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성 구씨: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3번째 줄: 23번째 줄:


능성 구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54명, 무과 급제자 105명, 생원·진사 170명을 배출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024_130_0023}}</ref> 파별로 보면 도원수파 359명, 판안동파 72명, 좌정승파 42명으로 전체의 84%를 차지한다. 조선시대에 상신(相臣: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2명, 공신 9명, 부마(駙馬) 3명을 배출하였다. 무과 출신 가운데에서는 영조 때까지 장신급(將臣級: 종2품)이 9명이나 나왔는데, 이는 그때까지의 장신 총수의 12분의 1에 해당하는 큰 비율이다.
능성 구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54명, 무과 급제자 105명, 생원·진사 170명을 배출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024_130_0023}}</ref> 파별로 보면 도원수파 359명, 판안동파 72명, 좌정승파 42명으로 전체의 84%를 차지한다. 조선시대에 상신(相臣: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2명, 공신 9명, 부마(駙馬) 3명을 배출하였다. 무과 출신 가운데에서는 영조 때까지 장신급(將臣級: 종2품)이 9명이나 나왔는데, 이는 그때까지의 장신 총수의 12분의 1에 해당하는 큰 비율이다.

== 기원 ==
능성 구씨의 시조 구존유가 [[1224년]] 주잠과 함께 중국에서 도래하였다는 일부의 주장이 있으나, 중국에 있는 신안 주씨의 기록에 [[구존유]]는 고려인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1224년]] 이전부터 [[호남]] 지방에 토착 구(具)씨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후백제|백제]]가 멸망한 뒤 나주(羅州)에서 포로로 잡힌 [[후백제|백제]] 장군 구도(具道)의 아들 구단서(具端舒)가 있고,<ref>[http://db.history.go.kr/id/kr_092r_0010_0110 《고려사》 권92 열전 권제5]</ref> 궁예의 태봉국 시중(侍中)이었던 [[구진 (고려)|구진]](具鎭)이 918년(태조 1) 나주도(羅州道) 대행대(大行臺) 시중(侍中)에 임명되었으며,<ref>[http://db.history.go.kr/id/kr_001r_0020_0040_0030 《고려사》 세가 권제1 태조(太祖) 원년 9월]</ref> 1101년(고려 숙종 6년)에 탁라(乇羅) 성주(星主)인 배융부위(陪戎副尉) 구대(具代)가 유격장군(遊擊將軍)에 임명되었던 사실을 《고려사(高麗史)》에서 확인할 수 있다.<ref>[http://db.history.go.kr/id/kr_011r_0080_0100_0020 《고려사》 세가 권제11 숙종(肅宗) 6년 10월]</ref>

구씨(具氏)가 예로부터 나주(羅州)나 능성(綾城) 지역의 토착 성씨로 이미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의 능성현(綾城縣) 토성조(土姓條)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능성현(綾城縣) 토성조(土姓條)에도 구씨(具氏)를 능성현(綾城縣)의 대표적인 토착 성씨로 기록하고 있다.

대종회에서는 역사서를 근거로 중국 도래설을 반박하고 능성 구씨가 토착 성씨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ref>[http://www.neungsungkoo.com/htmls/bo/bo8-11.htm 능성구씨 시조(始祖) 존유(存裕)공의 상세(上世)에 대하여]</ref> 첫째, 고려 이전에도 [[호남]] 지방에 토착 구씨가 존재했다는 점이다. 둘째, 본문에 언급한 바와 같이 여러 역사서에 능성 구씨가 토착 성씨로 기록된 점이다. 셋째, 중국 측 주씨의 기록에는 구존유가 고려인으로 되어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에 편찬된 신안 주씨의 족보를 토대로 능성 구씨가 중국계 성씨임을 주장하는 일각의 주장은 역사 사실과 맞지 않다. 넷째, 현재 중국에는 구(具)씨 성을 가진 씨족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능성 구씨가 중국계 성씨라는 주장은 모화사상에 기초하여 중국과의 관련성을 부각하고자 했던 시도로 보는 것이 설득력 있다.


== 분파 ==
== 분파 ==
44번째 줄: 37번째 줄:
* 참판공파(參判公派): 파조(派祖) 참판(參判) 구성미(具成美)
* 참판공파(參判公派): 파조(派祖) 참판(參判) 구성미(具成美)
* 문천군사공파(文川郡事公派): 파조(派祖) 문천군사(文川郡事) 구원립(具爰立)
* 문천군사공파(文川郡事公派): 파조(派祖) 문천군사(文川郡事) 구원립(具爰立)

== 기원 ==
능성 구씨의 시조 구존유가 [[1224년]] 주잠과 함께 중국에서 도래하였다는 일부의 주장이 있으나, 중국에 있는 신안 주씨의 기록에 [[구존유]]는 고려인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1224년]] 이전부터 [[호남]] 지방에 토착 구(具)씨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후백제|백제]]가 멸망한 뒤 나주(羅州)에서 포로로 잡힌 [[후백제|백제]] 장군 구도(具道)의 아들 구단서(具端舒)가 있고,<ref>[http://db.history.go.kr/id/kr_092r_0010_0110 《고려사》 권92 열전 권제5]</ref> 궁예의 태봉국 시중(侍中)이었던 [[구진 (고려)|구진]](具鎭)이 918년(태조 1) 나주도(羅州道) 대행대(大行臺) 시중(侍中)에 임명되었으며,<ref>[http://db.history.go.kr/id/kr_001r_0020_0040_0030 《고려사》 세가 권제1 태조(太祖) 원년 9월]</ref> 1101년(고려 숙종 6년)에 탁라(乇羅) 성주(星主)인 배융부위(陪戎副尉) 구대(具代)가 유격장군(遊擊將軍)에 임명되었던 사실을 《고려사(高麗史)》에서 확인할 수 있다.<ref>[http://db.history.go.kr/id/kr_011r_0080_0100_0020 《고려사》 세가 권제11 숙종(肅宗) 6년 10월]</ref>

구씨(具氏)가 예로부터 나주(羅州)나 능성(綾城) 지역의 토착 성씨로 이미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의 능성현(綾城縣) 토성조(土姓條)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능성현(綾城縣) 토성조(土姓條)에도 구씨(具氏)를 능성현(綾城縣)의 대표적인 토착 성씨로 기록하고 있다.

대종회에서는 역사서를 근거로 중국 도래설을 반박하고 능성 구씨가 토착 성씨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ref>[http://www.neungsungkoo.com/htmls/bo/bo8-11.htm 능성구씨 시조(始祖) 존유(存裕)공의 상세(上世)에 대하여]</ref> 첫째, 고려 이전에도 [[호남]] 지방에 토착 구씨가 존재했다는 점이다. 둘째, 본문에 언급한 바와 같이 여러 역사서에 능성 구씨가 토착 성씨로 기록된 점이다. 셋째, 중국 측 주씨의 기록에는 구존유가 고려인으로 되어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에 편찬된 신안 주씨의 족보를 토대로 능성 구씨가 중국계 성씨임을 주장하는 일각의 주장은 역사 사실과 맞지 않다. 넷째, 현재 중국에는 구(具)씨 성을 가진 씨족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능성 구씨가 중국계 성씨라는 주장은 모화사상에 기초하여 중국과의 관련성을 부각하고자 했던 시도로 보는 것이 설득력 있다.


== 본관 ==
== 본관 ==

2016년 12월 15일 (목) 23:20 판

능성 구씨 (綾城 具氏)
능주 구씨 (綾州 具氏)
능성 구씨의 종문
관향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시조구존유(具存裕)
집성촌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전라북도 익산군 함열면 와리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면 가교리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중흥리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구복리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산외면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예곡리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열미리
주요 인물구영검, 구종지, 구치관, 구인문, 구치홍, 구겸, 구사안, 구수영, 구봉령, 구사맹, 구의강, 구굉, 인헌왕후, 구인후, 구인기, 구희서, 구천서, 구인회, 구태회, 구평회, 구두회, 구용상, 구논회, 구자옥, 구자경, 구자열, 구본무, 구본능, 구본영, 구본철, 구대성, 구혜선, 구자철, 구하라, 구자욱
인구(2015년)172,243명
비고능성 구씨 대종회

능성 구씨(綾城 具氏)는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구존유(具存裕)는 고려공신으로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重大匡) 검교상장군(檢校上將軍)을 지냈다. 능성 구씨는 고려조선에 걸쳐 유력 가문이었다. 조선시대에는 지속적으로 관직에 진출하고, 조선 왕실의 인척이기도 했다.

역사

2세는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구민첨(具民瞻), 3세는 문하좌정승(門下左政丞)을 지낸 면성부원군(沔城府院君) 구연(具珚), 4세는 면성부원군(沔城府院君) 구예(具藝), 5세는 전리판서(典理判書)를 지낸 면성부원군(沔城府院君) 구영검(具榮儉),[1] 6세는 면성부원군(沔城府院君) 문정공(文貞公) 구위(具禕)와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낸 구흥(具興)과 공조전서(工曹典書)를 지낸 구의(具義)가 있다. 고려 말 좌시중(左侍中) 7세 문절공(文節公) 구홍(具鴻)은 조선의 개국에 협력하지 않고 은둔하여 고려에 대한 절의를 지켰다.

능성 구씨는 무인의 명가였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를 지낸 구사직(具思稷), 훈련대장 등을 지낸 구굉(具宏), 어영대장인 구인후(具仁垕), 총융사(摠戎使)인 구인기(具仁墍), 어영대장인 구문치(具文治), 총융사인 구감(具鑑), 훈련대장인 구성임(具聖任), 훈련대장인 구선복(具善復) 등이다. 이 중 구굉·구인후·구인기는 인조반정(仁祖反正)의 공으로 정사공신(靖社功臣)에 녹훈(錄勳)되었다.

또한 세조 때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을 지낸 구치관(具致寬), 강릉대도호부사를 지낸 구치홍, 성종 때 상주목사를 지낸 구치명, 경상우도절도사를 지낸 구겸,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정국공신(靖國功臣)인 구현휘(具賢暉)·구수영(具壽永),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인 능원군 구문신(具文信) 등이 있다. 중종의 부마 구사안(具思顔), 인조의 외조부이며 이조판서·좌찬성·숭록공신(崇祿功臣)에 오른 구사맹(具思孟), 시문에 뛰어나고 관찰사·참판·대사헌을 지낸 구봉령(具鳳齡) 등이 있다. 조선왕족으로는 원종의 비 인헌왕후(조선 제16대 왕 인조의 어머니)가 있다. 능성 구씨는 영조대(英祖代)에 이르기까지 조선왕조 권력의 핵심에서 가문의 세를 떨쳤다.

능성 구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54명, 무과 급제자 105명, 생원·진사 170명을 배출하였다.[2] 파별로 보면 도원수파 359명, 판안동파 72명, 좌정승파 42명으로 전체의 84%를 차지한다. 조선시대에 상신(相臣: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2명, 공신 9명, 부마(駙馬) 3명을 배출하였다. 무과 출신 가운데에서는 영조 때까지 장신급(將臣級: 종2품)이 9명이나 나왔는데, 이는 그때까지의 장신 총수의 12분의 1에 해당하는 큰 비율이다.

분파

능성 구씨는 시조 구존유의 7대손에 이르러 판사파(判事派)·전서파(典書派)·시랑파(侍郞派)·좌정승파(左政丞派)·판안동파(判安東派)·도원수파(都元帥派)·재신파(宰臣派)·낭장파(郎將派)·감무파(監務派)·임천군사파(林川郡事派)·참판파(參判派)·문천군사파(文川郡事派)의 12개 파로 나뉜다. 이중 후손들이 이북 지역에 살고 있지만 남북 분단으로 전고를 알 수 없는 재신파(宰臣派), 후손이 없어 무후(无后)된 전서파(典書派)와 임천군사파(林川郡事派)의 3개 파를 제외한 9개 파 후손들이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 판사공파(判事公派): 파조(派祖) 사재감판사(司宰監判事) 구현좌(具賢佐)
  • 전서공파(典書公派): 파조(派祖) 공조전서(工曹典書) 구현로(具賢老)
  • 시랑공파(侍郞公派): 파조(派祖) 시랑(侍郞) 구영량(具英良)
  • 좌정승공파(左政丞公派): 파조(派祖) 좌정승(左政丞) 구홍(具鴻)
  • 판안동공파(判安東公派): 파조(派祖) 판안동(判安東) 구성량(具成亮)
  • 도원수공파(都元帥公派): 파조(派祖) 도원수(都元帥) 구성로(具成老)
  • 낭장공파(郎將公派): 파조(派祖) 낭장(郎將) 구현보(具賢輔)
  • 감무공파(監務公派): 파조(派祖) 감무(監務) 구현기(具賢器)
  • 참판공파(參判公派): 파조(派祖) 참판(參判) 구성미(具成美)
  • 문천군사공파(文川郡事公派): 파조(派祖) 문천군사(文川郡事) 구원립(具爰立)

기원

능성 구씨의 시조 구존유가 1224년 주잠과 함께 중국에서 도래하였다는 일부의 주장이 있으나, 중국에 있는 신안 주씨의 기록에 구존유는 고려인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1224년 이전부터 호남 지방에 토착 구(具)씨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백제가 멸망한 뒤 나주(羅州)에서 포로로 잡힌 백제 장군 구도(具道)의 아들 구단서(具端舒)가 있고,[3] 궁예의 태봉국 시중(侍中)이었던 구진(具鎭)이 918년(태조 1) 나주도(羅州道) 대행대(大行臺) 시중(侍中)에 임명되었으며,[4] 1101년(고려 숙종 6년)에 탁라(乇羅) 성주(星主)인 배융부위(陪戎副尉) 구대(具代)가 유격장군(遊擊將軍)에 임명되었던 사실을 《고려사(高麗史)》에서 확인할 수 있다.[5]

구씨(具氏)가 예로부터 나주(羅州)나 능성(綾城) 지역의 토착 성씨로 이미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의 능성현(綾城縣) 토성조(土姓條)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능성현(綾城縣) 토성조(土姓條)에도 구씨(具氏)를 능성현(綾城縣)의 대표적인 토착 성씨로 기록하고 있다.

대종회에서는 역사서를 근거로 중국 도래설을 반박하고 능성 구씨가 토착 성씨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6] 첫째, 고려 이전에도 호남 지방에 토착 구씨가 존재했다는 점이다. 둘째, 본문에 언급한 바와 같이 여러 역사서에 능성 구씨가 토착 성씨로 기록된 점이다. 셋째, 중국 측 주씨의 기록에는 구존유가 고려인으로 되어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에 편찬된 신안 주씨의 족보를 토대로 능성 구씨가 중국계 성씨임을 주장하는 일각의 주장은 역사 사실과 맞지 않다. 넷째, 현재 중국에는 구(具)씨 성을 가진 씨족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능성 구씨가 중국계 성씨라는 주장은 모화사상에 기초하여 중국과의 관련성을 부각하고자 했던 시도로 보는 것이 설득력 있다.

본관

능성(綾城)은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 능주면(綾州面)의 옛 지명이다. 백제시대에 이릉부리현(爾陵夫里縣) 또는 죽수부리현(竹樹夫里縣)‧인부리현(仁夫里縣)‧연주부리현(連珠夫里縣) 등으로 불렸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능성군(陵城郡)으로 바꾸고 무주(武州 : 광주(光州))의 속현(屬縣)이 되었으며 부리(富里)‧여미(汝湄) 등의 현을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능성(綾城)으로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 나주(羅州)의 속현(屬縣)이 되었다가 1143년(인종 21)에 능성현으로 승격하였다. 1416년(태종 16) 화순을 병합하여 순성현(順城縣)이 되었다가, 1418년 화순이 분리되었다. 임진왜란 때에 다시 화순을 병합하기도 하였다. 1632년(인조 10)에 능주목으로 승격하였고 이릉(爾陵)이라고도 불렸다. 1895년(고종 32) 나주부 소속의 능주군이었고 1896년 전라남도 능주군으로 개편되었다. 1908년에 능주군이 화순군을 병합하였으나, 1914년 능주군을 화순군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능주면화순군(和順郡)에 편입되었다.

항렬자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인구

  • 1985년 능성 구씨 (27,231가구 111,834명) + 능주 구씨 (3,938가구 17,010명) = 128,844명
  • 2000년 능성 구씨 (37,706가구 120,503명) + 능주 구씨 (7,807가구 25,484명) = 145,987명
  • 2015년 능성 구씨 109,669명 + 능주 구씨 62,574명 = 172,243명

바깥 고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