|style="background:#07c;"| 
|style="text-align:center"|2 호선
|[[후쿠오카 지하철 하코자키 선|하코자키선]]
|[[中洲川端駅]] - [[貝塚駅 (福岡県)|貝塚駅]]
|style="text-align:right"|4.7
|[[1982년]]
|7
|-
|style="background:#0a4;"| 
|style="text-align:center"|3 호선
|[[후쿠오카 지하철 나나쿠마 선|나나쿠마선]]
|[[橋本駅 (福岡県)|橋本駅]] - [[福大前駅]] - [[薬院駅]] - [[天神南駅]]
|style="text-align:right"|12.0
|[[2005년]]
|16
|}

===상호 직통 운행구간===
공항선에서는 지하철 차량은 JR규슈 지쿠히선의 [[치쿠젠 후카에 역]]까지 노선 연장한다. JR의 차량은 [[니시카라츠 역]]에서 [[후쿠오카 쿠코우 역]]까지 직통 운행하고 있다. 지하철 차량 및 [[JR규슈]] 303계 차량은 지하철 선내 모두 ATO에 의한 원맨 운전을 실시해, JR과의 경계역이 되는 [[메이노하마 역]]에서 JR선에 들어가는 열차는 지하철, JR의 차량 모두 JR의 차장이 승무해 JR선 내는 투맨 운전을 실시한다. 다만 예외적으로 JR규슈 103계 1500 접수대 차량으로 운행을 할 때는 지하철 선내에서 만나도 후쿠오카시 교통국의 승무원이 메이노하마 역에서 JR의 차장과 교대해 차장 업무를 실시해, ATC에 의한 투 맨 운전을 실시한다.

하코자키 선에서는 아침, 오후 러쉬아워에 공항선의 메이노하마 역까지, 주중은 니시신역까지 직통 운전하고 있다. 아일랜드 시티의 철도노선 정비가 사실상 동결된 것 등과 관련하여, 니시테츠 카이주카 선과의 상호 직통운전이 검토되고 있지만, 아직도 계획을 확정짓지 못하였다.

===연장 계획===
나나쿠마 선에서는 전체 계획으로서 [[덴진미나미 역]]에서 [[나카스카와바타 역]]을 거쳐 축항 방면을 연결할 계획과 와타나베도리 1가 부근에서 분기해 스미요시 거리를 경유하여 하카타 역까지 노선을 연장할 계획이다. 또 덴진 남역에서 [[캐널시티 하카타]] 부근을 경유해 하카타 역까지 노선을 연장할 계획도 검토하고 있다.

===심벌 마크===
후쿠오카 시영 지하철 각 선에서는 역번호 제도 대신에 각 역의 역명이나 역주변의 관광지나 명물, 자연 등과 연관된 심볼마크가 제정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덴진역의 심벌 마크는 지명의 유래가 된 《덴진(天神様)》과 관련된 [[스가와라 미치자네]]가 사랑한 매화를 모티프로 했고, 덴진 남역에서는 토리얀세(通りゃんせ)를 하는 아이를 그리고 있다.

===안전대책===
승객이 플랫폼에서 선로에 떨어지거나 뛰어 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홈 도어(방호책)를 지하철 전역에 설치하고 있다. 공항선은 2004년, 하코자키선은 2005년 말에 전역에 설치를 완료했고, 나나쿠마선은 2005년의 개통 시부터 전역 설치가 되었다. 지하철 차량이 역에 오면, 차량문과 홈 도어가 개폐되고, 승객은 승강을 할 수 있다. 홈 도어는, ATO를 탑재하고 있는 후쿠오카 시 교통국의 차량과 JR 규슈의 303 시리즈는 차량문과 연동해 개폐하지만, JR규슈 103 시리즈, 1500 접수대는 차장의 버튼조작에 의해 개폐된다(버튼은 방호책 선로 측의 승무원실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 차량==
* [[1000 시리즈]] ([[후쿠오카 공항선|공항선]], [[하코자키 선|하코자키선]])
* [[2000 시리즈]] (공항선, 하코자키선)
* [[3000 시리즈]] ([[나나쿠마 선]])

==운임==
성인 보통 여객운임은 여행한 거리에 따라 결정(¥200-360)되며, 한 역을 이동하는 기본 요금은 ¥200이다. 승차권은 각 역의 자동판매기에서 구매를 할 수 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구간수!! 거리(km) !!운임(엔)
|-
|1 구간|| 1 - 3 || 200
|-
|2 구간|| 4 - 7 ||250
|-
|3 구간|| 8 - 11 ||290
|-
|4 구간|| 12 - 14 ||320
|-
|5 구간|| 15 - 18 ||340
|-
|6 구간|| 19 - 20 ||360
|}

* [[덴진 역]], [[덴진미나미 역]]에서 [[후쿠오카 지하철 공항선|공항선]], [[하코자키 선]]과 [[나나쿠마 선]]을 갈아타는 경우 운임은 승차 거리를 통산해 산출할 수 있다.
* 공항선과 JR지쿠히선, 하코자키선과 니시테츠 카이주카 선과의 사이에는 승계할인이 설정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공항선, 하코자키선의 승계운임의 항목 또는 각사국의 공식 홈페이지 등을 참조.
* [[덴진미나미 역]]에서 공항선, 하코자키선의 승차권 또는 덴진역에서 나나쿠마선의 승차권은 구입할 수 없다.
* [[JR규슈]], [[후쿠오카 지하철]] 공통선불카드 〈와글와글 카드〉(ワイワイカード)이용 시는 지하철 선내의 운임이 20엔 할인 된다.

=== IC 카드 ===
[[2009년]] [[3월 7일]]부터 IC카드 승차권 《[[하야카켄]]》(はやかけん)을 도입하고 있다.

[[규슈여객철도]](JR큐슈)가 [[2009년]] [[3월 1일]]부터 도입한 IC카드 〈SUGOCA〉외, [[서일본철도]]가 2008년 5월 18일에 도입한 IC카드 〈nimoca〉 및, [[동일본여객철도]](JR동일본)가 도입하고 있는 IC카드 《SUICA》와 호환시키기 위해 [[2008년]] 2월 「큐슈 IC승차권, 《전자화폐 상호 이용에 관한 협의회》를 발족시켜, 2010년 봄의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협의 중에 있다.

== 같이 보기 ==
* [[세계 각국의 도시 철도]]
* [[일본의 철도사업자]]

== 바깥 고리 ==
*{{언어고리|ja}} [http://subway.city.fukuoka.jp/index.html 공식 홈페이지]

{{후쿠오카 지하철 공항선}}
{{하코자키 선}}
[[분류:후쿠오카 시]]
[[분류:일본의 지하철]]

[[de:U-Bahn Fukuoka]]
[[en:Fukuoka City Subway]]
[[fi:Fukuokan metro]]
[[fr:Métro de Fukuoka]]
[[ja:福岡市交通局]]
[[pt:Metro de Fukuoka]]
[[ru:Фукуокский метрополитен]]
[[zh:福岡市交通局]]

2009년 4월 6일 (월) 03:16 판

후쿠오카 시 지하철
2000 시리즈 차량
2000 시리즈 차량
전체 노선도
전체 노선도
정보
종류 도시 철도
국가 일본의 기 일본
상태 운행중
노선 수 3
역 수 35
궤간 1,067 mm / 1,435 mm
운영
개통일 1981년
운영자 후쿠오카 시 교통국
시설
총 영업거리 29.8
나나쿠마선 3000 시리즈 차량
파일:Fukuoka fcard.jpg
F-카드(전면)

후쿠오카 지하철(일본어: 福岡市地下鉄)은 일본후쿠오카 시의 도심을 운행하는 지하철이다. 후쿠오카 시 교통국(일본어: 福岡市交通局, ふくおかしこうつうきょく)이 운영한다.

신칸센을 타고 후쿠오카에 온 관광객들은 JR의 하카타 역에 내려, 지하에 있는 하카타 지하철 역으로 환승할 수 있다. 후쿠오카 공항도 지하철과 연결되어 있는데, 이 지하철로 공항과 후쿠오카 시내를 오가는 시간이 10분 이내로 단축되었고, 세계에서 가장 접근이 용이한 공항들 중에 하나가 되었다.

노선

노선번호 노선명 구간 길이(km) 개통일 역수
  1호선 공항선 姪浜駅 - 天神駅 - 中洲川端駅 - 博多駅 - 福岡空港駅 13.1 1981년 13
  2 호선 하코자키선 中洲川端駅 - 貝塚駅 4.7 1982년 7
  3 호선 나나쿠마선 橋本駅 - 福大前駅 - 薬院駅 - 天神南駅 12.0 2005년 16

상호 직통 운행구간

공항선에서는 지하철 차량은 JR규슈 지쿠히선의 치쿠젠 후카에 역까지 노선 연장한다. JR의 차량은 니시카라츠 역에서 후쿠오카 쿠코우 역까지 직통 운행하고 있다. 지하철 차량 및 JR규슈 303계 차량은 지하철 선내 모두 ATO에 의한 원맨 운전을 실시해, JR과의 경계역이 되는 메이노하마 역에서 JR선에 들어가는 열차는 지하철, JR의 차량 모두 JR의 차장이 승무해 JR선 내는 투맨 운전을 실시한다. 다만 예외적으로 JR규슈 103계 1500 접수대 차량으로 운행을 할 때는 지하철 선내에서 만나도 후쿠오카시 교통국의 승무원이 메이노하마 역에서 JR의 차장과 교대해 차장 업무를 실시해, ATC에 의한 투 맨 운전을 실시한다.

하코자키 선에서는 아침, 오후 러쉬아워에 공항선의 메이노하마 역까지, 주중은 니시신역까지 직통 운전하고 있다. 아일랜드 시티의 철도노선 정비가 사실상 동결된 것 등과 관련하여, 니시테츠 카이주카 선과의 상호 직통운전이 검토되고 있지만, 아직도 계획을 확정짓지 못하였다.

연장 계획

나나쿠마 선에서는 전체 계획으로서 덴진미나미 역에서 나카스카와바타 역을 거쳐 축항 방면을 연결할 계획과 와타나베도리 1가 부근에서 분기해 스미요시 거리를 경유하여 하카타 역까지 노선을 연장할 계획이다. 또 덴진 남역에서 캐널시티 하카타 부근을 경유해 하카타 역까지 노선을 연장할 계획도 검토하고 있다.

심벌 마크

후쿠오카 시영 지하철 각 선에서는 역번호 제도 대신에 각 역의 역명이나 역주변의 관광지나 명물, 자연 등과 연관된 심볼마크가 제정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덴진역의 심벌 마크는 지명의 유래가 된 《덴진(天神様)》과 관련된 스가와라 미치자네가 사랑한 매화를 모티프로 했고, 덴진 남역에서는 토리얀세(通りゃんせ)를 하는 아이를 그리고 있다.

안전대책

승객이 플랫폼에서 선로에 떨어지거나 뛰어 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홈 도어(방호책)를 지하철 전역에 설치하고 있다. 공항선은 2004년, 하코자키선은 2005년 말에 전역에 설치를 완료했고, 나나쿠마선은 2005년의 개통 시부터 전역 설치가 되었다. 지하철 차량이 역에 오면, 차량문과 홈 도어가 개폐되고, 승객은 승강을 할 수 있다. 홈 도어는, ATO를 탑재하고 있는 후쿠오카 시 교통국의 차량과 JR 규슈의 303 시리즈는 차량문과 연동해 개폐하지만, JR규슈 103 시리즈, 1500 접수대는 차장의 버튼조작에 의해 개폐된다(버튼은 방호책 선로 측의 승무원실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차량

운임

성인 보통 여객운임은 여행한 거리에 따라 결정(¥200-360)되며, 한 역을 이동하는 기본 요금은 ¥200이다. 승차권은 각 역의 자동판매기에서 구매를 할 수 있다.

구간수 거리(km) 운임(엔)
1 구간 1 - 3 200
2 구간 4 - 7 250
3 구간 8 - 11 290
4 구간 12 - 14 320
5 구간 15 - 18 340
6 구간 19 - 20 360
  • 덴진 역, 덴진미나미 역에서 공항선, 하코자키 선나나쿠마 선을 갈아타는 경우 운임은 승차 거리를 통산해 산출할 수 있다.
  • 공항선과 JR지쿠히선, 하코자키선과 니시테츠 카이주카 선과의 사이에는 승계할인이 설정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공항선, 하코자키선의 승계운임의 항목 또는 각사국의 공식 홈페이지 등을 참조.
  • 덴진미나미 역에서 공항선, 하코자키선의 승차권 또는 덴진역에서 나나쿠마선의 승차권은 구입할 수 없다.
  • JR규슈, 후쿠오카 지하철 공통선불카드 〈와글와글 카드〉(ワイワイカード)이용 시는 지하철 선내의 운임이 20엔 할인 된다.

IC 카드

2009년 3월 7일부터 IC카드 승차권 《하야카켄》(はやかけん)을 도입하고 있다.

규슈여객철도(JR큐슈)가 2009년 3월 1일부터 도입한 IC카드 〈SUGOCA〉외, 서일본철도가 2008년 5월 18일에 도입한 IC카드 〈nimoca〉 및, 동일본여객철도(JR동일본)가 도입하고 있는 IC카드 《SUICA》와 호환시키기 위해 2008년 2월 「큐슈 IC승차권, 《전자화폐 상호 이용에 관한 협의회》를 발족시켜, 2010년 봄의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협의 중에 있다.

같이 보기

바깥 고리

틀:하코자키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