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림라단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림라단조(-短調)는 조성 중 하나로 내림라(D)를 으뜸음으로 한다.

내림라단조
{ \magnifyStaff #3/2 \omit Score.TimeSignature \key fes \major s16 \clef F \key fes \major s^"" }

대체 표기법
{ \magnifyStaff #3/2 \omit Score.TimeSignature \set Staff.keyAlterations = #`((6 . ,FLAT)(2 . ,FLAT)(5 . ,FLAT)(1 . ,FLAT)(4 . ,FLAT)(0 . ,FLAT)(3 . ,FLAT)(6 . ,DOUBLE-FLAT)) s^"" }
다른 언어 이름
영어d flat minor
독일어des-moll
프랑스어le bémol mineur
이탈리아어le bemolle minore
관계조
나란한조내림바장조 (이론적)
이명동조: 마장조
같은으뜸조내림라장조
딸림조내림가단조
버금딸림조내림사단조 (이론적)
이명동조: 올림바단조
이명동조올림다단조
구성음
D, E, F, G, A, Bdouble flat, C

이 조성은 총 8개의 내림표(겹내림표 1개+내림표 6개)가 있는 이론적인 조성이다. 이론적으로는 조표 형태로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표기가 간단한 이명동조인 올림다단조를 사용한다. 그러나, 19-TET과 31-TET처럼 C과 D이 서로 다른 음을 내는 음률에선 이 조성을 그대로 사용해야만 할 수 있다.

막스 레거의 Supplement to the Theory of Modulation 42~45쪽에 전조되는 형식으로 조표 형태로 사용되었다.[1]

자연단음계, 화성단음계, 가락단음계는 다음과 같다.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
  \key des \minor \time 7/4 des^"자연단음계" es fes ges aes beses ces des ces beses aes ges fes es des2
} }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
 \key des \minor \time 7/4 des^"화성단음계" es fes ges aes beses c des c beses aes ges fes es des2
} }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
 \accidentalStyle modern \key des \minor \time 7/4 des^"가락단음계" es fes ges aes bes! c des ces? beses? aes ges fes es des2
} }

각주[편집]

  1. Max Reger (1904). 《Supplement to the Theory of Modulation》. 번역 John Bernhoff. Leipzig: C. F. Kahnt Nachfolger. 42–4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