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김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광주 김씨
廣州金氏
나라한국
관향경기도 광주시
시조김녹광(金祿光)

광주 김씨(廣州 金氏)는 경기도 광주(廣州)를 관향으로 하는 이다.

역사[편집]

시조 김녹광(金祿光)은 고려 고종 23년(1236년) 원나라 몽고군이 침입해 왔을 때 상장군으로 출정하여 이를 격퇴시키는데 공적을 세워 광주군(廣州君)에 책봉되고 광주를 식읍으로 하사 받았다고 한다. 《조선씨족통보》에는 관향은 있으나 시조가 상고되지 않는 성씨라 하였다.[1]

아들 김굉(金閎)은 감찰어사를 지내고, 손자 김훤(金晅)은 당대의 명신으로 명성을 떨쳐 명문의 지위를 굳혔다. 후손 김태허(金太虛)는 임진왜란 때의 명장으로 가문을 크게 일으켰다.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편집]

인물[편집]

고려[편집]

  • 김굉(金閎): 김녹광의 아들, 강종 2년(1213) 문과 급제, 충혜왕 때 관직을 그만 두고 나주에 옮겨 살면서 전민을 탈취하여 부호가 됨, 공민왕 때 왜구를 격퇴하여 전라도추포부사, 전라양광도방어사, 판종부시사, 전라도연해순방겸조전사 역임, 홍건적을 물리친 공으로 경성수복1등 공신에 봉해지고, 전라도도순어사, 동지밀직, 전라도순문사를 역임
  • 김훤(金晅. 1234~1305): 비서랑 김굉의 아들, 원종 원년(1260) 문과 급제, 금주(지금의 김해) 방어사, 충렬왕때 전라도부부사, 밀직학사, 충선왕 때 정당문학, 보문각대학사, 찬성사를 역임
  • 김남물(金南物): 초명 김서경(金瑞卿), 찬성사 김훤의 아들, 문과 급제, 안동부사
  • 김개물(金開物): 초명 김서정(金瑞廷), 찬성사 김훤의 아들로 그의 음덕을 입어 충선왕때 감찰사, 전부시승, 충숙왕때 사헌지평, 시・글씨・그림에 능함
  • 김섬(金銛): 김개물의 아들, 문과 급제, 전교시교감, 합문 지후

조선[편집]

  • 김차문(金次文): 문과 급제, 공조참의
  • 김차무(金次武): 승정원 좌승지 경연참찬관, 통정대부 추중
  • 김경보(金敬寶): 문과 급제, 상주목사
  • 김려(金礪): 문과 급, 장례원 판결사, 임진왜란 공을 세워 동지의금부사 증직
  • 김희증(金希曾): 좌찬성, 영의정 추증
  • 김대근(金大根): 강릉부사
  • 김태허(金太虛): 좌찬성 김희증의 아들, 경상좌도병마절도사 겸 울산도호부사를 지낸 무신, 1580년(선조 13) 무과에 급제, 임진왜란 때 밀양부사로 분전, 울산군수로 전임되어 울산성 전투에서 도원수 권율(權慄)을 도와 큰 전공을 세워 당상관에 오름, 1605년(선조 38) 선무원종공신 1등에 책록됨, 경상좌도병마절도사·오위도총부도총관·호위대장을 역임, 지중추부사에 오름, 시호는 양무(襄武)
  • 김수겸(金水兼): 양무공 김태허 아들, 임진왜란 2등공신, 안동영장, 중추부사
  • 김기(金琦): 참의 김차문 증손, 판관, 임진왜란 의병, 동래성 전투에서 순절, 어모장군・훈련원정에 추증
  • 김태을(金太乙): 양무공 김태허 사촌, 유학자
  • 김상휴(金相休): 조선 후기 판의금부사, 예문관제학·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 김지훈: 김해수남고 얼짱 , 김해거주중

근·현대[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일설에 시조 김녹광은 경순왕의 5섯째 아들 의성군 김석의 7대손이라 한다.
  2. 광성 김씨(廣城 金氏) 시조 김의광(金義光)은 신라 경순왕의 후손으로 전하나 세계가 미상이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