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이강철 (WMKR)/심사/기후변화 문서보강 프로젝트/불꽃송이/4월 28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후변화 적응(Climate change adaptation)은 기후변화의 영향에 적응하는 과정이다. 이는 현재 또는 예상되는 영향일 수 있다. 적응은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 것을 완화하거나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회를 활용하는 것도 목표이다. 인간은 자연계의 조정을 돕기 위해 개입할 수도 있다. 많은 적응 전략이나 옵션이 있다. 이는 사람과 자연에 대한 영향과 위험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적응 조치의 네 가지 유형은 인프라, 제도, 행동 및 자연 기반 옵션이다.

적응의 필요성은 장소에 따라 다르다. 이는 인간이나 생태계에 대한 위험에 따라 달라진다. 개발도상국은 기후 변화에 가장 취약하고 그 영향을 가장 많이 받기 때문에 적응이 특히 중요하다. 경제 생산량, 일자리 및 소득에 중요한 식량, 물 및 기타 부문에 대한 적응 요구가 높다.

적응 계획은 국가가 기후 위험을 관리하는 데 중요하다. 계획, 정책 또는 전략은 70% 이상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시, 지방 등 다른 수준의 정부에서도 적응 계획을 사용한다. 경제 부문도 마찬가지다. 기부 국가는 국가적 적응 계획 개발을 돕기 위해 개발도상국에 자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그들이 더 많은 적응을 구현하도록 돕는 데 중요하다. 지금까지 수행된 적응은 현재 기후변화 수준의 위험을 관리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는다.  그리고 적응은 또한 미래의 기후변화 위험을 예측해야 한다. 기후 변화 적응 비용은 향후 수십 년 동안 연간 수십억 달러에 달할 가능성이 높다. 대부분의 경우 비용은 피해를 방지하는 것보다 적다.

정의[편집]

IPCC에서 정의하는 기후변화 적응은 다음과 같다:

  • "인간의 시스템에서 피해를 완화하거나 유익한 기회를 이용하기 위해 실제 또는 예상되는 기후와 그 영향에 대한 적응 과정"[1]:5
  • "자연계에서 적응은 실제 기후와 그 영향에 대한 적응 과정이며 인간의 개입은 이를 촉진할 수 있다."[1]:5

적응을 위한 행동들은 점진적이거나 변혁적일 수 있다. 점진적이라는 것은 시스템의 본질과 본래의 모습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변혁적이라는 것은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대응하여 시스템의 기본 속성을 변경하는 것이다.

필요성[편집]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부터 행해져왔으며 하위분야에 대한 연구 또한 그 수와 다양성이 증가해왔다. 적응은 2010년대 파리협정 이후 정책의 분야로 확립되었고 정책연구의 중요한 주제가 되었다.[2]:167[3]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연구[편집]

더 알아보기: 기후변화의 영향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기후변화가 사람, 생태계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부터 시작한다. 영향을 받는 범주는 삶, 생계, 건강 및 웰빙, 생태계와 종(種), 경제, 사회 및 문화적 가치 그리고 인프라 등이 있다.[4] :2235 또한 이러한 영향에는 농산물의 수확량 변화, 빈번해진 홍수 혹은 가뭄 또는 산호 표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영향들에 대해 분석하는 것은 현재와 미래의 적응이 요구하는 옵션들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2023년 세계 평균 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14.98°C 높으며 (2022년에는 1.2°C 였다) 세기말에 이르러서는 2.5 to 2.9°C 까지 증가하는 추세이다.[5] 이는 다양한 2차 효과를 일으킨다.

기후변화의 많은 부정적인 영향들은 평균적인 조건들의 변화보다 극단적인 변화가 대부분이다.[6] 예를 들어 한 항구에서의 평균해수면보다 폭풍 해일에서의 수위가 더 중요하다. 이는 폭풍 해일은 홍수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 지역에서의 평균 강우량 또한 극심한 가뭄 혹은 홍수의 빈도보다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재해 위험과 이에 대한 대응 및 대비[편집]

기후 변화는 재해를 유발할 수 있다. 그렇기에 전문가들은 기후변화 적응을 재난위험을 경감시키기 위한 여러 방법들 중 하나로 여기기도 한다.[7] 결국 재난에 대한 위험을 경감시키는 것은 지속가능한개발에 대한 광범위한 고려 대상 중 하나이다. 기후변화 적응과 재난위험경감은 위험의 잠재적 영향을 줄이고 위험에 처한 사람들의 회복력을 높이기 위함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갖는다.[8]

재난은 종종 자연적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화재나 홍수 혹은 가뭄과 같은 자연적인 사건들 그 자체로는 재난이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러한 사건들로 인해 사람들이 영향을 받거나 사람에 의해 발생한 경우 재난이라고 일컬어진다. 자연재해는 항상 인간의 행동이나 활동과 연관되거나 인위적인 과정에 의해 발생되어진다고 여겨진다. 재난, 경제적 손실 그리고 위협을 유발하는 근본적인 취약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후변화와 같은 범지구적인 위협은 모든 곳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9] 과학자들은 기후 변화가 이상기후 현상과 재난의 빈도와 심각성을 증가시킬 것이라 예측한다. 따라서 적응에는 대비 혹은 관련 재난 대응 능력을 높이기 위한 조치들이 포함된다.

목표[편집]

인간에게는 피해를 완화하거나 회피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그 기회들을 이용하고자 한다. 자연계에서의 적응은 적응을 돕기 위한 인간의 개입을 말한다.[10]

정책적 목표[편집]

2015년에 합의된 파리협정에서 21세기 지구의 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2°C 이하로 유지하고, 온도 상승을 1.5°C로 제한하기 위한 노력을 추진하도록 요구한다.[11] 온실가스배출이 가까운 미래에 완전히 사라진다고 하더라도 지구온난화와 그 영향은 수년간 더 지속된다. 이는 기후 시스템의 관성때문이며 그렇기에 탄소 중립(Net zero)과 적응이 모두 필요한 이유이다.[12]

적응에 관한 글로벌 목표도 파리협정에 따라 수립되었다. 전지구적 적응 목표의 구체적인 목표 및 지표는 개발중에 있다.[13] 목표와 지표들은 협정 당사국들의 정부의 장기적인 적응 목표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1.5/2°C 목표의 맥락에서 가장 취약한 국가의 적응 요구에 대한 지원 자금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기에는 세가지 핵심 요소들이 있다. 기후 변화에 대한 노출(exposure)과 취약성(vulnerability)를 줄이고 적응 능력(adaptive capacity)을 향상시키며 회복력(resilience)을 강화한다.[14]

위험요소 감소: 취약성 및 노출[편집]

적응은 상호작용하는 위험(hazards), 취약성(vulnerability), 노출(exposure) 3가지의 위험 요소를 해결함으로써 기후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이 위험들을 직접 없애는 것은 불가능한데 이는 기후의 현재와 미래에 일어나는 변화들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대신 적응은 기후 관련 위험이 인간 및 생태 시스템의 노출 및 취약성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통해 일어나는 기후 영향의 위험을 다룬다.[15]:145–146 노출이란 사람, 생계, 생태계 및 기타 자산들이 기후 변화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들을 받을 수 있는 장소에 있는 것을 말한다.[16] 범람원과 같이 기후 위험이 높은 지역에서는 뒤로 물러나 벗어남으로써 노출을 줄일 수 있다. 대피를 위한 조기 경보 시스템 개선 또한 노출을 줄일 수 있다.[17]:88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는 기후변화 취약성을 "기후변화로 인해 악영향을 받을 성향이나 경향"이라고 정의한다.[16] 이는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계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인간과 생태계의 취약성은 상호 의존적이기 때문이다.[18]:12 IPCC에 따르면 기후변화 취약성은 피해에 대한 민감성 또는 감수성, 대처 및 적응 능력 부족 등 다양한 개념과 요소를 포함한다.[18]:5 예를 들어 저수지의 저장 용량을 늘리거나 기후 변동에 더 강한 작물을 심으면 기후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감소할 수 있다.[19] 녹색 정원이 있는 마을과 도시의 취약성을 줄이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것들은 저소득 지역에서의 열 스트레스와 식량 불안정을 줄일 수 있습니다.[20]:800

생태계 기반 적응은 기후 위험에 대한 취약성을 줄이는 한 가지 방법이다. 예를 들어 맹그로브는 폭풍의 힘을 줄일 수 있으며 홍수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그렇기에 맹그로브 서식지를 보호하는 것은 적응의 한 예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보호방안과 생계의 다양화는 회복탄력성을 증가시키고 취약성을 감소시킨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사회적 보호를 강화하고 더 강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법이 있다.[21]

적응 역량 강화[편집]

기후 변화라는 맥락에서 적응 능력은 인간, 자연 또는 관리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기후 변동성과 극한의 상황들에 대해서, 기후 변화에 적응하여 잠재적인 피해를 완화하고 기회를 활용하거나 결과에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의 능력을 말한다.[22] 적응 용량은 적응 자체와 같지 않다.[23] 적응 능력은 기후 관련 위험의 부정적인 영향 가능성을 줄이는 능력을 말한다.[24] 효과적인 적응 전략을 설계 및 구현하거나 진화하는 위험 및 스트레스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이를 수행한다. 그렇기에 변화에 빠르고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사회가 적응 능력이 높다.[25] 반대로, 높은 적응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반드시 성공적인 적응 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형평성과 웰빙 향상이라는 목표에 항상 성공하는 것도 아니다.[26]:164 예를 들어, 서유럽의 적응 능력은 일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전문가들 가축이 걸리는 질병들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따뜻한 겨울의 위험을 연구했음에도 2007년 유럽에서 많은 지역의 가축들이 청설병에 걸림으로써 여전히 골머리를 앓았다.

일반적으로 적응 역량은 고소득 국가와 저소득 국가 간에 차이가 있다.[27] ND-GAIN(Notre Dame Global Adaptation Index)과 같은 일부 지수들에 의하면 고소득 국가는 적응 역량이 더 높은 경향이 있지만 국가들 간에도 큰 편차가 존재한다.[28]:164 적응 능력의 결정 요인은 다음과 같다:[29]:895–897

  • 경제적 자원: 부유한 국가는 가난한 국가보다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 비용을 더 잘 부담할 수 있다.
  • 기술: 기술의 부족은 적응을 방해할 수 있다.
  • 정보 및 기술: 성공적인 적응 옵션을 평가하고 구현하기 위해 충분한 정보와 훈련된 인력을 필요로 한다.
  • 사회기반시설
  • 제도: 사회 제도가 잘 발달된 국가는 보다 덜 효율적인 제도를 가진 국가보다 적응 능력이 더 클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전환기에 있는 개발도상국과 경제에서의 제도가 비교적 덜 발달되어있다.
  • 형평성: 일부 사람들은 자원에 대해 공평한 접근을 할 수 있는 정부 기관과 제도가 있는 곳에서의 적응 능력이 더 높다고 한다.

회복탄력성 강화[편집]

IPCC는 기후 회복탄력성을 "위험한 사건이나 추세 혹은 교란에 대처할 수 있는 사회, 경제 및 생태계의 능력"이라 말하며 재구성 및 학습능력을 포함한다.[30]:7 이는 기후 변화 적응의 정의와 유사하지만 회복탄력성은 변화를 흡수하기 위한 보다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포함한다. 효율성을 위해 그러한 변화를 이용하기도 한다. 위기를 기회로 삼아 인간이 시스템을 재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31]:174 그들은 재구성을 개발목표와 같은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 수 있다.[32]

완화와의 시너지[편집]

기후변화를 제한하기 위한 전략들은 적응과 상호보완적이다.[33]:128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대기중에서 없애기 위한 노력들을 통해 온난화를 멈추는것을 기후변화 완화라고 한다.

이러한 적응완화 사이에는 시너지와 공통의 이익이 있다. 예를 들면 대중교통이 완화와 적응에서의 시너지를 만들 수 있다. 대중교통은 자동차보다 이동거리당 온실가스 배출량이 낮으며 좋은 대중교통 네트워크는 대피를 용이하게 하기에 재난상황에서의 회복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대중 교통으로 인한 대기 오염 감소는 개개인의 건강을 향상시킨다. 이는 다시 근로자들의 건강 수준을 높여 더 나은 성과를 내게 하기에 경제적 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34]

대응 옵션[편집]

적응에 대한 많은 적응대책, 전략 또는 해결책들과 같은 옵션들이 있다. 이러한 옵션들을 통해 기후변화가 가져오는 사람과 자연에 대한 영향과 위험들을 줄이고자 한다.

현재의 적응은 단기적인 기후위험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물과 농업과 같은 특정 분야나 혹은 아프리카와 아시아와 같은 더 취약한 지역들에 초점을 맞춘다.[35] 위험들로부터 견딜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오늘날의 기후변화 수준과 이행되고 있는 현재의 적응 수준 사이의 갭(gap)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앞으로의 적응은 미래의 기후변화 위험도 예측해야한다. 현재의 옵션들 중 일부는 지구 온난화가 더욱 증가함에 따라 그 효과가 떨어지거나 실현 불가능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적응 대응들은 모두 직접적으로 위험을 줄이고 기회들을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4가지 범주로 나뉜다:[36]:2428

  1. 인프라 및 기술 적응(엔지니어링, 구축 환경, 첨단 솔루션 포함);
  2. 제도적 적응(경제조직, 법령, 정부정책 및 프로그램);
  3. 행동 및 문화(개인 및 가정 전략, 사회 및 지역사회 접근);
  4. 자연 기반 솔루션(생태계 기반 적응 옵션 포함).

또한 3가지 카테고리로 나뉠 수 있다.

  1. 구조적 및 물리적 적응(엔지니어링 및 구축 환경, 기술, 생태계 기반, 서비스 포함);
  2. 사회 적응(교육적, 정보적, 행동적);
  3. 제도적 적응(경제조직, 법령, 정부정책 및 프로그램).[37]:845

적응 유형을 구별하는 다른 방법들로는 예상 대 반응, 자율 대 계획, 점진적 대 변혁적이 있을 수 있다.[38]:134

  • 점진적인 적응 행동들은 시스템의 본질과 본래의 모습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변혁적 행동은 기후변화와 그 영향에 대응하여 시스템의 기본 속성을 바꾸는 것이다.[39]
  • 자율적응은 경험된 기후와 그 영향들에 대해 대응하는 적응이다. 그것은 명시된 계획을 포함하지 않으며 기후 변화를 해결하는 데 특별히 초점을 맞추지는 않는다.[39] 계획된 적응은 반응적이거나 사전적일 수 있다. 사전적응은 영향이 발생하기 전에 수행되는 것이다. 기후 변화에 대한 자율적인 적응에만 의존하면 상당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계획된 적응을 통해 이러한 비용의 많은 부분을 줄일 수 있다.[40]:904

인프라 및 기술 옵션[편집]

구축된 환경[편집]

구축된 환경 옵션에는 홍수, 해수면 상승, 폭염 및 극심한 더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또는 개선이 포함된다. 또한 농업에서의 변화한 강우 패턴에 대응하기 위한 인프라도 포함된다. 관개 시설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이것들은 아래의"기후 변화 영향의 유형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하고있다.

조기경보시스템[편집]

조기 경보 시스템(Early warning system)은 일련의 정보 통신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경보 시스템으로, 위험을 조기에 식별하기 위한 센서, 이벤트 감지 및 의사 결정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것들은 함께 작동하여 물리적 세계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란을 예측하고 신호를 보내 대응 시스템이 불리한 사건에 대비하고 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다.

효과적이려면 조기 경보 시스템이 위험에 처한 지역사회를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공공 교육과 위험 인식을 촉진하고, 경보와 경고를 효과적으로 전파하고, 지속적인 준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완전하고 효과적인 조기 경보 시스템은 위험 분석, 그리고 모니터링, 경고, 보급 및 의사소통, 그리고 대응 능력이라는 네 가지 주요 기능을 지원한다.[41]

기후 서비스[편집]

기후 정보 서비스(CIS)(또는 기후 서비스)는 사람과 조직이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기후 데이터를 배포하는 것을 수반합니다. CIS는 사용자가 변화하고 예측할 수 없는 기후와 관련된 위험을 예측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관련되고 정확하며 신뢰할 수 있는 기후 정보에 대한 타깃 사용자 커뮤니티의 접근, 해석, 소통 및 사용과 그 사용에 대한 피드백을 포함하는 지식 루프를 포함합니다. 기후 정보 서비스에는 유용한 기후 데이터, 정보 및 지식의 적시 생산, 번역 및 전달이 포함됩니다. 기후 서비스는 가장 사용 가능하고 접근 가능한 형식으로 사용 가능한 최상의 기후 정보를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그들은 기후 변화 적응, 완화 및 위험 관리 결정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후 데이터를 해석, 분석 및 소통하기 위한 광범위한 관행과 제품이 있습니다. 그들은 종종 다양한 소스와 다양한 유형의 지식을 결합합니다. 그들은 잘 지정된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기후 서비스는 과학적 연구의 결과인 공급 중심 정보 제품에서 변화를 나타냅니다. 대신 수요 중심적이며 사용자의 요구와 의사 결정을 더 많이 고려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서비스가 제공하고자 하는 목표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프로듀서 참여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협업을 공동 디자인이라고 합니다.[42]

제도적 옵션[편집]

제도적 대응에는 구역 규제, 새로운 건축 법규, 새로운 보험 제도 및 조정 메커니즘이 있다.[43]

정책은 기후변화적응에 대한 문제들을 통합하는 중요한 장치이다.[44] 국가수준에서의 적응전략은 국가적응계획(NAPS(National Adaptation Plan))와 국가적응행동계획((National Adaptation Programme of Action))(NAPA)에 나타난다. 또한 국가 기후 변화 정책과 전략에서도 나타난다.[45] 이들은 다른 국가들과 도시들에서 다양한 수준에서의 개발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 "이행" 섹션에서 더욱 알아보자.

토지 이용 계획, 공중 보건 및 재난 관리에 대해서는 시, 주 및 지방정부가 상당한 책임을 지는 경우가 많다. 제도적 적응 대응은 다른 영역에서보다 도시에서 더 자주 나타난다.[46]:2434 일부는 홍수, 산불, 폭염, 해수면 상승 등 기후 변화로 심화된 위협들에 적응하기 시작했다.[47][48][49]

건축 법규[편집]

건물이 준수해야 하는 법규 또는 규정을 관리하는 것은 극한의 추위로부터 사람들을 건강하고 편안하게 하거나 홍수로부터 그들을 보호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하다.[50]:953–954 이를 위한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단열 향상, 일사 차폐 추가, 자연 환기 또는 패시브 쿨링 증가, 도시 열섬 효과를 줄이기 위한 녹색 지붕을 조성하도록 규제하거나 수변에 위치한 건물들이 더 높은 지반에 위치하도록 하는 규제들이 있다.[50]:953–954 토지 이용 구역 통제는 도시 개발에 대한 투자의 중심이다. 홍수와 산사태 위험지역에 대한 위협을 줄일 수 있다.[50]:942–943

보험[편집]

보험은 홍수 및 기타 기상이변에 대해 재정적 영향을 넓힐 수 있다.[51] 이러한 옵션의 가용성이 증가하고 있다.[52]:814 예를 들어, 지수형보험은 강수량 또는 기온과 같은 날씨 지수가 임계값을 초과할 때 지급하게되는 새로운 상품이다. 농부와 같은 고객들이 생산에 대한 위험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재보험에 대한 접근은 도시를 더 탄력적으로 만들 수 있다.[53] 민간보험시장이 실패할 경우 공공부문이 보험료를 보조할 수 있다.[54] 한 연구에서 정책 고려 사항에 대한 주요한 형평성 문제를 찾아내었다:

  • 공공자금에 위험을 전가한다고 해서 전체적인 위험이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 정부는 손실 비용을 공간이 아닌 시간에 따라 분산시킬 수 있다;
  • 정부는 위험이 낮은 지역의 주택 소유자에게 위험이 높은 지역의 주택 소유자의 보험료를 교차 보조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
  • 경쟁 시장에서 운영되는 민간 부문 보험사들의 교차 보조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 정부는 미래의 재난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사람들에게 세금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국가 홍수 보험 프로그램과 같은 위험 지역의 부동산을 개발하기 위한 정부 보조 보험은 인센티브의 역효과를 일으킨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는 전반적인 위험을 증가시킨다.[55] 보험은 또한 적응을 증가시키기 위한 재산 수준 보호 및 회복력과 같은 다른 노력들을 도리어 약화시킬 수도 있다.[56] 적절한 토지 이용 정책은 이러한 행동 효과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정책은 현재 또는 미래에서 기후 위험이 있는 경우 신축을 제한한다. 그들은 또한 잠재적인 손실을 완화하기 위해 탄력적인 건축 법규의 채택을 권장한다.[57]

협동 메커니즘[편집]

협은 다양한 사람들 또는 조직들이 공유하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정보 공유 또는 적응 옵션들의 공동이행이 있다. 협동은 자원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것에 도움이 된다. 중복을 방지하고 정부들간의 일관성을 도모하며 관련된 모든 사람들과 조직들이 작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58]:5 식품 생산 부문에서 UNFCCC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적응 프로젝트에는 종종 국가 정부와 주, 지방 또는 도시 수준에서의 행정부 간의 협동이 이루어진다. 지역사회 수준과 국가 정부 간의 협력 사례는 더 적다.[59]

행동 및 문화적 옵션[편집]

개인과 가정이 적응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개발도상국(global south)에서 그 예를 더 찾을 수 있다. 행동적 적응이란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전략, 관행 및 행동의 변화이다. 홍수로부터 집을 보호하고, 가뭄으로부터 작물을 보호하거나 다양한 소득 창출 활동들을 선택하는 것들을 말한다. 이러한 행동적 적응은 적응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60]:2433

식단과 음식물 쓰레기의 변화[편집]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는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증가한다. 또한 홍수 및 오염과 같은 극심한 사건에 의해서 증가하기도 한다.[61]:787 이것은 식품 공급망의 다양한 지점에서 발생할 수 있기에 식량 안보와 영양에 위험이 될 수 있다. 적응 조치는 공급업체의 생산, 처리 및 기타 취급 관행을 되돌아본다. 손상된 제품을 분리하기 위한 추가 분류, 더 나은 보관 또는 개선된 포장을 위해 제품을 건조하는 것 등이 그 예이다..[61]:787 소매업체와 소비자를 위한 다른 행동 변화 옵션으로는 온전하지 않은 과일과 채소의 수용, 잉여 음식의 재분배, 거의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에 대한 가격 인하가 있을 수 있다.[62]

칼로리를 초과 소비하는 지역의 식이 변화 옵션에는 육류 및 유제품을 식물성 식품의 더 높은 비율로 대체하는 것이 있겠다. 이는 완화와 적응 모두에 대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식물성 식품 옵션은 에너지와 물을 보다 적게 소모한다. 적응 옵션은 지역, 사회경제 및 문화적 맥락에 더 적합한 식이 패턴을 조사할 수 있다. 사회문화적 규범은 음식에 대한 선호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보조금, 세금 및 마케팅과 같은 정책은 적응에 도움이 되는 이와 같은 식단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61]:799

생활전략의 변화[편집]

농업은 적응에 많은 기회들을 제공한다.심는 시기를 변경하거나 기후 조건 및 해충 발생에 더욱 잘 적응하는 작물 및 가축으로 변경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혹은 더 탄력적인 작물을 기르거나 유전자 변형 작물을 선택하는 방법도 있다.[63]:787 이 모든 방법들은 식량 안보와 영양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주와 관리후퇴[편집]

이주는 어떤 사람들에게는 행동적인 기후 적응으로 간주되지만, 다른 사람들은 오히려 기후 반응으로 간주합니다. IPCC 6차 평가 보고서는 "이주, 재배치 및 재정착과 같은 일부 반응은 적응으로 간주되거나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64]:27

많은 요인들이 이주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주가 기후변화에 얼마나 많이 영향을 받는가에 대해서는 설명하기 어렵다. 환경은 그저 많은 요소들 중 하나이다. 오히려 경제적, 인구 통계학적 또는 정치적 요인이 이주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다. 기후 변화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거나 다른 요인들에 비해 덜 중요한 원인이다.[65]:1079–1080

계절이동 또는 유동은 유목민이나 도심에서 계절노동을 하는 것과 같은 전통적인 전략을 포함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자발적인고 경제적인 동기에 의하는 것이다. 기후변동과 극한의 날씨들은 이러한 이동에 영향을 미친다.[66]:2428 날씨 변동성은 농업 소득과 고용 감소의 중요한 원인인데 기후 변화로 인해 이러한 영향을 받을 더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 결과 시골에서 도시로의 이동이 증가하게 된다.[66]:2428

사회적 보호와 여성의 권한 부여 촉진과 같은 적응 능력을 높이는 조치는 이주에 취약한 사람들을 도울 수 있다.[67]:25 때때로 사람들은 이주를 원하지 않거나 할 수 없기도 하다. 그런 경우에는 정부가 사람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개입할 필요가 있다.[65]:1079–1081 이를 관리후퇴라고 한다.

자연 기반 옵션[편집]

자연기반해법(NBS:Nature-Based Solution)은자연 및 생태계와 협력하여 사회와 전반적인 생물다양성에 이점을 제공한다. 기후변화라는 맥락에서 야생 종과 서식지에 혜택을 주고 지원하는 적응 및 완화 옵션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종종 다른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에 기여한다.[68]

자연 기반 해법은 생태계 기반 적응으로 알려진 행동을 포함하는 가장 중요한 용어이다.[69] 그러나 자연기반해법는 기후 변화에 국한되지 않으며 기후 변화 완화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그렇기에 이것은 덜 구체적인 용어이다.[70]:284 적응과 완화 두 접근 방식 모두 사람과 자연에 대한 이점을 동시에 제공해야 한다.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지원[편집]

생태계는 기후 변화에 대한 회복력에 따라 지구 온난화에 적응한다. 인간은 생물 다양성을 강화하기 위해 생태계가 적응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한 가지 예는 생태계 간의 연결을 증가시켜 종들이 더 유리한 기후 조건으로 스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혹은 인간의 운반을 통해 식물이나 동물의 이러한 이동을 도울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산호초가 기후 변화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과학적인 연구 개발을 이용하는 것이다. 자연 및 반자연(semi-natural) 지역에서의 보호 및 복원은 복원력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생태계가 더 쉽게 적응할 수 있다.[71]

인간 및 사회 지원[편집]

생태계 적응을 촉진하는 많은 방법들은 생태계 기반 적응과 자연기반해법을 통해 인간의 적응을 돕기도한다. 예를 들어, 자연 화재 체제의 회복은 치명적인 화재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이러한 위험에 대한 인간의 노출을 줄인다. 강의 수역을 더 넓히면 자연계가 더 많은 물을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이것은 거주 지역에서의 홍수 발생 가능성을 낮춘다. 녹지 제공과 나무를 심음으로서 가축에게 그늘을 만들어 준다. 일부 지역에서는 농업 생산과 생태계 복원 사이에 상충 관계가 있기도하다.[72]

영향 유형별 옵션[편집]

일부 적응 옵션은 홍수 또는 가뭄과 같은 특정 기후 위험을 다룬다. 다른 옵션들은 다양한 위협들 뿐만 아니라 이주와 같이 이에 기여하는 다른 요인으로 인한 위험이 있을 때 나타난다.

홍수[편집]

도시나 마을에서 도시 침수로 인해 홍수가 발생하거나 해안 침수로 인하여 해안에서 발생할 수도 있으며 해수면 상승은 이러한 해안 침수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빙하호 붕괴 홍수의 위험 또한 존재한다.

많은 홍수의 적응 옵션들이 있다:[73]

  • 홍수방벽, 해벽, 양수능력 증대 등 홍수방호 개선 설치[74]
  • 빗물 배수구로 해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설치[75]
  • 강우로 인한 유출 증가를 처리하기 위한 빗물탱크. 포장된 면적을 줄이거나 물이 스며드는 포장도로 변경, 물 완충 식물 추가, 지하 저장 탱크 추가, 가정용 빗물 통 보조금 지급 등이 있다.[76][77]
  • 폐수처리장 펌프 올리기[75]
  • 홍수 위험 지역의 주택 소유자 매수[78]
  • 침수 방지를 위한 도로 수위 상승[74]
  • 맹그로브 사용 및 보호[79]
  • 빙하호 붕괴 홍수에 대비하여 빙하 호수 보호를 위해 제방을 콘크리트 댐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수력 발전을 제공할 수도 있다.[80]

비가 더 자주 내리는 지역에서는 폭풍수(빗물) 시스템의 용량을 늘릴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빗물과 블랙워터를 분리하여 성수기의 범람이 하천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해야한다. 한 예로 쿠알라룸푸르의 SMART Tunnel시스템이 있다.

뉴욕시는 허리케인 샌디 이후 재건 및 복원 계획에 대한 포괄적인 보고서를 작성했다. 여기에는 건물이 침수되지 않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있으며 폭풍 중과 폭풍 후에 발생하는 특정 문제를 재발 가능성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기에는 법적·교통적 문제, 침수된 보건의료시설, 보험료 인상, 전기·증기 발생·배전망 훼손, 지하철·도로터널 침수 등으로 인한 피해 영향을 받지 않은 지역에서도 발생하는 몇 주 동안의 연료 부족이 포함된다.[81]

해수면상승[편집]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는 것은 2050년 이후 해수면 상승 속도를 늦추고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것은 비용과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지만, 그것을 완전히 멈출 수는 없다. 따라서 해수면 상승에 대한 기후 변화 적응은 불가피하다.[82](p. 3–127) 가장 간단한 방법은 취약 지역의 개발을 중단하고 궁극적으로 사람들과 사회 기반 시설을 그들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해수면 상승으로부터의 후퇴는 종종 사람들의 생계를 앗아간다. 이로인하여 새로이 가난해진 사람들의 이동은 그들의 새로운 가정에 부담을 주고 사회적 긴장을 야기할 수 있다.

강화된 보호 기능을 통해 해수면 상승에서의 후퇴를 방지하거나 최소한 이를 지연시킬 수 있다. 여기에는 댐, 제방 또는 개선된 자연 방어가있다.[83] 다른 옵션으로는 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건물 기준을 업데이트하거나, 만조 시 더 빈번하고 심하게 발생하는 홍수를 해결하기 위해 빗물 밸브를 추가하거나,[84] 비용이 더 들더라도 토양의 염분에 더 잘 견디는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있다.[85][86][87] 이러한 옵션은 경성적응(Hard adaptiation)과 연성적응(Soft adaptation)으로 나뉜다. 경성적응은 일반적으로 인간 사회와 생태계에 대한 대규모 변화를 수반하며 자본 집약적인 인프라 구축을 포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연성적응은 자연 방어와 지역 사회 적응을 강화하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단순하고 모듈식이며 지역 소유의 기술을 포함한다. 두 가지 유형의 적응은 상호 보완적이거나 상호 배타적이다.[88][89] 적응 옵션은 종종 상당한 투자를 필요로 하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경우 필요 비용이 훨씬 더 크다.

폭염[편집]

2020년의 연구에 따르면 현재 지구에서 인구의 3분의 1이 거주하는 지역은 향후 50년 이내에 사하라 사막의 가장 더운 지역만큼 더워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온난화 상한을 1.5 °C로 제한하기 위해 온실 가스 배출량을 급격하게 줄이지 않는 한 인구 증가 패턴의 변화와 이주 없이 발생할 것이다.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될 지역은 2020년 현재 적응 능력이 거의 없다.[90][91][92]

열섬현상으로 인해 도시는 폭염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 기후변화는 도시의 열섬효과를 초래하지 않지만 보다 빈번하고 격렬한 폭염을 유발하기에 이는 도시의 열섬효과를 증폭시키게 된다.[93]:993 작고 밀집된 도시개발은 도시열섬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더 높은 온도와 더 높은 노출을 초래한다.[94] 나무면적(tree cover)과 녹지는 도시의 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것들은 그늘을 제공하고 증발 냉각을 촉진한다.[95] 다른 옵션으로는 녹색지붕, 수동 주간 복사 냉각 적용, 도시 지역에서의 보다 밝은 색상의 표면사용과 흡수성이 낮은 건축 자재 사용 등이 있다. 이것들은 더 많은 햇빛을 반사하고 더 적은 열을 흡수한다.[96][97][98] 혹은 도시의 나무를 더 내열성이 높은 품종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99][100]

증가된 열에 적응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에어컨과 냉방 시스템의 사용과 개발. 에어컨을 추가하면 학교와 직장이 더 시원해질 수 있지만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으면 추가적인 온실 가스 배출을 초래한다.
  • 주택 및/또는 냉동용 태양 에너지 패시브 냉각 시스템

농업에서의 강우 패턴 변화[편집]

기후 변화는 세계적인 강우 패턴을 바꾸고 있으며 이것은 농업에 영향을 미친다.[101] 하늘바라기 농업은 세계 농업의 80%를 차지한다.[102] 세계의 8억 5천 2백만명의 가난한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이 식량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강우에 의존하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 살고 있다. 기후 변화는 강우, 증발, 유출 및 토양 수분 저장을 변화시킨다. 가뭄이 길어지면 소규모 농가와 변방 농가가 망해게 되어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

물 가용성은 모든 종류의 농업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총 계절 강수량의 변화나 변동성 패턴 모두 중요하다. 개화, 수분, 결실 시의 수분 스트레스는 대부분의 작물에 해를 입힌다. 특히 옥수수, 콩, 그리고 밀에 해로우며 토양의 증발 증가와 식물 자체의 가속화된 증산은 수분 스트레스를 야기한다.

여러 적응 옵션이 있다. 하나는 가뭄에 더 잘 견디는 작물 품종을 개발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지역 빗물 저장고를 건설하는 것이다. 짐바브웨에서 물을 수확하기 위해 작은 식물 분지를 사용한 것은 옥수수 수확량을 증가시켰다. 이것은 강우량이 풍부한지 부족한지에 따라 일어나며 니제르에서는 기장의 수확량이 서너 배 증가했다.

기후 변화는 식량 안보와 물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 식량 안보를 개선하고 향후 기후 변화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식량 시스템을 조정할 수 있다.[103]

관개에 대한 더 많은 지출[편집]

보다 따뜻한 기후에서 관개용 물에 대한 수요가 많아질 가능성이 높다. 이는 농업과 도시 및 산업에서의 이용자 간의 경쟁을 증가시킬 것이다. 스텝 지역에서 농업은 이미 가장 큰 물 소비자이다. 낮아지는 수위와 그로 인한 물 펌프 에너지 증가는 관개 비용을 더 비싸게 만들 것이며 특히 건조한 조건에서 에이커당 더 많은 물이 필요한 경우이다. 다른 전략은 수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국제 물 관리 연구소는 기후 변화에 비추어 아시아가 증가하는 인구를 먹여 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섯 가지 전략을 제안했다. 이는 기존 관개 계획을 현대 농업 방식에 맞게 현대화하는 것;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지하수를 활용하여 자신의 물 공급을 찾으려는 농부들의 노력을 지원하는 것; 민간 부문과 협력하여 기존의 참여 관개 관리 계획을 넘어서는 것; 용량과 지식을 확장하는 것; 관개 부문 외부에 투자하는 것이다.[104]

가뭄과 사막화[편집]

재조림은 기후 변화와 지속 불가능한 토지 사용으로 인한 사막화를 막을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가장 중요한 프로젝트 중 하나는 사하라 사막의 남쪽 확장을 막는 것을 목표로 하는 녹색장성이다. 2018년까지 15%정도가 실행되었지만 그럼에도 이미 많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여기에는 나이지리아의 황폐화된 땅 1200만 에이커(500만 헥타르)의 복원, 세네갈 전역에 가뭄에 강한 나무 약 3000만 에이커를 심는 것, 에티오피아에 3700만 에이커의 땅을 복원하는 것 등이있다. 수목 정비로 지하수 관정이 식수로 채워지고, 농촌 마을에 추가적인 식량 공급이 이루어졌으며, 마을 주민들의 새로운 노동력과 소득원이 생겨났다.[105][106][107]

각주목록[편집]

  1. IPCC, 2022: Summary for Policymakers [H.-O. Pörtner, D.C. Roberts, E.S. Poloczanska, K. Mintenbeck, M. Tignor,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ed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3–33, doi 10.1017/9781009325844.001
  2. Ara Begum, R., R. Lempert, E. Ali, T.A. Benjaminsen, T. Bernauer, W. Cramer, X. Cui, K. Mach, G. Nagy, N.C. Stenseth, R. Sukumar, and P. Wester, 2022: Chapter 1: Point of Departure and Key Concept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121–196, doi 10.1017/9781009325844.003
  3. Klein, R.J.T., Adams, K.M., Dzebo, A., and Siebert, C.K. (2017). Advancing climate adaptation practices and solutions: emerging research priorities. SEI Working Paper 2017-07. Stockholm, Sweden.
  4. IPCC, 2021: Annex VII: Glossary [Matthews, J.B.R., V. Möller, R. van Diemen, J.S. Fuglestvedt, V. Masson-Delmotte, C.  Méndez, S. Semenov, A. Reisinger (eds.)]. In Climate Change 2021: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Masson-Delmotte, V., P. Zhai, A. Pirani, S.L. Connors, C. Péan, S. Berger, N. Caud, Y. Chen, L. Goldfarb, M.I. Gomis, M. Huang, K. Leitzell, E. Lonnoy, J.B.R. Matthews, T.K. Maycock, T. Waterfield, O. Yelekçi, R. Yu, and B. Zhou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pp. 2215–2256, doi 10.1017/9781009157896.022
  5. “Temperatures”. 《climateactiontracker》 (영어). 2022년 11월 3일에 확인함. 
  6. “Climate Change 2001: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Grida.no. 2010년 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9일에 확인함. 
  7. Kelman, Ilan; Gaillard, J C; Mercer, Jessica (March 2015). “Climate Change's Role in Disaster Risk Reduction's Future: Beyond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ster Risk Science》 (영어) 6 (1): 21–27. Bibcode:2015IJDRS...6...21K. doi:10.1007/s13753-015-0038-5. ISSN 2095-0055. 
  8. “Managing the Risks of Extreme Events and Disasters to Advance Climate Change Adaptation — IPCC”. 2022년 11월 16일에 확인함. 
  9. 《Global Assessment Report on Disaster Risk Reduction 2022. Our world at risk transforming governance for a resilient future》. Geneva: United Nations Offi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22. ISBN 978-92-1-232028-1. OCLC 1337569431. 
  10. IPCC, 2022: Annex II: Glossary [Möller, V., R. van Diemen, J.B.R. Matthews, C. Méndez, S. Semenov, J.S. Fuglestvedt, A. Reisinger (ed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2897–2930, doi 10.1017/9781009325844.029
  11. “The Paris Agreement”. 《unfccc international》. 2020년 11월 24일에 확인함. 
  12. Farber, Daniel A. (2007). “Adapting to Climate Change: Who Should Pay?”. 《Journal of Land Use & Environmental Law》 23: 1. doi:10.2139/ssrn.980361. ISSN 1556-5068. S2CID 153945185. 2019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27일에 확인함. 
  13. GREENIUM (2022년 11월 21일). “전지구적 적응 목표”. 2024년 4월 13일에 확인함. 
  14. Adaptation Committee, 2021, Approaches to reviewing the overall progress made in  achieving the global goal on adaptation
  15. Ara Begum, R., R. Lempert, E. Ali, T.A. Benjaminsen, T. Bernauer, W. Cramer, X. Cui, K. Mach, G. Nagy, N.C. Stenseth, R. Sukumar, and P. Wester, 2022: Chapter 1: Point of Departure and Key Concept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121–196, doi 10.1017/9781009325844.003
  16. IPCC, 2022: Annex II: Glossary [Möller, V., R. van Diemen, J.B.R. Matthews, C. Méndez, S. Semenov, J.S. Fuglestvedt, A. Reisinger (ed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2897–2930, doi 10.1017/9781009325844.029
  17. Abram, N.; Gattuso, J.-P.; Prakash, A.; Cheng, L.; 외. (2019). 〈Chapter 1: Framing and Context of the Report〉 (PDF). 《The Ocean and Cryosphere in a Changing Climate》. IPCC. 
  18. IPCC, 2022: Summary for Policymakers [H.-O. Pörtner, D.C. Roberts, E.S. Poloczanska, K. Mintenbeck, M. Tignor,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ed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3–33, doi 10.1017/9781009325844.001
  19. Adger, W. Neil, Nigel W. Arnell, and Emma L. Tompkins. "Successful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cross scales." Global environmental change 15, no. 2 (2005): 77–86.
  20. Bezner Kerr, R., T. Hasegawa, R. Lasco, I. Bhatt, D. Deryng, A. Farrell, H. Gurney-Smith, H. Ju, S. Lluch-Cota, F. Meza, G. Nelson, H. Neufeldt, and P. Thornton, 2022: Chapter 5: Food, Fibre, and Other Ecosystem Product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713–906, doi 10.1017/9781009325844.007
  21. Abram, N.; Gattuso, J.-P.; Prakash, A.; Cheng, L.; 외. (2019). 〈Chapter 1: Framing and Context of the Report〉 (PDF). 《The Ocean and Cryosphere in a Changing Climate》. IPCC. 
  22. IPCC, 2022: Annex II: Glossary [Möller, V., R. van Diemen, J.B.R. Matthews, C. Méndez, S. Semenov, J.S. Fuglestvedt, A. Reisinger (ed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2897–2930, doi 10.1017/9781009325844.029
  23. Gupta, Joyeeta; Termeer, Catrien; Klostermann, Judith; Meijerink, Sander; van den Brink, Margo; Jong, Pieter; Nooteboom, Sibout; Bergsma, Emmy (2010년 10월 1일). “The Adaptive Capacity Wheel: a method to assess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to enable the adaptive capacity of society”.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13 (6): 459–471. doi:10.1016/j.envsci.2010.05.006. hdl:1765/20798. ISSN 1462-9011. 
  24. Brooks, N and Adger, WN (2005) Assessing and enhancing adaptive capacity. In: Adaptation Policy Frameworks for Climate Change: Developing Strategies, Policies and Measu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165–181.
  25. Smit, Barry; Wandel, Johanna (2006). “Adaptation, adaptive capacity and vulnerability” (PDF). 《Global Environmental Change》 16 (3): 282–292. doi:10.1016/j.gloenvcha.2006.03.008. S2CID 14884089. 2010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9일에 확인함. 
  26. Ara Begum, R., R. Lempert, E. Ali, T.A. Benjaminsen, T. Bernauer, W. Cramer, X. Cui, K. Mach, G. Nagy, N.C. Stenseth, R. Sukumar, and P. Wester, 2022: Chapter 1: Point of Departure and Key Concept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121–196, doi 10.1017/9781009325844.003
  27. Lea Berrang-Ford, James D. Ford, Jaclyn Paterson. (2011). Are we adapting to climate change? 2011. Science Direct.
  28. Ara Begum, R., R. Lempert, E. Ali, T.A. Benjaminsen, T. Bernauer, W. Cramer, X. Cui, K. Mach, G. Nagy, N.C. Stenseth, R. Sukumar, and P. Wester, 2022: Chapter 1: Point of Departure and Key Concept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121–196, doi 10.1017/9781009325844.003
  29. Smit, B.; 외. (2001). 〈18.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quity〉 (PDF). McCarthy, J. J.; 외. 《Climate Change 2001: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PDF).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77–912쪽. 2022년 1월 19일에 확인함. 
  30. IPCC, 2022: Summary for Policymakers [H.-O. Pörtner, D.C. Roberts, E.S. Poloczanska, K. Mintenbeck, M. Tignor,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ed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3–33, doi 10.1017/9781009325844.001
  31. Ara Begum, R., R. Lempert, E. Ali, T.A. Benjaminsen, T. Bernauer, W. Cramer, X. Cui, K. Mach, G. Nagy, N.C. Stenseth, R. Sukumar, and P. Wester, 2022: Chapter 1: Point of Departure and Key Concept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121–196, doi 10.1017/9781009325844.003
  32. Shukoor, Kamran (2023년 10월 5일). “Temperature's Impact on Cognitive Capabilities”. 《Medium》. 2023년 10월 11일에 확인함. 
  33. Ara Begum, R., R. Lempert, E. Ali, T.A. Benjaminsen, T. Bernauer, W. Cramer, X. Cui, K. Mach, G. Nagy, N.C. Stenseth, R. Sukumar, and P. Wester, 2022: Chapter 1: Point of Departure and Key Concept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121–196, doi 10.1017/9781009325844.003
  34. Sharifi, Ayyoob (2021년 1월 1일). “Co-benefits and synergies between urban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measures: A literature review”.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영어) 750: 141642. Bibcode:2021ScTEn.750n1642S. doi:10.1016/j.scitotenv.2020.141642. ISSN 0048-9697. PMID 32858298. S2CID 221365818. 
  35. IPCC, 2022: Summary for Policymakers [H.-O. Pörtner, D.C. Roberts, E.S. Poloczanska, K. Mintenbeck, M. Tignor,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ed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3–33, doi 10.1017/9781009325844.001
  36. O'Neill, B., M. van Aalst, Z. Zaiton Ibrahim, L. Berrang Ford, S. Bhadwal, H. Buhaug, D. Diaz, K. Frieler, M. Garschagen, A. Magnan, G. Midgley, A. Mirzabaev, A. Thomas, and R.Warren, 2022: Chapter 16: Key Risks Across Sectors and Region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2411–2538, doi 10.1017/9781009325844.025
  37. Noble, I.R., S. Huq, Y.A. Anokhin, J. Carmin, D. Goudou, F.P. Lansigan, B. Osman-Elasha, and A. Villamizar, 2014: "Chapter 14: Adaptation needs and options". In: Climate Change 2014: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Part A: Global and Sectoral Aspect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Field, C.B., V.R. Barros, D.J. Dokken, K.J. Mach, M.D. Mastrandrea, T.E. Bilir, M. Chatterjee, K.L. Ebi, Y.O. Estrada, R.C. Genova, B. Girma, E.S. Kissel, A.N. Levy, S. MacCracken, P.R. Mastrandrea, and L.L.White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pp. 833–868.
  38. Ara Begum, R., R. Lempert, E. Ali, T.A. Benjaminsen, T. Bernauer, W. Cramer, X. Cui, K. Mach, G. Nagy, N.C. Stenseth, R. Sukumar, and P. Wester, 2022: Chapter 1: Point of Departure and Key Concept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121–196, doi 10.1017/9781009325844.003
  39. IPCC, 2022: Annex II: Glossary [Möller, V., R. van Diemen, J.B.R. Matthews, C. Méndez, S. Semenov, J.S. Fuglestvedt, A. Reisinger (ed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2897–2930, doi 10.1017/9781009325844.029
  40. Smit, B.; 외. (2001). 〈18.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quity〉 (PDF). McCarthy, J. J.; 외. 《Climate Change 2001: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PDF).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77–912쪽. 2022년 1월 19일에 확인함. 
  41. “조기 경보 시스템”. 2024년 1월 26일. 
  42. “Climate Information Service” (영어). 2024년 3월 3일. 
  43. New, M., D. Reckien, D. Viner, C. Adler, S.-M. Cheong, C. Conde, A. Constable, E. Coughlan de Perez, A. Lammel, R. Mechler, B. Orlove, and W. Solecki, 2022: Chapter 17: Decision-Making Options for Managing Risk.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2539–2654, doi 10.1017/9781009325844.026
  44. “The politics of climate change: national responses to the challenge of global warming (Library resource)”. 《European Institute for Gender Equality》. 2019년 8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8일에 확인함. 
  45. “National Adaptation Plans”.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UNFCCC)》. 2020년 1월 24일에 확인함. 
  46. O'Neill, B., M. van Aalst, Z. Zaiton Ibrahim, L. Berrang Ford, S. Bhadwal, H. Buhaug, D. Diaz, K. Frieler, M. Garschagen, A. Magnan, G. Midgley, A. Mirzabaev, A. Thomas, and R.Warren, 2022: Chapter 16: Key Risks Across Sectors and Region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2411–2538, doi 10.1017/9781009325844.025
  47. Preston, B.L.; Brooke, C.; Measham, T.G.; Smith, T.F.; Gorddard, R. (2009). “Igniting change in local government: Lessons learned from a bushfire vulnerability assessment”. 《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for Global Change》 14 (3): 251–283. Bibcode:2009MASGC..14..251P. doi:10.1007/s11027-008-9163-4. S2CID 154962315. 
  48. Kuhl, Laura; Rahman, M. Feisal; McCraine, Samantha; Krause, Dunja; Hossain, Md Fahad; Bahadur, Aditya Vansh; Huq, Saleemul (2021년 10월 18일). “Transformational Adaptation in the Context of Coastal Cities”. 《Annual Review of Environment and Resources》 (영어) 46 (1): 449–479. doi:10.1146/annurev-environ-012420-045211. ISSN 1543-5938. 
  49. Solecki, William; Friedman, Erin (2021년 4월 1일). “At the Water's Edge: Coastal Settlement, Transformative Adaptation, and Well-Being in an Era of Dynamic Climate Risk”.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영어) 42 (1): 211–232. doi:10.1146/annurev-publhealth-090419-102302. ISSN 0163-7525. PMID 33428464. S2CID 231583918. 
  50. Dodman, D., B. Hayward, M. Pelling, V. Castan Broto, W. Chow, E. Chu, R. Dawson, L. Khirfan, T. McPhearson, A. Prakash, Y. Zheng, and G. Ziervogel, 2022: Chapter 6: Cities, Settlements and Key Infrastructure.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907–1040, doi 10.1017/9781009325844.008
  51. Kousky, Carolyn (2019년 10월 5일). “The Role of Natural Disaster Insurance in Recovery and Risk Reduction”. 《Annual Review of Resource Economics》 (영어) 11 (1): 399–418. doi:10.1146/annurev-resource-100518-094028. ISSN 1941-1340. S2CID 159178389. 
  52. Ranasinghe, R., A.C. Ruane, R. Vautard, N. Arnell, E. Coppola, F.A. Cruz, S. Dessai, A.S. Islam, M. Rahimi, D. Ruiz Carrascal, J. Sillmann, M.B. Sylla, C. Tebaldi, W. Wang, and R. Zaaboul, 2021: Chapter 12: Climate Change Information for Regional Impact and for Risk Assessment. In Climate Change 2021: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Masson-Delmotte, V., P. Zhai, A.  Pirani, S.L.  Connors, C. Péan, S. Berger, N. Caud, Y. Chen, L. Goldfarb, M.I. Gomis, M. Huang, K. Leitzell, E. Lonnoy, J.B.R. Matthews, T.K. Maycock, T. Waterfield, O. Yelekçi, R. Yu, and B. Zhou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pp. 1767–1926, doi 10.1017/9781009157896.014
  53. “Mind the risk: cities under threat from natural disasters”. SwissRe.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30일에 확인함. 
  54. McAneney, J, Crompton, R, McAneney, D, Musulin, R, Walker, G & Pielke Jr, R 2013, "Market-based mechanism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Assessing the potential for and limits to insurance and market based mechanisms for encourag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Research Facility, Gold Coast, p. 99
  55. Holloway, J.M.; Burby, R.J. (1990). “The effects of floodplain development controls on residential land values”. 《Land Economics》 66 (3): 259–271. doi:10.2307/3146728. JSTOR 3146728. 
  56. O'Hare, Paul; White, Iain; Connelly, Angela (2015년 9월 1일). “Insurance as maladaptation: Resilience and the 'business as usual' paradox” (PDF). 《Environment and Planning C: Government and Policy》 34 (6): 1175–1193. doi:10.1177/0263774X15602022. ISSN 0263-774X. S2CID 155016786. 
  57. Bagstad, Kenneth J.; Stapleton, K.; D'Agostino, J.R. (2007). “Taxes, subsidies, and insurance as drivers of United States coastal development”. 《Ecological Economics》 63 (2–3): 285–298. doi:10.1016/j.ecolecon.2006.09.019. 
  58. 《Coordination Challenges in Climate Finance》. Erik Lundsgaarde, Kendra Dupuy, Åsa Persson, Danish Institute for International Studies. Copenhagen: DIIS. 2018. ISBN 978-87-7605-924-8. OCLC 1099681274. 
  59. Conevska, Aleksandra; Ford, James; Lesnikowski, Alexandra; Harper, Sherilee (2019년 1월 2일). “Adaptation financing for projects focused on food systems through the UNFCCC”. 《Climate Policy》 19 (1): 43–58. Bibcode:2019CliPo..19...43C. doi:10.1080/14693062.2018.1466682. ISSN 1469-3062. S2CID 159007875. 
  60. O'Neill, B., M. van Aalst, Z. Zaiton Ibrahim, L. Berrang Ford, S. Bhadwal, H. Buhaug, D. Diaz, K. Frieler, M. Garschagen, A. Magnan, G. Midgley, A. Mirzabaev, A. Thomas, and R.Warren, 2022: Chapter 16: Key Risks Across Sectors and Region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2411–2538, doi 10.1017/9781009325844.025
  61. Bezner Kerr, R., T. Hasegawa, R. Lasco, I. Bhatt, D. Deryng, A. Farrell, H. Gurney-Smith, H. Ju, S. Lluch-Cota, F. Meza, G. Nelson, H. Neufeldt, and P. Thornton, 2022: Chapter 5: Food, Fibre, and Other Ecosystem Product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713–906, doi 10.1017/9781009325844.007
  62. Rosenzweig, Cynthia; Mbow, Cheikh; Barioni, Luis G.; Benton, Tim G.; Herrero, Mario; Krishnapillai, Murukesan; Liwenga, Emma T.; Pradhan, Prajal; Rivera-Ferre, Marta G.; Sapkota, Tek; Tubiello, Francesco N.; Xu, Yinlong; Mencos Contreras, Erik; Portugal-Pereira, Joana (2020). “Climate change responses benefit from a global food system approach”. 《Nature Food》 (영어) 1 (2): 94–97. doi:10.1038/s43016-020-0031-z. ISSN 2662-1355. PMID 37128000. S2CID 212894930. 
  63. Bezner Kerr, R., T. Hasegawa, R. Lasco, I. Bhatt, D. Deryng, A. Farrell, H. Gurney-Smith, H. Ju, S. Lluch-Cota, F. Meza, G. Nelson, H. Neufeldt, and P. Thornton, 2022: Chapter 5: Food, Fibre, and Other Ecosystem Product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713–906, doi 10.1017/9781009325844.007
  64. IPCC, 2023: Climate Change 2023: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H. Lee and J. Romero (eds.)]. IPCC, Geneva, Switzerland, 184 pp., doi 10.59327/IPCC/AR6-9789291691647
  65. Cissé, G., R. McLeman, H. Adams, P. Aldunce, K. Bowen, D. Campbell-Lendrum, S. Clayton, K.L. Ebi, J. Hess, C. Huang, Q. Liu, G. McGregor, J. Semenza, and M.C. Tirado, 2022: Health, Wellbeing, and the Changing Structure of Communitie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1041–1170, doi 10.1017/9781009325844.009
  66. New, M., D. Reckien, D. Viner, C. Adler, S.-M. Cheong, C. Conde, A. Constable, E. Coughlan de Perez, A. Lammel, R. Mechler, B. Orlove, and W. Solecki, 2022: Chapter 17: Decision-Making Options for Managing Risk.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2539–2654, doi 10.1017/9781009325844.026
  67. IPCC, 2022: Summary for Policymakers [H.-O. Pörtner, D.C. Roberts, E.S. Poloczanska, K. Mintenbeck, M. Tignor,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ed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3–33, doi 10.1017/9781009325844.001
  68. Parmesan, C., M.D. Morecroft, Y. Trisurat, R. Adrian, G.Z. Anshari, A. Arneth, Q. Gao, P. Gonzalez, R. Harris, J. Price, N. Stevens, and G.H. Talukdarr, 2022: Terrestrial and Freshwater Ecosystems and Their Service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197–377, doi:10.1017/9781009325844.004
  69. “생태계 기반 적응 사례 조사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 정책에서의 활용 전략 연구”. 2024년 4월 22일에 확인함. 
  70. Parmesan, C., M.D. Morecroft, Y. Trisurat, R. Adrian, G.Z. Anshari, A. Arneth, Q. Gao, P. Gonzalez, R. Harris, J. Price, N. Stevens, and G.H. Talukdarr, 2022: Terrestrial and Freshwater Ecosystems and Their Service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197–377, doi:10.1017/9781009325844.004
  71. Morecroft, Michael D.; Duffield, Simon; Harley, Mike; Pearce-Higgins, James W.; Stevens, Nicola; Watts, Olly; Whitaker, Jeanette (2019). “Measuring the succes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mitigation in terrestrial ecosystems”. 《Science》 (영어) 366 (6471): eaaw9256. doi:10.1126/science.aaw9256. ISSN 0036-8075. PMID 31831643. S2CID 209339286. 
  72. Morecroft, Michael D.; Duffield, Simon; Harley, Mike; Pearce-Higgins, James W.; Stevens, Nicola; Watts, Olly; Whitaker, Jeanette (2019). “Measuring the succes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mitigation in terrestrial ecosystems”. 《Science》 (영어) 366 (6471): eaaw9256. doi:10.1126/science.aaw9256. ISSN 0036-8075. PMID 31831643. S2CID 209339286. 
  73. Rosenzweig, Cynthia. “All Climate Is Local: How Mayors Fight Global Warming”. 《Scientific American》 (영어). September 2011호. 2023년 2월 8일에 확인함. 
  74. As Waters Rise, Miami Beach Builds Higher Streets And Political Willpower 보관됨 8 12월 2016 - 웨이백 머신
  75. Koch, Wendy (2011년 8월 15일). “Cities combat climate change”. 《USA Today》. 
  76. Kaufman, Leslie (2011년 5월 23일). “A City Prepares for a Warm Long-Term Forecast”. 《The New York Times》 (미국 영어). ISSN 0362-4331. 2023년 2월 8일에 확인함. 
  77. Revkin, Andrew C. (2011년 5월 23일). “Cities Embrace the Adaptation Imperative”. 《The New York Times》. 
  78. Hillary Russ (2013년 7월 3일). “New Jersey homeowners to get buyout offers after Superstorm Sandy”. 《Reuters》 (영어). Reuters. 2023년 2월 8일에 확인함. 
  79. Menéndez, Pelayo; Losada, Iñigo J.; Torres-Ortega, Saul; Narayan, Siddharth; Beck, Michael W. (2020년 3월 10일). “The Global Flood Protection Benefits of Mangroves”. 《Scientific Reports》 (영어) 10 (1): 4404. Bibcode:2020NatSR..10.4404M. doi:10.1038/s41598-020-61136-6. ISSN 2045-2322. PMC 7064529. PMID 32157114. 
  80. Kate Ravilious (2016). “Many hydroelectric plants in Himalayas are at risk from glacial lakes”. 《environmentalresearchweb.》. 2018년 3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6일에 확인함. 
    Schwanghart, Wolfgang; Worni, Raphael; Huggel, Christian; Stoffel, Markus; Korup, Oliver (2016년 7월 1일). “Uncertainty in the Himalayan energy–water nexus: estimating regional exposure to glacial lake outburst floods”.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11 (7): 074005. Bibcode:2016ERL....11g4005S. doi:10.1088/1748-9326/11/7/074005. ISSN 1748-9326. S2CID 133059262. 074005. 
  81. NYC Special Initiative for Rebuilding and Resiliency (2013). “A Stronger, More Resilient New York”. 《nyc Government》. 2023년 2월 8일에 확인함. 
  82. Cooley, S., D. Schoeman, L. Bopp, P. Boyd, S. Donner, D.Y. Ghebrehiwet, S.-I. Ito, W. Kiessling, P. Martinetto, E. Ojea, M.-F. Racault, B. Rost, and M. Skern-Mauritzen, 2022: Ocean and Coastal Ecosystems and their Services (Chapter 3).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n Press. - Cross-Chapter Box SLR: Sea Level Rise
  83. Thomsen, Dana C.; Smith, Timothy F.; Keys, Noni (2012). “Adaptation or Manipulation? Unpacking Climate Change Response Strategies”. 《Ecology and Society》 17 (3). doi:10.5751/es-04953-170320. JSTOR 26269087. 
  84. “Climate Adaptation and Sea Level Rise”. 《US EPA, Climate Change Adaptation Resource Center (ARC-X)》 (영어). 2016년 5월 2일. 
  85. Nagothu, Udaya Sekhar (2017년 1월 18일). “Food security threatened by sea-level rise”. Nibio. 2018년 10월 21일에 확인함. 
  86. Thomsen, Dana C.; Smith, Timothy F.; Keys, Noni (2012). “Adaptation or Manipulation? Unpacking Climate Change Response Strategies”. 《Ecology and Society》 17 (3). doi:10.5751/es-04953-170320. JSTOR 26269087. 
  87. Fletcher, Cameron (2013). “Costs and coasts: an empirical assessment of physical and institutional climate adaptation pathways”. 《Apo》. 
  88. Fletcher, Cameron (2013). “Costs and coasts: an empirical assessment of physical and institutional climate adaptation pathways”. 《Apo》. 
  89. Sovacool, Benjamin K. (2011). “Hard and soft path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PDF). 《Climate Policy》 11 (4): 1177–1183. Bibcode:2011CliPo..11.1177S. doi:10.1080/14693062.2011.579315. S2CID 153384574. 2020년 7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2일에 확인함. 
  90. “Climate change: More than 3bn could live in extreme heat by 2070”. 《BBC News》. 2020년 5월 5일. 2020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5월 6일에 확인함. 
  91. Xu, Chi; Kohler, Timothy A.; Lenton, Timothy M.; Svenning, Jens-Christian; Scheffer, Marten (2020년 5월 26일). “Future of the human climate niche – Supplementary Material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7 (21): 11350–11355. Bibcode:2020PNAS..11711350X. doi:10.1073/pnas.1910114117. ISSN 0027-8424. PMC 7260949. PMID 32366654. 
  92. “Future of the human climate niche” (PDF). 2020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25일에 확인함. 
  93. Dodman, D., B. Hayward, M. Pelling, V. Castan Broto, W. Chow, E. Chu, R. Dawson, L. Khirfan, T. McPhearson, A. Prakash, Y. Zheng, and G. Ziervogel, 2022: Chapter 6: Cities, Settlements and Key Infrastructure.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p. 907–1040, doi 10.1017/9781009325844.008
  94. Sharifi, Ayyoob (2020). “Trade-offs and conflicts between urban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measures: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276: 122813. doi:10.1016/j.jclepro.2020.122813. ISSN 0959-6526. S2CID 225638176. 
  95. Waldrop, M. Mitchell (2022년 10월 19일). “What can cities do to survive extreme heat?”. 《Knowable Magazine》. doi:10.1146/knowable-101922-2. 2022년 12월 6일에 확인함. 
  96. “Nature of Cities”. 《Regeneration》. 2021년 10월 16일에 확인함. 
  97. Younes, Jaafar; Ghali, Kamel; Ghaddar, Nesreen (August 2022). “Diurnal Selective Radiative Cooling Impact in Mitigating Urban Heat Island Effect”.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83: 103932. doi:10.1016/j.scs.2022.103932. S2CID 248588547 – Elsevier Science Direct 경유. 
  98. Khan, Ansar; Carlosena, Laura; Feng, Jie; Khorat, Samiran; Khatun, Rupali; Doan, Quang-Van; Santamouris, Mattheos (January 2022). “Optically Modulated Passive Broadband Daytime Radiative Cooling Materials Can Cool Cities in Summer and Heat Cities in Winter”. 《Sustainability》 14 – MDPI 경유. 
  99. Kaufman, Leslie (2011년 5월 23일). “A City Prepares for a Warm Long-Term Forecast”. 《The New York Times》 (미국 영어). ISSN 0362-4331. 2023년 2월 8일에 확인함. 
  100. Simire, Michael (2019년 7월 16일). “Climate change: Farm embarks on planting heat-resistant trees”. 《EnviroNews Nigeria -》. 2019년 9월 24일에 확인함. 
  101. Jennings, Paul A. (February 2008). “Dealing with Climate Change at the Local Level” (PDF). 《Chemical Engineering Progress》 (Americ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104 (2): 40–44. 2008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9일에 확인함. 
  102. Falkenmark, Malin; Rockstrom, Johan; Rockström, Johan (2004). 《Balancing Water for Humans and Nature: The New Approach in Ecohydrology》. Earthscan. 67–68쪽. ISBN 978-1-85383-926-9. 
  103. “Adapting to climate change to sustain food security”. 《Inter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영어). 2020년 11월 16일. 
  104. Mukherji, Aditi; Facon, Thierry; 외. (2009). 《Revitalising Asia's Irrigation: To sustainably meet tomorrow's food needs》 (PDF). IWMI and FAO. ISBN 9789290907091. 
  105. Corbley, McKinley (2019년 3월 31일). “Dozens of Countries Have Been Working to Plant 'Great Green Wall' – and It's Holding Back Poverty”. 《Good News Network》. 
  106. Puiu, Tibi (2019년 4월 3일). “More than 20 African countries are planting an 8,000-km-long 'Great Green Wall'. 《ZME Science》. 2019년 4월 16일에 확인함. 
  107. Goyal, Nidhi (2017년 10월 29일). “Great Green Wall to Combat Climate Change in Africa”. Industry Tap. 2019년 6월 7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