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문화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는 명칭에서도 알 수 있다시피 형태가 없는(무형) 문화재를 가리킨다.

무형문화재에 대한 법률적 정의는 아래와 같다.

무형문화재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가. 전통적 공연ㆍ예술

나. 공예, 미술 등에 관한 전통기술

다. 한의약, 농경ㆍ어로 등에 관한 전통지식

라. 구전 전통 및 표현 마. 의식주 등 전통적 생활관습

바.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儀式)

사. 전통적 놀이ㆍ축제 및 기예ㆍ무예

무형문화재의 전승, 교육 등 관련 내용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고 싶다면 이곳을 클릭하십시오.


역사적으로나 예술적으로 높은 가치와 문화적 기능을 지닌 사람을 인간문화재로 지정하여 그 기능을 후계자에게 전수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비용은 국가가 부담한다. 무형문화재의 종류로는 연극·음악·무용·공예·무예·의식·놀이 등이 있다.

종류[편집]

연극[편집]

연극에는 인형극인 「꼭두각시놀음」과 가면극이 지정되어 있다. 가면극은 양주별산대놀이·송파산대놀이·하회별신굿탈놀이·봉산탈춤·강령탈춤·북청사자놀음·통영오광대 등이 있다.

음악 및 무용[편집]

음악으로는 종묘제례악을 비롯하여 판소리·가곡·가사·범패·대취타·산조 등, 무용으로는 진주검무를 비롯하여 처용무·승무·승전무·학무·살풀이춤 등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공예[편집]

나전칠기장을 비롯하여 한산 모시짜기·옹기장 등이 있다.

의식[편집]

의식은 의례 또는 제의라고도 하며, 신이 설정된 공간에서 일정한 예식을 갖추고 행하는 법식을 행사를 말한다. 음력 5월 5일 단오날 강릉 시내에서 제사를 모시고 굿을 하는 강릉단오제 등이 있다.

무예[편집]

택견이 있다.

놀이[편집]

남사당놀이, 추석을 전후로 달밤에 부녀자들이 뛰노는 강강술래, 안동 차전놀이, 고싸움놀이, 밀양 백중놀이, 줄타기 등이 있다.

음식[편집]

조선왕조 궁중음식이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보유자는 한복려, 정길자이다.

활과 화살[편집]

무형문화제 47호로 지정되어 있는데, 화살로 나뉘어 있다.

외부 링크[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