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적다리뒤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넓적다리뒤칸
넓적다리 중간 높이에서의 단면. 넓적다리뒤칸은 중간 아래쪽에 있다.
왼쪽 하지 뒤쪽의 그림.
정보
동맥아래볼기동맥
깊은넙다리동맥
관통동맥
신경궁둥신경
식별자
라틴어compartimentum femoris posterius
영어posterior compartment of thigh
TA98A04.7.01.003
TA22637
FMA45157

넓적다리뒤칸 또는 넙다리뒤칸(posterior compartment of the thigh)은 햄스트링 근육으로 알려진 무릎 굽힘근엉덩관절 폄근, 혈관과 신경, 특히 궁둥신경을 포함하는 넓적다리근막칸 중 하나이다.

구조[편집]

넓적다리뒤칸은 근막으로 둘러싸인 근막칸이다. 안쪽근육사이막가쪽근육사이막으로 알려진 두 겹의 깊은근막(넙다리근막)에 의해 넓적다리앞칸과 분리되어 있다.[1]

넓적다리뒤칸에 포함되는 근육은 다음과 같다.[2][3]

넙다리두갈래근의 짧은갈래를 제외한 이 근육들(또는 힘줄)은 일반적으로 햄스트링으로 알려져 있다. 무릎 뒤쪽의 움푹 들어간 부분은 오금이라고 한다. 위 근육들의 힘줄은 오금의 양쪽에서 두드러진 선 모양 구조로 만질 수 있다. 가쪽에는 넙다리두갈래근 힘줄이, 안쪽에는 반막근과 반힘줄근의 힘줄이 있다. 햄스트링은 무릎을 구부리고 큰볼기근의 도움을 받아 걷기와 달리기 중에 엉덩관절을 편다. 반힘줄근은 비정상적으로 긴 힘줄로 인해 이름이 붙여졌다. 반막근은 위쪽에 붙는 부분의 모양이 평평하여 그 이름이 붙여졌다.[4]

신경 분포[편집]

햄스트링은 궁둥신경, 특히 그 주요 가지인 정강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단, 넙다리두갈래근의 짧은갈래는 온종아리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궁둥신경은 뒤칸의 세로 축을 따라 주행한다.

혈액 공급[편집]

넓적다리뒤칸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은 아래볼기동맥깊은넙다리동맥의 관통가지에서 나온다.[5] 깊언넙다리동맥은 넙다리동맥의 주요 곁가지이며 넓적다리앞칸의 일부이다. 넙다리동맥 자체는 모음근구멍을 통과하여 오금 높이에서 뒤칸으로 들어가 무릎에 혈액을 공급하는 가지를 낸다. 이 교차점에서 넙다리동맥은 오금동맥으로 이름이 바뀐다.

임상적 중요성[편집]

다른 근막칸과 마찬가지로 넓적다리뒤칸은 내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동맥이 근육과 신경으로 혈액을 운반하기 어려워져 구획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급성의 경우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6]

참고 문헌[편집]

  1. “UAMS Department of Neurobiology and Developmental Sciences - Topographical Anatomy of the Lower limb”. 《Anatomy.uams.edu》. 2015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18일에 확인함. 
  2. Sauerland, Eberhardt K.; Patrick W. Tank; Tank, Patrick W. (2005). 《Grant's dissector》. Hagerstown,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33쪽. ISBN 0-7817-5484-4. 
  3. “Summary of Lower Limb”. 2008년 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7일에 확인함. 
  4. Saladin, Kenneth S. (2012). 《Anatomy and Physiology the Unity of Form and Function.》. Boston, MA: McGraw Hill Higher Education. 133쪽. ISBN 978-0077351144. 
  5. “Archived copy”. 2012년 9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13일에 확인함. 
  6. “Compartment syndrome of the thigh: a systematic review”. 《Injury》 41 (2): 133–136. 2010. doi:10.1016/j.injury.2009.03.016. PMID 19555950.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