쪽입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EmausBot (토론 | 기여)
잔글 r2.6.4) (로봇이 바꿈: pl:Parton (fizyka)
내용 정리, 인용 추가
1번째 줄: 1번째 줄:
{{정리 필요}}
{{정리 필요}}
[[입자물리학]]에서, '''쪽입자''' 혹은 '''파톤'''({{lang|en|parton}}) 고에너지의 [[하드론]] 충돌을 나타내는 모형이다. 1969년에 [[리처드 파인먼]]이 제안하였다.
[[입자물리학]]에서, '''쪽입자'''({{lang|ko-Hani|-粒子}}, {{lang|en|parton|파톤}}) 모형은 고에너지의 [[강입자]] 충돌을 나타내는 모형이다. 1969년에 [[리처드 파인먼]]이 제안하였다.<ref>{{서적 인용
|성=Feynman |이름=R. P.|저자고리=리처드 파인먼
|연도=1969
|장=The Behavior of Hadron Collisions at Extreme Energies
|제목=High Energy Collisions: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at Stony Brook, N.Y.
|쪽=237–249
|출판사=Gordon & Breach
|isbn=978-0-677-13950-0
}}</ref><ref>{{저널 인용|성=Feynman|이름=R. P.|저자고리=리처드 파인먼|제목=Very High-Energy Collisions of Hadrons|저널=Physical Review Letters|권=23|호=24|쪽=1415–1417|연도=1969|doi=10.1103/PhysRevLett.23.1415}}</ref> 쪽입자 모형에 따르면, 고에너지의 [[강입자]]가 서로 충돌할 때 강입자는 마치 쪽입자라는 수많은 소립자로 구성된 것처럼 행동한다. 오늘날에는 기본 이론으로서는 [[쿼크]] 모형으로 대체되었지만, 높은 에너지에서의 근사 모형으로 쓰인다.


== 전개 ==
모형에서 [[하드론]] 파톤이라는 수많은 점입자로 구성된다. 더욱이 하드론이 기준 좌표계인데 여기서 그것은 무한 운동량을 지닌다. — 고에너지에서 유효한 가정이다. 그리하여 파르톤 모델은 시간 팽창에 의해 지연되고 가입자 전하 분포는 로렌쯔 수축된다. 그리하여 들어오는 입자는 순간적이고 결맞지 않게 산란될 것이다.
쪽입자 모형에서 [[강입자]] '''쪽입자'''이라는 수많은 점입자로 구성된다. 더욱이 하드론이 기준 좌표계인데 여기서 그것은 무한 운동량을 지닌다. — 고에너지에서 유효한 가정이다. 그리하여 쪽입자 모형은 시간 팽창에 의해 지연되고 가입자 전하 분포는 [[특수 상대성 이론#길이 수축|로런츠 수축]]된다. 그리하여 들어오는 입자는 순간적이고 결맞지 않게 산란될 것이다.


쪽입자 모형에 따르면, [[전자]]와 [[양성자]]의 비탄성 산란의 경우 그 [[충격량]]이 클수록 '''뵤르켄 스케일링'''({{lang|en|Bjorken scaling}})이라는 특정한 현상을 보인다.<ref>{{cite journal
파톤 모델은 뵤르켄(Bjorken)과 파스초스가 전자-양성자의 깊은 비탄성 산란에 즉시 적용하였다. 그 뒤에 [[뵤르켄 스케일링]]의 실험적 관찰과 함께 [[쿼크]] 모델의 확인과 [[양자색역학]] 내의 [[점근 자유도]](asymptotic freedom)의 확정으로, 파톤이 [[쿼크]]와 [[글루온]]이라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파르톤 모델은 높은 에너지에서 정당화될 수 있는 근사로 남는다. 그리고 다른 것들은 여러 해에 걸쳐 이론을 확장하였다.
|title=Inelastic Electron-Proton and γ-Proton Scattering and the Structure of the Nucleon
|year=1969
|저자=J. Bjorken, E. Paschos
|journal=Physical Review
|volume=185 |issue=5 |pages=1975–1982
|doi=10.1103/PhysRev.185.1975
}}</ref> 뵤르켄 스케일링은 곧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관찰과 함께 [[쿼크]] 모형의 확인과 [[양자색역학]] 내의 [[점근 자유성]]의 확정으로, 파톤이 [[쿼크]]와 [[글루온]]이라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쪽입자 모형은 높은 에너지에서 정당화될 수 있는 근사로 남는다. 그리고 다른 것들은 여러 해에 걸쳐 이론을 확장하였다.


QCD 결합 상태내의 원래의 비섭동적 효과 때문에 파르톤 분포 함수는 [[건드림이론|건드림]] 색역학에 의해 얻어질 수 없다. 현재의 [[격자 양자 색역학|격자 색역학]] 계산의 한계로 인해 알려진 파론 [[분포함수]]는 실험적으로 얻는다.
양자색역학 결합 상태내의 원래의 비섭동적 효과 때문에 파르톤 분포 함수는 [[섭동 이론 (양자역학)|섭동]] 색역학에 의해 얻어질 수 없다. 현재의 [[격자 양자 색역학|격자 색역학]] 계산의 한계로 인해 알려진 파론 [[분포함수]]는 실험적으로 얻는다.


== 쪽입자 분포 함수 ==
세계적으로 다양한 실험 팀이 파톤 분포 함수를 측정하였다. 주요 자료는 다음과 같다.
'''쪽입자 분포 함수'''({{lang|en|parton distribution function}})는 [[운동량]]에 따른 쪽입자 [[확률 밀도 함수]]다. 이는 실험을 통해 여러 번 측정되었는데, 주요 자료는 다음과 같다.

* CT10 ({{lang|en|The Coordinated Theoretical-Experimental Project}})<ref>{{웹 인용|저자=CTEQ Collaboration|url=http://hep.pa.msu.edu/cteq/public/index.html|제목=CT10 NLO and NNLO parton distribution functions}}
* CTEQ, CTEQ 협력
</ref><ref>
* GRV, M. 글뤽, E. 레야, 과 A. 보그트
{{저널 인용|저자=Hung-Liang Lai, Marco Guzzi, Joey Huston, Zhao Li, Pavel M. Nadolsky, Jon Pumplin, C.-P. Yuan|제목=New parton distributions for collider physics|저널=Physical Review D|권=82|호=7|쪽= 074024|연도=2010|doi=10.1103/PhysRevD.82.074024}} {{arxiv|1007.2241}}</ref>
* MRST, A. D. 마틴, R. G. 로버츠, W. J. 스털링, 과 R. S. 쏜
* GRV (Glück, Reya, Vogt 1998)<ref>{{cite journal
|저자=M. Glück, E. Reya, A. Vogt
|year=1998
|journal=European Physical Journal C
|title=Dynamical Parton Distributions Revisited
|volume=5 |issue=3 |page=461
|bibcode=1998EPJC....5..461G
|doi=10.1007/s100529800978
}} {{arxiv|hep-ph/9806404}}</ref>
* MRST (Martin, Roberts, Stirling, Thorne 2005)<ref>{{cite journal
|저자=A. D. Martin, A. G. Roberts, W. J. Stirling, R. S. Thorne
|year=2005
|title=Parton distributions incorporating QED contributions
|journal=European Physical Journal C
|volume=39 |issue=2 |pages=155–161
|doi=10.1140/epjc/s2004-02088-7
}} {{arxiv|hep-ph/0411040}}</ref>
일반 파톤 분포는 더 근래의 접근으로 파톤의 횡(transverse)[[운동량]]과 [[스핀]]과 같은 더 많은 변수의 함수로서 파톤 분포를 구현하여 [[하드론]] 구조를 더 잘 이해하는 것이다. 보통의 파톤 분포 함수는 일반 파톤 분포가 추가의 변수에 대해 적분하여 얻는다. 일반 파톤 분포는 [[충돌기]] 과정의 낮은 운동량을 더 자세하게 기술하기를 희망한다.
일반 파톤 분포는 더 근래의 접근으로 파톤의 횡(transverse)[[운동량]]과 [[스핀]]과 같은 더 많은 변수의 함수로서 파톤 분포를 구현하여 [[하드론]] 구조를 더 잘 이해하는 것이다. 보통의 파톤 분포 함수는 일반 파톤 분포가 추가의 변수에 대해 적분하여 얻는다. 일반 파톤 분포는 [[충돌기]] 과정의 낮은 운동량을 더 자세하게 기술하기를 희망한다.

==참고 문헌==
{{주석}}
*{{cite journal
|last=Ji |first=X.
|year=2004
|title=Generalized Parton Distributions
|url=http://edwards1.phy.ohiou.edu/~inpp/nuclear_lunch/archive/2007/JiGPDs.pdf
|journal=Annual Review of Nuclear and Particle Science
|volume=54 |pages=413–450
|doi=10.1146/annurev.nucl.54.070103.181302
}}
*{{서적 인용|성=Greenberg|이름=O. W.|제목=Compendium of Quantum Physics|장=The parton model|출판사=Springer-Verlag|위치=Berlin Heidelberg|연도=2009|쪽=255–258}} {{arxiv|0805.2588}}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2년 9월 8일 (토) 12:53 판

입자물리학에서, 쪽입자(-粒子, parton 파톤[*]) 모형은 고에너지의 강입자 충돌을 나타내는 모형이다. 1969년에 리처드 파인먼이 제안하였다.[1][2] 쪽입자 모형에 따르면, 고에너지의 강입자가 서로 충돌할 때 강입자는 마치 쪽입자라는 수많은 소립자로 구성된 것처럼 행동한다. 오늘날에는 기본 이론으로서는 쿼크 모형으로 대체되었지만, 높은 에너지에서의 근사 모형으로 쓰인다.

전개

쪽입자 모형에서 강입자쪽입자이라는 수많은 점입자로 구성된다. 더욱이 하드론이 기준 좌표계인데 여기서 그것은 무한 운동량을 지닌다. — 고에너지에서 유효한 가정이다. 그리하여 쪽입자 모형은 시간 팽창에 의해 지연되고 가입자 전하 분포는 로런츠 수축된다. 그리하여 들어오는 입자는 순간적이고 결맞지 않게 산란될 것이다.

쪽입자 모형에 따르면, 전자양성자의 비탄성 산란의 경우 그 충격량이 클수록 뵤르켄 스케일링(Bjorken scaling)이라는 특정한 현상을 보인다.[3] 뵤르켄 스케일링은 곧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관찰과 함께 쿼크 모형의 확인과 양자색역학 내의 점근 자유성의 확정으로, 파톤이 쿼크글루온이라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쪽입자 모형은 높은 에너지에서 정당화될 수 있는 근사로 남는다. 그리고 다른 것들은 여러 해에 걸쳐 이론을 확장하였다.

양자색역학 결합 상태내의 원래의 비섭동적 효과 때문에 파르톤 분포 함수는 섭동 색역학에 의해 얻어질 수 없다. 현재의 격자 색역학 계산의 한계로 인해 알려진 파론 분포함수는 실험적으로 얻는다.

쪽입자 분포 함수

쪽입자 분포 함수(parton distribution function)는 운동량에 따른 쪽입자 확률 밀도 함수다. 이는 실험을 통해 여러 번 측정되었는데, 주요 자료는 다음과 같다.

  • CT10 (The Coordinated Theoretical-Experimental Project)[4][5]
  • GRV (Glück, Reya, Vogt 1998)[6]
  • MRST (Martin, Roberts, Stirling, Thorne 2005)[7]

일반 파톤 분포는 더 근래의 접근으로 파톤의 횡(transverse)운동량스핀과 같은 더 많은 변수의 함수로서 파톤 분포를 구현하여 하드론 구조를 더 잘 이해하는 것이다. 보통의 파톤 분포 함수는 일반 파톤 분포가 추가의 변수에 대해 적분하여 얻는다. 일반 파톤 분포는 충돌기 과정의 낮은 운동량을 더 자세하게 기술하기를 희망한다.

참고 문헌

  1. Feynman, R. P. (1969). 〈The Behavior of Hadron Collisions at Extreme Energies〉. 《High Energy Collisions: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at Stony Brook, N.Y.》. Gordon & Breach. 237–249쪽. ISBN 978-0-677-13950-0. 
  2. Feynman, R. P. (1969). “Very High-Energy Collisions of Hadrons”. 《Physical Review Letters》 23 (24): 1415–1417. doi:10.1103/PhysRevLett.23.1415. 
  3. J. Bjorken, E. Paschos (1969). “Inelastic Electron-Proton and γ-Proton Scattering and the Structure of the Nucleon”. 《Physical Review》 185 (5): 1975–1982. doi:10.1103/PhysRev.185.1975. 
  4. CTEQ Collaboration. “CT10 NLO and NNLO parton distribution functions”. 
  5. Hung-Liang Lai, Marco Guzzi, Joey Huston, Zhao Li, Pavel M. Nadolsky, Jon Pumplin, C.-P. Yuan (2010). “New parton distributions for collider physics”. 《Physical Review D》 82 (7): 074024. doi:10.1103/PhysRevD.82.074024.  arXiv:1007.2241
  6. M. Glück, E. Reya, A. Vogt (1998). “Dynamical Parton Distributions Revisited”. 《European Physical Journal C》 5 (3): 461. Bibcode:1998EPJC....5..461G. doi:10.1007/s100529800978.  arXiv:hep-ph/9806404
  7. A. D. Martin, A. G. Roberts, W. J. Stirling, R. S. Thorne (2005). “Parton distributions incorporating QED contributions”. 《European Physical Journal C》 39 (2): 155–161. doi:10.1140/epjc/s2004-02088-7.  arXiv:hep-ph/0411040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