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음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음계

장음계(長音階, 영어: major scale), 장조(長調) 또는 아이오니안 음계단음계보다 나중에 나왔으며, 온음계의 일종이다. 7개의 음과 첫음보다 한 옥타브 높은 여덟번째 음으로 구성된다. 솔페지에서는 이 음을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라는 음절에 대응시킨다. 장음계는 3번째 음과 4번째 음 사이, 7번째 음과 8번째 음 사이의 음정이 반음이며 나머지는 온음이며, 단음계와는 달리 대체로 명랑하고 밝을 수는 있지만 무조건 그렇지만은 않다.

자연 장음계

{ \override Score.TimeSignature #'stencil = ##f
  \relative c' { 
    \time 7/4
    c4 d e f g a b c
    b a g f e d c2
  }
}
화성 장음계

{ \override Score.TimeSignature #'stencil = ##f 
  \relative c' { 
    \time 7/4
    c4 d e f g aes b c
    b aes g f e d c2
  }
}
가락 장음계

{ \override Score.TimeSignature #'stencil = ##f 
  \relative c' { 
    \time 7/4
    c4 d e f g a b c
    bes aes g f e d c2
  }
}

구조[편집]

장조의 온음과 반음의 패턴

장조는 장2도 또는 온음을 사이에 둔 두개의 동일한 테트라코드로 보인다. 즉, "온음:온음:반음:온음:온음:온음:반음"의 구조를 가진다. 각 테트라코드는 두 개의 온음과 뒤이어 오는 반음으로 구성된다. 서양의 음계는 오선지 상에 줄이나 공백을 남기지 않으며, 임시표가 붙은 음을 반복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조표는 단지 샵이나 플랫만을 가진다.

음정의 이름[편집]

오도권(The circle of fifths)[편집]

오도권요한 다비트 하이니헨이 1728년에 최초로 그의 책 Der General-bass에서 도입하였으며, 키(key)들 사이의 상대적인 음정의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여왔다.[1]

원 안의 수는 그 조표의 플랫/샤프의 개수를 나타낸다. 다 장조(C major)에서 시작하여, 플랫 키는 반시계방향으로, 샤프 키는 시계방향으로 진행된다. 이 원형 배치에서 이명동음 관계를 볼 수 있다. 여섯 개의 플랫/샤프가 붙으면, 장조로서는 내림사장조(G♭ Maj), 올림바장조(F♯ Maj)가 되겠다.[1]

기타[편집]

참고 문헌[편집]

  1. Drabkin, William. 2001. "Circle of Fifths".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second edition, edited by Stanley Sadie and John Tyrrell. London: Macmillan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