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경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80.182.66.51 (토론)님의 2014년 3월 31일 (월) 16:20 판 (문법의 오류가 있었습니다)
고경명
출생1533년
사망1592년
충남 금산
사인전사
성별남성
국적조선
별칭자는 이순(而順), 호는 제봉(霽峰)·태헌(苔軒), 시호는 충렬(忠烈).
학력1558년 식년시 문과 갑과 1워(장원).
직업문신, 정치인, 작가, 의병장
종교유교(성리학)
부모아버지 고맹영
배우자김씨
자녀고종후, 고인후
친척장인 김백균

고경명(髙敬命, 1533년 ~ 1592년)은 조선 시대의 문인·의병장이다. 자는 이순(而順), 호는 제봉(霽峰)·태헌(苔軒), 본관은 장흥(長興)이며, 시호는 충렬(忠烈)이다.[1] 1552년(명종 7년) 진사시와 생원시에 모두 합격하고, 1558년(명종 13년) 식년시 문과에 갑과 1위로 장원급제한 뒤 관직은 동래부사에 이르렀다.

명종대에 아버지 고맹영과 장인 김백균인순왕후의 외삼촌 이량의 심복인 탓에 탄핵을 받고 파직당한다. 그 뒤 선조 즉위 초 복직하여 서산군수, 한성부서윤, 한산군수, 순창군수 등을 지냈다.

생애

초기 활동

1533년 광주 압보천에서 대사간 고맹영의 아들로 태어났다. 1552년(명종 7년) 진사시와 생원시에 동시 입격하여 진사가 되었고, 1558년(명종 13년) 식년시 문과에 갑과 1위로 장원급제하고, 성균관전적에 임명되고, 이어서 공조좌랑이 되었다. 이어 형조좌랑·사간원정언 등을 거쳐 호당(湖堂)에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1561년 사간원헌납이 된 뒤 사헌부지평, 홍문관의 부수찬·부교리를 거쳐 1563년 교리가 되었다. 1563년(명종 18년) 인순왕후의 외숙인 이조판서 이량의 전횡을 논할 때 교리(校理)로서 이에 참여하여 이량을 공격하였지만 그 자신은 아버지 고맹영과 장인 김백균이 이량의 수족인 탓에 울산 군수로 좌천된 후 파면당한다. 그해 11월 사헌부가 그를 탄핵한다.

울산 군수 고경명(어려서부터 재주가 있다는 이름이 있더니 일찍 외과(巍科)에 올랐으나 부박하고 허황되고 교만하고 협기(俠氣)가 있었다. 그 아비 고맹영, 장인 김백균과 함께 이양을 섬겨 청현직(淸顯職)을 얻었다.)은 앞서 간인들을 제거하던 날에 옥당(玉堂)에 있으면서 대의(大議)에 참여하였으니 의당 조심하여 누설하지 않았어야 할 터인데 마음씀이 반복 무상(反覆無狀)하여 장인 김백균에게 은밀히 편지를 보내어(언문으로 편지를 써서 보냈으니 더욱 간사하다.) 이양에게 전하도록 하였으니 지극히 간휼(奸譎)합니다. 그런데도 아직도 관작을 보존하고 있으므로 물정이 분개하고 있습니다. 파직하고 서용하지 마소서.[2]

사헌부의 탄핵을 명종이 승인, 곧 파직되었다.

복직과 관료 생활

1571년(선조 4년) 선조가 그의 재능을 아깝게 여겨 서용하려 하였으나 사림파 언관들의 맹렬한 반대로 무산되었다. 1581년(선조 14년) 동인의 반대를 견뎌내고 복직, 그해에 영암 군수로 재등용되고 이어서 종계 변무 주청사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는 훈구파의 자제라는 비방에도 불구하고 율곡 이이가 그의 능력을 인정해주어 발탁함으로써 관직에 머무를 수 있었다.

1582년 서산군수로 전임 되었는데, 명사원접사(明使遠接使)에 임명된 이이의 천거로 그 종사관(從事官)이 되었으며, 이어서 종부시첨정에 임명되었다. 1583년 한성부서윤·한산군수를 거쳐 예조정랑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1584년 사복시첨정이 된 뒤 성균관사예를 거쳐 순창군수로 재직 중 1588년 파직되었다.

1590년 승문원판교로 다시 등용되었다.

임진왜란과 최후

1591년 동래 부사로 있다가 서인이 제거될 때 사직하고 고향으로 내려갔는데, 이듬해에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선조가 의주로 피난갔다는 소식을 듣고 의병을 일으켰다.

이후 전라도 광주장흥 등에서 모집한 6천여 명의 의병을 이끌고 임금을 지키러 의주로 가던 중 금산에 집결하고 있던 왜군과 싸우다가 아들 인후와 같이 전사하였다.

사후

이후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고, 광주의 포충사(褒忠祠), 금산의 성곡서원(星谷書院), 종용사(從容祠), 순창의 화산서원(花山書院)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시, 글씨, 그림에 뛰어났으며, 저서에는 《제봉집》,《서석록 瑞石錄》, 《유서석록》 등이 있다.

저서

  • 《제봉집》
  • 《서석록 瑞石錄》
  • 《유서석록》

가족

  • 증조부 : 고자검(高自儉)
    • 할아버지 : 고운(高雲)
      • 아버지 : 고맹영(高孟英)
      • 어머니 : 서걸(徐傑)의 딸
        • 부인 : 울산김씨
          • 장남 : 고종후(高從厚)
            • 손자 : 고부립(高傅立)
            • 손자 : 고부언(高傅言)
          • 차남 : 고인후(高因厚)
            • 손자 : 고부림(高傅霖)
            • 손자 : 고부천(高傅川)
            • 손자 : 고부집(高傅楫)
            • 손자 : 고부량(高傅良)
          • 삼남 : 고준후(高遵厚) - 요절
          • 사남 : 고순후(高循厚)
          • 오남 : 고유후(高由厚) - 요절
          • 육남 : 고용후(高用厚)
          • 장녀 : 박숙(朴橚)에게 출가
            • 외손자 : 박충렴(朴忠廉)
            • 외손녀 : 노상용(盧尙龍)에게 출가
      • 장인 : 김백균(金百鈞)

[네이버 지식백과] 고경명 [高敬命] (국역 국조인물고, 1999.12.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관련인물 및 사건

주석

  1.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http://people.aks.ac.kr/view.jsp?id=PPL_6JOb_A1533_1_0000386
  2. 명종실록 29권, 명종 18년(1563 계해 / 명 가정(嘉靖) 42년) 11월 6일(신사) 2번째기사 "헌부에서 울산 군수 고경명의 파직을 청하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