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웬디러비/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중국해 공습(작전명: 감사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기간 중인 1945년 1월 10일부터 1월 20일까지 미국 제3함대가 수행한 작전이다. 이 작전은 필리핀 루손섬의 탈환을 지원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남중국해 지역의 일본 전함, 보급 호송선과 비행기를 목표로 삼았다.

타이완과 루손에 있는 비행장과 항구를 공격한 이후, 제3함대는 1월 9일과 10일 사이 밤에 남중국해에 진입했다. 항공모함에서 출격한 비행기는 1월 12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출항한 일본 선박을 공격했고, 이 중 44척을 격침시켰다. 이후 함대는 북쪽으로 이동해 1월 15일 타이완을 다시 공격했다. 다음 날에는 홍콩, 광저우, 하이난섬에 공습이 가해졌다. 제3함대는 타이완과 류큐 제도에 공격을 한 후 1월 20일 남중국해를 떠났으며, 1월 25일 기지로 귀환했다.

제3함대가 남중국해에서 펼친 작전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제3함대는 많은 일본 선박과 항공기를 파괴했지만, 상대적으로 적은 항공기를 잃었다. 역사학자들은 화물 선박과 석유 탱커들의 파괴가 일본군의 전쟁 수행 능력에 중요했던 보급로를 차단하는 데에 기여했기 때문에 공습의 가장 중요한 결과라고 판단하고 있다. 연합군의 항공기와 전함의 이어진 공격으로 1945년 3월 이후 일본군은 남중국해를 통해 선박을 보내는 것을 중단하게 되었다.

배경[편집]

1945년 1월 태평양의 상황. 붉은색이 연합군의 통제 하에 있는 지역이다.

1941년과 1942년 초반, 일본은 남중국해 지역 대부분을 정복하거나 사실상 지배하게 되었다. 해상을 통제하는 것은 말라야, 보르네오, 네덜란드령 동인도 제도에서 석유와 다른 천연자원을 공급하는 통로였기 때문에 일본의 경제와 전쟁 노력에 매우 중요했다.[1]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의 상황은 특히 복잡했다. 1940년 9월 비시 프랑스 정권에 협력적이었던 식민지 정권과 일본이 대치한 이후 일본은 북부 인도차이나의 항구와 비행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받았다. 1941년 7월 일본은 남부 인도차이나를 점령한 뒤, 깜라인만의 중요한 해군 기지를 비롯한 여러 비행장을 건설했다. 프랑스 당국은 괴뢰 정부로 남아있었다.[2] 1944년 프랑스 해방 이후, 식민 정부는 새로운 자유 프랑스 정부와 접촉을 시도했으며, 일본에 맞선 봉기를 일으킬 준비를 마쳤다.[3] 일본도 1944년 프랑스군을 강제로 무장해제시킨 뒤 공식적으로 인도차이나를 점령할 계획을 세웠고, 일본군 정보부는 프랑스 당국의 의도를 빠르게 알아차렸다[4][3]

전쟁은 일본에게 불리해졌으며, 남중국해를 통과하는 수송선들은 빈번하게 연합군 잠수함, 그리고 1944년 말부터는 항공기의 공격을 받았다.[1] 연합군은 중국 해안 감시자들 및 아시아의 항구들의 여러 관측자들의 지원을 통해 얻은 신호정보와 장거리 항공 순찰로 얻은 정보를 통해 공격을 안내받았다.[5][6] 중국에 주둔하던 미국 육군 항공대 제14공군은 남중국해 지역의 일본 선박을 정규적으로 공격했다. 제14공군은 일본군이 점령한 남중국의 항구와 인도차이나의 군사 시설에도 간헐적인 공격을 가했다.[7][8] 연합군의 비밀 임무도 인도차이나에서 1945년 2분기까지 몇몇 활동을 진행했다.[9][10]

유조선화물선의 손실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음에도 일본 정부는 선박들에 남중국해를 통한 항해를 지속할 것을 요구했다. 손실을 줄이기 위해, 호송대와 개별 선박들은 기존의 항로에서 멀리 떨어진 경로를 선택하거나 해안 가까이 항해하며 야간에만 작전을 수행했다.[1]

미국은 1944년 10월 25일, 필리핀 중부의 레이테섬에 상륙하여 필리핀 해방을 시작했습니다. 레이테에 기지가 설립된 후, 12월 13일 미군은 민도로섬에 상륙했다. 이 작전은 남중국해에서 일본 선박을 공격하고 1945년 1월 9일로 예정된 필리핀 해방의 가장 큰 요소인 루손 북서부 링가옌만 상륙 작전을 지원할 수 있는 비행장을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11] 일본 제국 해군은 1944년 10월 레이테만 해전에서 연합군 함대를 공격하려다 막대한 손실을 입었고, 이는 1944년 6월 필리핀해 해전에서 입은 손실과 합쳐져 일본 제국 해군이 더 이상 주요 전투를 수행할 수 없게 만들었다. 그러나 일본 제국 해군은 여전히 연합군의 거점을 습격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했다.[12]

1944년 말, 미국 제3함대 사령관 윌리엄 홀시 제독은 남중국해로의 습격을 계획하며 작전을 구상했다.[13] 11월 21일, 그는 미국 태평양 함대 사령관 체스터 W. 니미츠 제독에게 공격을 시작해달라는 허가를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13]

  1. Royal Navy 1995, 133쪽.
  2. Spector 1985, 17–18쪽.
  3. Spector 1985, 29쪽.
  4. Dommen 2001, 75쪽.
  5. Craven & Cate 1953, 491–492쪽.
  6. Parillo 1993, 89–90쪽.
  7. Bailey 2017, 113쪽.
  8. Dommen 2001, 62–63쪽.
  9. Spector 1982, 29쪽.
  10. Smith 2008, 40쪽.
  11. Royal Navy 1995, 123쪽.
  12. Royal Navy 1995, 134쪽.
  13. Morison 2002, 16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