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 복소다양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반화 켈러 다양체에서 넘어옴)

미분기하학에서 일반화 복소다양체(一般化複素多樣體, 영어: generalized complex manifold)는 복소다양체심플렉틱 다양체의 공통적인 일반화이다. 물리학적으로, 캘브-라몽 장 가 존재하는 IIB 초끈 이론 축소화를 나타낸다.

정의[편집]

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일반화 개복소구조(一般化槪複素構造, 영어: generalized almost complex structure)는 실수 벡터 다발 위의 개복소구조이다. 즉,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다발 사상 이다.

여기서 는 부호수 의 자연스러운 내적 사상이다. 일반화 개복소구조가 주어진 매끄러운 다양체를 일반화 개복소다양체(一般化槪複素多樣體, 영어: generalized complex manifold)라고 한다.

일반화 개복소다양체 위의 일반화 정칙접다발(영어: generalized holomorphic tangent bundle)은 다음과 같은 복소수 벡터 다발이다.

이에 따라

가 된다.

의 두 매끄러운 단면 ,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쿠란트 괄호(Courant括弧, 영어: Courant bracket)를 정의하자.

여기서 리 미분이며, 외미분이다.

일반화 개복소구조 가운데, 매끄러운 단면들이 쿠란트 괄호에 대하여 닫혀 있는 것들을 일반화 복소구조(一般化複素構造, 영어: generalized complex structure)라고 하며, 일반화 복소구조가 주어진 매끄러운 다양체를 일반화 복소다양체(一般化複素多樣體, 영어: generalized complex manifold)라고 한다.

순수 스피너[편집]

차원 실수 벡터 공간 가 주어졌을 때, 위에는 자연스러운 구조가 존재한다. 이 경우, 리 대수의 작용은

이다.

외대수 위에 다음과 같은 작용을 갖는다.

이 경우

이며, 이는 디랙 행렬과 같은 형태이다. 이를 사용하여, 디랙 스피너 공간을 다음과 같이 표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짝수 차원 디랙 스피너 공간이며, 이는 바일 스피너 공간의 직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스피너 가운데,

인 것을 순수 스피너(純粹spinor, 영어: pure spinor)라고 한다.

이 모든 정의들은 벡터 공간 대신,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벡터 다발에 대하여 정의할 수 있다.

일반화 칼라비-야우 다양체[편집]

매끄러운 다양체 의 일반화 접다발 이 자명한 순수 스피너 복소수 선다발을 갖는다면, 일반화 칼라비-야우 다양체라고 한다. 즉,

의 순수 스피너이며, 이며, 또한 모든 곳에서 이라면 은 일반화 칼라비-야우 다양체를 이룬다.

일반화 칼라비-야우 다양체 가 주어졌을 때, 위의 일반화 복소구조를 정의한다. 즉, 모든 일반화 칼라비-야우 다양체는 일반화 복소다양체를 이룬다.

[편집]

복소다양체[편집]

모든 복소다양체는 자명하게 일반화 복소다양체를 이루며, 모든 칼라비-야우 다양체는 자명하게 일반화 칼라비-야우 다양체를 이룬다. 복소수 차원 복소다양체 의 경우, 는 정칙 벡터장 및 -복소수 미분 형식들의 다발의 직합이다.

이 경우, 순수 스피너는 -복소수 미분 형식이며,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경우 정칙 부피 형식 이 존재하므로 일반화 칼라비-야우 다양체를 이룬다.

심플렉틱 다양체[편집]

모든 심플렉틱 다양체 역시 일반화 복소다양체를 이루며, 또한 일반화 칼라비-야우 다양체를 이룬다. 차원 심플렉틱 다양체 가 주어졌을 때, 순수 스피너는 다음과 같은 꼴의 복소수 미분 형식이다.

순수 스피너의 다발은 항상 자명하므로, 이는 항상 일반화 칼라비-야우 다양체를 이룸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일반화 정칙 접다발은 다음과 같은 꼴의 원소들로 구성된다.

역사[편집]

나이절 히친이 2002년에 거울 대칭을 다루기 위하여 도입하였다.[1] 이후 히친의 박사 과정 학생인 마르코 괄티에리(이탈리아어: Marco Gualtieri)가 박사 학위 논문에서 이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2]

참고 문헌[편집]

  1. Hitchin, Nigel J. (2003). “Generalized Calabi–Yau manifolds”. 《The Quarterly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54: 281-308. arXiv:math/0209099. Bibcode:2002math......9099H. doi:10.1093/qmath/hag025. 
  2. Gualtieri, Marco (2003). 《Generalized complex geometry》 (영어). 박사 학위 논문 (지도 교수 N. J. Hitchin). 옥스퍼드 대학교. arXiv:math/0401221. Bibcode:2004math......1221G.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