렙셰츠 다양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한 렙셰츠 다양체에서 넘어옴)

심플렉틱 위상수학에서 렙셰츠 다양체(Лефшец多樣體, 영어: Lefschetz manifold)는 심플렉틱 형식의 고차 거듭제곱에 대한 합곱이 서로 다른 차수의 실수 계수 코호몰로지의 동형을 유도하는 심플렉틱 다양체이다. 콤팩트 켈러 다양체의 일반화이다.

정의[편집]

차원 심플렉틱 다양체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강한 렙셰츠 다양체(強한Лефшец多樣體, 영어: strong Lefschetz manifold)라고 한다.

  • 모든 에 대하여, 는 실수 벡터 공간의 동형이다.

만약 위 조건이 에 대하여 성립하는 경우, 렙셰츠 다양체(Лефшец多樣體, 영어: Lefschetz manifold)라고 한다.

성질[편집]

베티 수[편집]

강한 렙셰츠 다양체의 경우, 홀수 차수 베티 수는 항상 짝수이다. 이는 푸앵카레 쌍대성 를 사용하여

를 정의하면, 이는 홀수 차수 코호몰로지에 비퇴화 반대칭 쌍선형 형식을 정의하기 때문이다.[1]:6, Proof of Theorem 3.1

또한, 강한 렙셰츠 다양체의 경우 가 벡터 공간의 동형이므로, 에 대하여,

단사 함수이어야 한다. 따라서, 차원 렙셰츠 다양체의 짝수 차수 베티 수

및 홀수 차수 베티 수

는 각각 증가수열을 이룬다.[2]:Corollary 3

켈러 다양체와의 관계[편집]

어려운 렙셰츠 정리(프랑스어: théorème de Lefschetz vache, 영어: hard Lefschetz theorem)에 따르면, 모든 콤팩트 켈러 다양체는 강한 렙셰츠 다양체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켈러 다양체 ⊊ 강한 렙셰츠 다양체 ⊊ 렙셰츠 다양체 ⊊ 심플렉틱 다양체

원환면미분동형이 아닌 콤팩트 영다양체는 렙셰츠 다양체를 이룰 수 없다.[3]

[편집]

강한 렙셰츠 다양체이지만 켈러 다양체가 아닌 해다양체 및 렙셰츠 다양체이지만 강한 렙셰츠 다양체가 아닌 해다양체가 존재한다.[4]

형식적 공간이 아닌 렙셰츠 다양체가 존재한다.[5]

역사[편집]

솔로몬 렙셰츠는 모든 복소수 사영 대수다양체가 강한 렙셰츠 다양체임을 보였고, "렙셰츠 다양체"라는 이름은 여기서 유래하였다.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는 렙셰츠의 이 정리를 프랑스어: théorème de Lefschetz vache 테오렘 드 렙셰츠 바슈[*]라고 불렀다. 프랑스어: vache 바슈[*]는 사전적으로는 "암소"를 뜻하지만, 속어로 매우 비속한 뜻을 가진다. 영어에서, 이 정리의 이름은 순화된 단어인 영어: hard 하드[*](어려운)로 번역되었다.

참고 문헌[편집]

  1. “On certain geometric and homotopy properties of closed symplectic manifolds”. arXiv:math/0002071. 
  2. Filippini, Sara Angela; Ruddat, Helge; Thompson, Alan. 〈An introduction to Hodge structures〉. 《Calabi-Yau Varieties: Arithmetic, Geometry and Physics》. Fields Institute Communications (영어). Springer. arXiv:1412.8499. ISSN 1069-5265. 
  3. Benson, C.; Gordon, C. (1988). “Kähler and symplectic structures on nilmanifolds”. 《Topology》 (영어) 27: 513-518. 
  4. Yamada, Takumi (2002). “Examples of Compact Lefschetz Solvmanifolds”. 《Tokyo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25 (2): 261-283. 
  5. Cavalcanti, Gil R. (2007). “The Lefschetz property, formality and blowing up in symplectic geometry”.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359: 333–348. arXiv:math/0403067. Bibcode:2004math......3067C. doi:10.1090/S0002-9947-06-04058-X. JSTOR 20161579. MR 2247894. 

외부 링크[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