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덩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두덩근
두덩근과 그 근처 근육들.
고샅인대 뒤쪽을 지나가는 구조물들. 두덩근은 우측 하단에 보인다.
정보
이는곳두덩뼈두덩근선
닿는곳넙다리뼈두덩근선
동맥폐쇄동맥
신경넙다리신경
가끔 폐쇄신경
작용넓적다리 굽힘, 모음, 안쪽돌림
식별자
라틴어musculus pectineus
영어pectineus muscle
TA98A04.7.02.025
TA22627
FMA22440

두덩근(pectineus muscle, /pɛkˈtɪniəs/, 빗을 의미하는 라틴어 pecten[1]에서 유래), 또는 치골근(恥骨筋)은 넓적다리 위안쪽의 앞쪽 부분에 위치한 평평한 사각형의 근육이다. 두덩근은 볼기의 모음근 중 가장 앞쪽에 위치한다. 허벅지를 모으고 안쪽으로 회전시키지만 주요 기능은 엉덩관절을 굽히는 것이다.

넓적다리안쪽칸[2](기능이 강조된 경우)이나 넓적다리앞칸(분포하는 신경이 강조된 경우)으로 분류할 수 있다.[3]

구조[편집]

두덩근은 두덩뼈두덩근선과 그 주변 약간의 앞쪽 두덩뼈 표면, 엉덩두덩융기두덩뼈결절 사이, 그리고 근육의 앞면을 덮는 근막에서 발생한다. 근섬유는 아래쪽, 뒤쪽, 가쪽을 통과하여 넙다리뼈작은돌기에서 거친선으로 이어지는 넙다리뼈의 두덩근선에 닿는다.

위치 관계[편집]

두덩근은 넙다리근막의 두덩뼈 부분과 가깝다. 또한 두덩근은 넙다리근막을 넙다리동맥, 넙다리정맥, 큰두렁정맥, 더 아래쪽에서는 깊은넙다리동맥과 분리한다.

두덩근, 엉덩관절주머니 뒷면, 바깥폐쇄근, 짧은모음근폐쇄동맥폐쇄정맥 사이에 놓인다.

큰허리근과 바깥쪽 경계를 이룬다. 넙다리동맥은 그 간격 위에 놓인다.

긴모음근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함께 안쪽 경계를 이룬다.

폐쇄구멍은 구멍을 덮는 구조물 중 하나인 두덩근 바로 뒤에 위치한다.[4]

넙다리삼각 바닥의 일부를 이룬다.

신경 분포[편집]

허리신경얼기척수신경 L1에서 L4까지의 앞가지와 T12의 일부 섬유에서 형성된다. 5개의 뿌리와 2개의 갈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팔신경얼기보다는 구조가 덜 복잡하다. 허리신경얼기는 넙다리신경이나 덧폐쇄신경을 비롯한 여러 신경을 발생시킨다. 두덩근에 분포하는 신경은 넙다리신경(L2, L3)이나 때때로(인구의 20%) 덧폐쇄신경이라고 하는 폐쇄신경의 가지이므로 여러 신경이 분포하는 복합근육으로 간주된다. 덧폐쇄신경이 존재한다면 이 신경은 두덩근 등쪽 측면에서 근육으로 들어가 두덩근의 일부에 분포한다. 근육을 지배하는 더 큰 신경은 넙다리신경이다. 덧폐쇄신경과 달리 넙다리신경은 항상 존재하며 90% 이상의 경우에서는 두덩근에 분포하는 유일한 신경이다. 덧폐쇄신경이 발생하는 경우는 전체의 8.7% 정도로 보고되었다.[5]

기능[편집]

엉덩관절을 굽히는 주된 근육 중 하나이다. 또한 넓적다리를 모은다.

추가 이미지[편집]

참고 문헌[편집]

Public domain 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472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Mosby's Medical, Nursing & Allied Health Dictionary, Fourth Edition, Mosby-Year Book Inc., 1994, p. 1177
  2. Ellis, Harold; Susan Standring; Gray, Henry David (2005).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St. Louis, Mo: Elsevier Churchill Livingstone. 518쪽. ISBN 0-443-07168-3. 
  3. medialthigh Wesley Norman의 The Anatomy lesson (조지타운 대학교)
  4. Wilson, Erasmus (1851). 《The anatomist's vade mecum: a system of human anatomy》. John Churchill. 260쪽. 
  5. RUSSELL T., WOODBURNE. “The Accessory Obturator Nerve and the Innervation of the Pectineus Muscle” (PDF): 367. 

참고 문헌[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