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래도호부 동헌 충신당

동헌(東軒)은 조선왕조 지방 관청의 중심 건물이다. 수령(守令), 즉 사또[使道]라고 불리던 부사, 목사, 군수, 현령, 현감 등의 지방관이 직무를 보는 관청 건물로서, 오늘날의 시 청사, 군 청사 본관에 대응한다. 생활 공간이었던 내아(內衙)의 동쪽에 위치하였다고 해서 동헌이라고 하였고,[1] 별도의 건물 명칭(당호)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또 기록에 따라서는 지방 군영(軍營)의 중심 건물인 진헌(鎭軒)과 찰방의 소재지인 역(驛)의 중심 건물도 동헌이라 호칭하였다.[2]

동래도호부 외삼문 망미루

건물 구조[편집]

  • 동헌 대청(大廳) : 동헌의 중심 건물 (지방 수령이 직무를 보던 공간)
  • 동헌 내삼문(內三門, 내문), 중삼문(中三門, 중문) : 동헌 정문에서 동헌 대청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있는 문[3]
  • 동헌 외삼문(外三門) : 동헌의 정문[4]

건물 목록[편집]

현재 존재하는 대표적인 동헌 건물은 아래와 같다. 건물 소재지의 행정구역 단위는 조선시대 명칭 기준이다.

  • 경기도 강화유수부 동헌 명위헌(明威軒) :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25호
  • 충청도 홍주목 동헌 안회당(安懷堂) : 사적 제231호
  • 충청도 청주목 동헌 청녕각(淸寧閣)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09호
  • 충청도 청풍도호부 동헌 금병헌(錦屛軒)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4호
  • 충청도 온양군 동헌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호
  • 충청도 직산현 동헌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42호
  • 충청도 남포현 동헌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5호
  • 충청도 보은군 동헌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5호
  • 충청도 홍산현 동헌 제금당(製錦堂)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41호
  • 충청도 결성현 동헌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06호
  • 충청도 대흥현 동헌 금병헌(錦屛軒)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4호
  • 경상도 동래도호부 동헌 충신당(忠信堂)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
  • 경상도 경주부 동헌 일승각(一勝閣)[5]
  • 경상도 울산도호부 동헌 일학헌(一鶴軒) :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
  • 경상도 청도군 동헌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03호
  • 경상도 거창도호부 동헌 거창 낙영재 : 경산남도 문화재자로 제625호
  • 경상도 자인현 동헌[6]
  • 전라도 김제군 동헌 사칠헌(事七軒)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0호
  • 전라도 무장현 동헌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5호
  • 전라도 태인현 동헌 청녕헌(淸寧軒)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75호
  • 전라도 흥덕현 동헌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77호
  • 전라도 여산부 동헌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93호
  • 전라도 고흥현 동헌 존심당(存心堂) : 전라남도 유형문화제 제53호
  • 전라도 (제주도) 정의현 동헌 일관헌(日觀軒) : 국가민속문화재 제188호
  • 강원도 강릉대도호부 동헌 칠사당(七事堂) : 보물 제2156호

각주[편집]

  1. 모든 동헌이 내아의 동쪽에 있었던 것은 아니다. 동헌 명칭의 유래 가운데 하나이다.
  2. 일반적으로 역의 중심 건물은 아사(衙舍) 정도로 표기된다. 다만 1901년 생산된 경상북도 각군보고(各郡報告) 문서에 따르면, 경상도 청도에 있던 성현역(省峴驛) 자리에는 동헌 18칸, 폐문루 2층 3칸, 양마청 4칸, 관노방 5칸 등의 건물이 남아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3. 보통은 문이 2개 설치되나, 지형이나 공간 여건에 따라 내삼문 1개만 있는 경우도 있었다.
  4. 2층 문루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지역 명칭 또는 별칭을 더해 'OO아문(衙門)'과 같은 형태의 편액이 걸려 있었다. 읍성의 성문을 열고 닫는 것을 알리는 북이 2층에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폐문루(閉門樓)'라고도 하였다.
  5. 1937년 경주군청 신축시 민간에 매각되어 현재 경주시 노동동 법장사(法藏寺) 대웅전으로 현존하고 있다. 동헌 내삼문(內三門)도 같이 이설되었다.
  6. 1936년에 경매로 개인에게 낙찰되어 다른 곳으로 옮겨 지어졌다. 현재 명칭은 낙산정(樂山亭, 요산정)이다. 《조선일보》 1936년 11월 8일 제3면 기사, '경산자인사중당 이건공사준공, 3일 낙성식거행'.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