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춘문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춘문예(新春文藝)는 대한민국에서 일간 신문사가 주관하여 새해를 맞이해, 상금을 걸고 문학 작품을 공개 모집하여 새내기 문학 작가를 등단시키는 제도이다.

공모 분야는 소설, , 동시, 시조, 희곡, 동화, 평론 등이며, 매년 1월 1일자 일간 신문 지면에 당선자를 발표하고 당선작을 싣는다.[1]

초기의 신춘문예[편집]

처음에는 주제가 있었으며, 반드시 본격 문예 작품에 한정하지 않았다. 주제가 여럿이면 그 가운데 하나를 택하여 썼다. 순한글로 쓰되 1행 14자로 200행 이내로 분량이 정해져 있었다. 이는 오늘날의 200자 원고지 20매 이내였다. 원고에는 주소와 씨명(성명)을 명기하고, 겉봉에는 ‘신춘문예계’라고 붉은 글씨로 써야 했는데, 이 붉은 글씨 표시는 1970년대까지 이어졌다. 그리고 투고한 원고는 되돌려주지 않았다.

또한 1928년에는 현상금 대신 ‘박사 진정’(薄謝進呈, 사례로서 얼마 안 되는 돈이나 물품을 준다)이라고 했으나, 이듬해부터, 소설의 경우 1등에게는 60원, 2등에게는 30원을 주었는데, 당시 쌀 중급품 한 가마가 30원, 택시 요금이 1원(균일가)이었다. 첫해에는 4편의 소설체와 8편의 시가체가 뽑혔다. 첫해 주제가 ‘싸움 이야기’와 ‘용 이야기’였는데, 싸움 이야기를 택한 3개 작품 중 한 작품은 전면 삭제를 당했다. 당시의 작가와 작품명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배일(排日) 작품이라서 검열에 걸렸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 [1] 신춘문예는 ‘여러 부문의 문학 신인 선발을 목적으로 신문사에서 매년 행하는 문예행사’로 정의할 수 있다. 1912년 2월 9일의 "현상모집"은 신춘문예의 정의를 바탕으로 할 때, 그 본격적인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다. ‘각지기문(各地奇聞), 속요(俗謠), 소화(笑話), 시(詩), 단편소설(短篇小說), 서정서사(敍情敍事)’의 6개 부문에서 작품을 모집했다. 또한, 1919년 12월 2일의 "현상모집"에서는 신춘문예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 한시, 신체시, 시조, 미어(謎語, 수수께끼), 만화를 모집했는데, 마감일은 12월 15일이었다.
  • [2] 신춘문예는 《매일신보》에서 비롯되었으며, 《동아일보》,《조선일보》가 그 뒤를 이었다. 1937년 일본에서 발행된 󰡔신년문예작품집󰡕에 의하면, 해방 이전 일본 전역에서 46개 신문사가 ‘신년문예’를 시행했다.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등단제도라는 기존의 인식과는 달리 현재 일본에도 신춘문예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대략 10여개의 신문사인데, 《나가사키신문(長崎新聞)》, 《야마나시니치니치신문(山梨日日新聞)》, 《호쿠리쿠주니치신문(北陸中日新聞)》, 《후쿠이신문사(福井新聞社)》, 《시모스케신문(下野新聞)》, 《미나미니혼신문(南日本新聞)》, 《미야자키니치니치신문(宮崎日日新聞)》, 《이바라키신문(茨城新聞)》에서는 ‘新春文芸’(신춘문예)라는 명칭을, 《이와테일보(岩手日報)》, 《아리아케신보(有明新報)》, 《아키타사키가케신보사(秋田魁新報社)》에서는 ‘新年文芸’(신년문예)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주로 短歌、俳句、川柳、詩, 수필, 소설 등을 모집하고 있는데, 마감일은 12월 초순이며 당선작 발표는 1월 1일이다. 더구나 신춘문예 명칭과 형식을 사용한 작품 모집은 언론사 외에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주민들을 대상으로 종종 시행되고 있다.
  • [3] 해방전의 신춘문예는 1943년 《매일신보》신춘문예로 마감되는데, 총독부에서 신춘문예 대신 "국어문예작품 총독상(문예총독상)"을 신설했기 때문이었다. 1943년 1월 28일에 문예작품에 대한 총독상의 결정이 있은 후 “文藝作品에 總督賞”(1943.2.4.), “文學의國家化-總督賞設定의要點”(1943.2.5.) 등의 다양한 기사가 게재되었다. 그리고 드디어 2월 17일에는 국어문예작품 총독상전형위원회가 구성되었다. 그리고 3월 1일 오후 1시 총독부에 모여서 추천받은 11편의 작품 중 3편을 고르고, 그 중에서 최종적으로 金村龍濟의 《아세아시집(亞細亞詩集)》을 제1회 “문예총독상”으로 선정했다. 작품의 전형을 맡은 하다(波田) 국민총력조선연맹 총장은 작품 선정사유로 “타는듯한 일본정신에의하야 일관되엿슬뿐만아니라 원숙한 문학적형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을 들었다. 해방이후 본격적인 신춘문예의 흐름은 1955년부터 시작된다.[4]

시행 일간지[편집]

중앙 일간 신문으로 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문화일보, 세계일보, 한국일보, 서울신문, 중앙일보가 있고, 지방 일간 신문으로 강원일보, 대구매일신문, 부산일보, 경상일보, 경인일보, 경남신문, 국제신문, 광주일보, 대전일보, 무등일보, 전남일보, 전북일보, 한라일보가 있다.


역대 수상 작품[편집]

강원일보[편집]

수상 연도 소설 동화
2015년 《그림 속에서 보다》 《군밤》 《똘똘이를 찾아주세요》
2016년 《단추》[5] 《양을 찾아서》[6]
엄마의 마음[7]
《도깨비 놀이터》[8]
2017년 김선희《열린문》 김태인《갈라파고스》 하지연《멍도둑》
2018년 이윤경《그 여자의 거짓말》 이인애《가위질은 이렇게》 조호재《치킨보이》

경남신문[편집]

수상 연도 소설 시조 동화 수필
2016년 가작:이승민《선의 취향》[9] 진혜진 《앵두나무 상영관》[10] 정성호 《금빛 질경이》[11] 김유진 《우산 마중》[12] 예자비 《아버지의 고무신》[13]
2017년 김서연《블랙스팟》 최병철 《꽃게》 임채주 《인어의 꿈》 김은경 《노란 주전자》 안은숙 《반쪽 지구본》
2018년 김지원《포토그래퍼》 유하문 《등대》 박선영 《유축을 하다》 김지연 《리코더 부는 아이》 김현숙 《등을 돌려보면》

경상일보[편집]

수상 연도 소설 시조 동시 동화 희곡
2016년 박윤선《손》 양진영 《폐가를 어루만지다》 백윤석 《문장부호, 느루찍다2》 김종훈 《모내기》 정영숙 《빨강이의 외출》 이성호 《감염》
2017년 이서안《과녘》 김예진 《고래를 격려하며》 박수근 《도르래, 빛을 물다》 수상작 없음 이서림 《라오스의 달콤한 눈》 김연민 《명예로울지도 몰라, 퇴직》
2018년 양지은《심해》 이온정 《롤러코스트》 김수환 《옥봉동 세한도》 주하《시계》 이서영 《눈 오는 날》 송현진 《춤추며 간다》

경인일보[편집]

수상 연도 소설
2016년 김환《폭발》 김이섭 《대봉》
2017년 최은《켄의 세계》 성영희 《미역귀》
2018년 황윤정《린을 찾아가는 길》 이명선 《한순간 해변》

경향신문[편집]

수상 연도 소설 평론
2015년 사익찬《입체적 불일치》[14] 《선수들》 《안전거리없음: 원시적 성실성과 武將SIREN의 진화 - 김훈론》
2016년 이채현《사랑 때문에 죽은 이는 아무도 없다》 변희수 《의자가 있는 골목- 李箱에게》 선우은실 《lim 부정(否定)의 프레임n -이장욱 <기린이 아닌 모든 것>, <천국보다 낯선>을 중심으로》
2017년 남궁지혜《신다》 이다희 《백색소음》 염승숙 《없는 미래와 굴착기의 속도 - 박솔뫼, '도시의 시간'론》
2018년 지혜《볼트》 박정은 《크레바스에서》 인아영 《유토피아에서 있었던 일에 대해》

광남일보[편집]

수상 연도 소설 평론 동화
2016년 권행백《미노타우로스 사냥꾼》 문귀숙 《둥근 길》 이종섭 《작은 것들의 존재와 존재 방식- 문효치 시집 '별박이자나방'(서정시학 시인선 083, 2013)을 중심으로》
2017년 강정희《열쇠》 황성용 《스웨터》 김효정 《세계의 밤과 걷는 자- 임민욱론》 김명희 《꼬복이
2018년 백승권《버스는 오지 않는다》 심상숙 《첫 차》 신민희 《'입 벌리고 있는 자'들의 세계를 복원하는 자》 유혜진 《고슴도치를 부탁해》

광주일보[편집]

2016년 소설 김해숙, <누룩을 깎다> 시 진혜진, <통화음이 길어질 때>

국제신문[편집]

수상 연도 소설 시조 동화
2016년 강이라《쥐》 이명우 《스티커》 최정연 《물의 독서》 도희주 《굿샷! 쭈글이》
2017년 양정규《화분》 김순옥 《질감》 김장배 《과녘》 김정애 《우렁이 아줌마》
2018년 이화정《천사의 손길》 김형수 《미륵을 묻다》 박경희 《푸른, 고서를 읽다》 박연미 《수리와 문제집 속 친구들》

농민신문[편집]

수상 연도 소설 시조
2016년 《하얀 짐승》[15] 김광희 《바다가 끊이는 아침》
2017년 최영희《연소증후군》 송태준 《다산 마임 무대에 선》 정연희 《잔등노을》
2018년 이휘빈《닭집 여자》 성정현 《호랑거미》 고은희 《밀풀》

대전일보[편집]

수상 연도 소설 동시 동화
2016년 임아라《디타의 토요일》 정율이 《맹수》[16] 윤형주 《털장갑》[17] 서혜영 《퍼즐 맞추기》[18]
2017년 김선욱《부자》 성영희 《페인트 공》 권근 《툭,툭,톡,톡,카.톡!》 박소정 《인어를 그리다》
2018년 김수영《애도의 방식》 원보람 《악어떼》 황인선 《캉캉》 김진선 《노랑이와 할매》

동아일보[편집]

수상 연도 중편 단편 시조 희곡 시나리오 동화 문학평론 영화평론
2015년 전민석 《다른 나라에서》 한정현 《아돌프와 알버트의 언어》 조창규 《쌈》 김범렬 《의류수거함》 박선 《줄거리》 박지하 《기적》 이성주 《‘상실된 질서와 두 개의 음(音)-박판식과 조연호의 시세계’》 윤경원 《‘스타일로 극복한 게임의 진부함 <숨바꼭질>’》
2016년 김봉곤 《Auto》 이수경 《자연사박물관》 조상호 《입과 뿌리에 대한 식물학》 정지윤 《날, 세우다》 김경주 《태엽》 김희정《정복의 영웅》 성현정 《아빠의 유언장》 문신 《발굴하는 토피아, 복권되는 생활- 이현승의 '생활이라는 생각'과 고두현의 '달의 뒷면을 보다'》 서은주 《날마다 새롭고 언제나 그립다-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의 이미지 배치방식이 요청하는 새로운 주체성의 사유》
2017년 위수정 《무덤이 조금씩》 김홍 《어쨌든 하루하루》 김기형 《손의 에세이》 정진희 《자반고등어》 김명진 《루비》 이인혜 《비밀의 창고》 박소정 《빈 화분》 김녕 《경계에 대한 감수성, '지금-여기'와 '바깥'의 관계론: 이장욱 소설 읽기》 김세나 《오인된 세계와 본능의 주제로 살아남기- 나홍진의 '곡성'을 중심으로》
2018년 최유안 《내가 만든 사례에 대하여》 강석희 《우따》 변선우 《복도》 신준희 《이중섭의 팔레트》 이수진 《친절한 에이미 선생님의 하루》 김경원 《행복 설계 사무소》 유지영 《편의점에 온 저승사자》 김정현 《너는 이제 미지의 즐거움일 것이다》 김예솔비 《'불가능의 미메시스' 무수한 '지금'들의 투사》

매일신문[편집]

수상 연도 소설 시조 동화 동시 수필
2015년 신희우《고양이는 따뜻했다》 박예신 《새벽 낚시》 윤은주《감히》 이미경 《달려라 엄마》 윤애라 《카메라 자물쇠》 박금아 《조율사》
2016년 최졔이《아그리빠》 기성문인 당선취소[19] 조경선《옆구리 증후군》 유영선 《노파콘》 이사람(본명 이상윤) 《엄마생각》 손훈영 《비를 기다리는 마음》
2017년 김호애《닭을 먹다》 추프랑카 《두꺼운 부재》 김태경 《동강할미꽃의 재봉틀》 성주희 《내 다래끼》 김동원 《태양 셰프》 김순애 《나침반》
2018년 방미현《봄, 달》 윤여진 《박쥐》 김제숙 《밑줄 사용처》 박명희《너라도 그럴 거야》 박진경 《악수》 이한얼 《어느 삼거리에서》

무등일보[편집]

수상 연도 소설 동화
2016년 범현이《거위의 집》 지연 《비가 오고 이팝꽃이 떨어지고 진흙이 흘러내리고》 양정숙 《구리구리, 똥개구리》
2017년 조안영《두 개의 그림자》 권성은 《버튼홀스티치》 백정애 《소리 그물》
2018년 김용매《봉이》 전진자 《수목원》 임성규 《형은 고슴도치》

문화일보[편집]

수상 연도 소설 동화 평론
2015년 도제희《유령의 2층 침대》 최영랑 《어머니의 계절》 김아정 《5인용 식탁과 마지막 비밀 레시피》 이현승 《거울 속에서 탄생하는 주체들》
2016년 최정나《전에도 봐놓고 그래》 김재필 《입수》 배인주 《다정이》 차선일 《실종자의 미궁》
2017년 문은미《플랫폼》 진창윤 《목판화》 김수연 《그런 하루》 이진경 《나선의 숲에서 부유하는 시어들》
2018년 이경란《오늘의 루프탑》 박은영 《발코니의 시간》 김용준 《다령이가 말한 하늘》 송민우 《단지 조금의 빛》

부산일보[편집]

수상 연도 단편소설 시조 동화 희곡 평론
2015년 천종숙 《홈메이트》 박은석《탕제원》 장계원 《소금꽃》 김점선 《마음약국 프로젝트》 남열 《우산길》 이승현 《우리 사회의 벌거벗은 생명에 관하여》
2017년 신호철《문어》 김낙호 《허공에서 더 깊어지는 추위》 김종호 《겨울, 횡계리에는》 문근영 《나무》 양예준 《달팽이의 더듬이》 조선호 《'캐롤',시선의 전복이 가져다주는 정취》
2018년 임성용《맹순이 바당》 이소희 《율가》 김현주 《무사의 노래》 박비송《비단개구리 알》 이유진 《비듬》 김성준 《'남한산성'의 봄은 어떻게 오는가》

불교신문[편집]

수상 연도 소설 시,시조 동화
2016년 권행백《륜향》 한상록 《봄》 조병태 《내이름은 바보》
2017년 이선재《산벚꽃나무 아래》 김성신 《윤장대》 전은숙 《할아버지의 선물》
2018년 김영민《등》 이윤선 《애》 이은정 《보이지 않아도 있는 것들》

서울신문[편집]

수상 연도 소설 시조 희곡 동화 평론
2015년 이은희[20]《1교시 언어 이해》 《》 《》 《》 《》 《》
2016년 김현경《핀 캐리(pin carry)》 정신희 《가족》[21] 유순덕 《구름 위의 구두》[22] 김주원 《노인과 바닥》[23] 홍유진 《도시의 아빠》[24] 김지윤《이원론》[25]
2017년 문은강《밸러스트》 신동혁 《진단》 송가영 《막사발을 읽다》 조현주 《오늘만 같지 않기를》 임민영 《누구 없어요?》 김효숙《해부된 육체: 부분이 발설하는 단서들》
2018년 김민수《플랫폼》 박은지 《정말 먼 곳》 장은해 《다시 와온》 최고나《가난 포르노》 유소영 《남자를 위한 우주비행 프로젝트》 이철주 《그림자 필경사》

세계일보[편집]

수상 연도 단편소설 문학평론
2015년 이은희《선긋기》 김성호《로로》
2016년 김갑용《슬픈 온대》[26] 이윤정 《타크나 흰 구름》[27] 강보원 《결여의 존재론 - ‘나’의 상실에 이르기까지(김숨 소설 읽기)》[28]
2017년 이상희《래빗 쇼》 성민재 《빅풋》 장예원 《가장 쓸쓸하고 연약한 연대 - 조해진론》
2018년 도재경《피에카르스키를 찾아서》 우남정 《돋보기의 공식》 정재훈 《묵시적 재난에서 개별화된 재난으로》

영남일보[편집]

수상 연도 소설
2016년 《슾름》[29] 강서연 《가로수 마네킹》[30]
2017년 정남일《라스트 장용영》 김한규 《공복》
2018년 임채묵《야드》 이서연 《조문》

영주일보[편집]

수상 연도 수필 시조
2017년 송창권《고립》
임지나《5월 엄새에게 내미는 시》
김지희 《노루발》 당선작 없음
2018년 당선작 없음 김옥한 《엄대》 이예연 《자전거 소개서》

전북도민일보[편집]

수상 연도 소설 수필
2016년 서귀옥《굿맨》 하송 《화해花蟹》[31] 류현승 《물미장》[32]
2017년 최정원《마지막 수유 시간》 이삼현 《각시거미》 송귀연 《비설거지》
2018년 허채원《파티, 파티》 박은영 《인디고》 정성려 《누름돌》

전북일보[편집]

수상 연도 소설 동화 수필
2016년 이덕래 《서랍 속 블랙홀》[33] 김상현 《두더지 반지하 신혼방》[34] 이명준 《아기들쥐와 허수아비》[35] 손훈영 《이중주》[36]
2017년 정숙인 《백팩》 정연희 《귀촌》 최고나 《할머니의 라디오 사연》 허정진 《요양원 가는 길》
2018년 최아현《아침 대화》 김헌수 《삼례터미널》 이경옥 《두번째 짝》 김영주《마키코 언니》

조선일보[편집]

수상 연도 소설 시조 동화 동시 희곡 문학평론 미술평론
2015년 《면(面)》 《내 눈 속의 붉은 마녀》 《유리상자》 《소나기 지나갈 때》 《달빛조선》 《없는 얼굴로 돌아보라》 《제안된 공간에서 제안하는 공간으로》
2016년 김인숙《상식의 속도》 안지은 《생일 축하해》 이중원 《파란 잉크 주식회사》 김보경 《하늘에 있는 아빠에게》 황승욱 《세탁실》 양동휘 《균열하는 주체, 그들이 살아가는 방법》 손지희 《"재현성"과 "토톨로지" 너머의 반복: 기존 단색화 비평의 메타비평》
2017년 권제훈《박스》 유수연 《애인》 김상규 《쌍둥이 - 양보의 대가》 박혜원 《이상한 이상희》 신수진 《햇무리 아이들》 고군일 《자울아배 하얘》 전영규 《이 시대 퓨티풀 엑스의 탄생기》 남병수 《예술,인류 구원의 노래를 부르다》
2018년 명학수《풀이라 불리는 명주》 이린아 《돌의 문서》 조성국 《노량진》 허용호 《비밀이 사는 아파트》 문일지 《마중물》 정재춘 《조용한 세상》 소유정 《'사이'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 안재영 《회화적 재현을 통해 바라본 시뮬라크르의 유희》

중앙일보[편집]

수상 연도 단편소설 수필 논픽션 평론
2009년 김지숙《스미스》 박성현 《한낮》《폭염》 장은석《포개지는 우주, 그 떨림의 시작》
2010년 이시은《손》 박현웅 《사막》
2011년 백정승《빈집》 김미나《포란의 계절》 가작: '송기죽을 먹는 것보다 낫다'(윤재현)
가작: '희망봉에서 자라는 나무'(흥을미)[37]
신상조《소설적 증상으로서의 반복 - 김숨 소설의 한 양상》[38]
2012년 김수정《삵》 황은주 《삼만 광년을 풋사과의 속도로》 《》 《》 《》
2013년 김덕희《전복》 김선호 《야생화》
2014년 가작: 정병규 '눈물점'
가작: 최지만 '산으로 간 기러기'
유이우 《이제 집으로 돌아가야 할 때》[39] 김화진 《빈터》
가작: 신재동 '겨울 햇빛이 주는 행복'
가작: 주영희 '잘매'
당선작 없음 강수영《사건의 문학, 성찰적 글쓰기》
2015년 이재은《비 인터뷰》[40] 김소현《투명인간 - 못생긴 너에게》[41] 《》 《》 방인석《특수한 주체, 고유한 보편 - 이수명의 시 세계》[42]
2016년 문경민《곰씨의 동굴》 문보영 《막판이 된다는 것》 《》 《》 《》
2017년 이현석《참(站)》 강지이 《수술》 《》 《》 이병국 《유실된 인간, 혹은 가능한 역사 너머 -조해진과 최은영의 소설이 말해주는 것들》[43]

한국경제[편집]

수상 연도 장편소설 시나리오
2015년 홍준성《열등의 계보》 김민율 《비커의 샤머니즘》 김현정 《금화도감》
2017년 박유경《여흥상사》 주민현 《전쟁의 시간》 김대우 《엠마》
2018년 은모든《애주가의 결심》 조윤진《새살》 김대명《소나타1901》

한국일보[편집]

수상 연도 소설 동화 동시 희곡
2014년 김태우《피아노》 김진규 《대화》 정신(본명 김정신) 《딱 좋은 날》 당선작 없음 김원태 《오늘의 저격수는 딸기 맛 초코바를 먹는다》
2015년 이지《얼룩, 주머니, 수염》 김복희 《백지의 척후병》
윤종욱 <방의 전개>
박상기 《물 좀 줘》 최우철 《동그라미 사랑》 박교탁 《빨간 휴지 줄까, 파란 휴지 줄까?》
2016년 조선수《제레나폴리스》 노국희 《위험수목》 심진규 《401호 욕할매》 안안미 《콧구멍에 낀 대추씨》 이진원 《손님》
2017년 고민신《쓰나미 오는 날》 윤지양 《전원 미풍 약풍 강풍》 최수연 《가정방문 》
최현진 《두근두근 두드러기》
박경임 《서산 마애블》 주수철 《그린피아 305동 1005호》
2018년 김수온《( )》 이원하《제주에서 혼자 살고 술은 약해요》 황미주《길 잃은 편지》 임희진《숭어》 이소연《마트료시카》

한라일보[편집]

수상 연도 소설 시조
2016년 안세화《클레의 천사》 이운주 《팥죽》 고혜영 《역광의 길》
2017년 김선희《끝 없는 밤》 오경 《점등》 서희정 《솥》
2018년 이정연《사십사 계단》 조직형《폐선》 박미소《왕초꽃 사설》

각주[편집]

  1. 《중앙일보》는 신춘문예 명칭을 ‘중앙신인문학상’으로 바꾸고 신문사 창간일인 9월 22일에 발표한다.
  2. 한겨레신문, 2015년 1월 2일 신춘문예 100년과 <한겨레>
  3. 김은신 (1995년 11월 1일). 《이것이 한국 최초》. 삼문. 30~32쪽쪽. ISBN 9788985407359. 
  4. 조재영, 「신춘문예제도의 명칭과 기원에 관한 연구」, <한국시학연구>47집, 한국시학회, 2016.
  5. [1]
  6. [http://www.kwnews.co.kr/nview.asp?s=601&aid=216010300164
  7. [2]
  8. [http://www.kwnews.co.kr/nview.asp?s=601&aid=216010300161
  9. [3]
  10. [4]
  11. [5]
  12. [6]
  13. [7]
  14. [8] Archived 2015년 7월 11일 - 웨이백 머신
  15. [9]
  16. [10]
  17. [11]
  18. [12]
  19. [13]
  20. 이은희씨, 2015 신춘문예 소설 '2관왕' 기염
  21. [14]
  22. [15]
  23. [16]
  24. [17]
  25. [18]
  26. [19]
  27. [20]
  28. [21]
  29. [22]
  30. [23]
  31. [24]
  32. [25]
  33. [26]
  34. [27]
  35. [28]
  36. [29]
  37. [30]
  38. [31]
  39. [32]
  40. [33]
  41. [34]
  42. [35]
  43.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