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바다악어: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1번째 줄: 21번째 줄:
|지도_설명=바다악어의 분포 (초록색)
|지도_설명=바다악어의 분포 (초록색)
}}
}}
'''바다악어'''(''Sea crocodile'')는 흔히 '''하구악어'''(''Estuarine crocodile''), '''해양악어'''(''Marine crocodile''), '''짠물악어'''(''Saltwater crocodile'')로도 알려져 있으며<ref>{{cite journal |author=Allen, G. R. |year=1974 |title=The marine crocodile, ''Crocodylus porosus'', from Ponape, Eastern Caroline Islands, with notes on food habits of crocodiles from the Palau Archipelago |journal=Copeia |volume=1974 |issue=2 |page=553 |doi=10.2307/1442558 |jstor=1442558}}</ref>, [[인도]]의 동해안부터 [[동남아시아]], [[순다랜드]] 지역부터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와 [[미크로네시아]]에 이르기까지 바닷물 서식지, 기수 습지, 민물 강이 원산지인 [[악어]]이다. 1996년부터 [[IUCN 적색 목록]]에 "관심대상종"으로 등재되었다.<ref name=iucn /> 1970년대까지 가죽 때문에 사냥되었고, 불법적인 살처분과 서식지 감소로 위협받고 있고, 인간에게 위험한 것으로 여겨진다.<ref name=Webb_al2010>{{cite book |last1=Webb |first1=G. J. W. |last2=Manolis |first2= C. |last3=Brien |first3=M. L. |year=2010 |chapter=Saltwater Crocodile ''Crocodylus porosus'' |pages=99–113 |chapter-url=http://www.iucncsg.org/365_docs/attachments/protarea/18%20--8088e67a.pdf |editor1-last=Manolis |editor1-first=S. C. |editor2-last=Stevenson |editor2-first=C. |title=Crocodile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edition=3rd |publisher=IUCN Crocodile Specialist Group |location=Darwin}}</ref>
'''바다악어'''(<small>[[학명]]</small>:''Crocodylus porosus'', Saltie<ref>{{저널 인용|author=Allen, G. R. |year=1974|title=The marine crocodile, ''Crocodylus porosus'', from Ponape, Eastern Caroline Islands, with notes on food habits of crocodiles from the Palau Archipelago|journal=Copeia|volume=1974|issue=2|pages=553–553|doi=10.2307/1442558|jstor=1442558}}</ref>)는 몸길이 4~6m, 몸무게는 400~1000kg이 넘는다. 바다악어는 현존하는 파충류 중 제일 크고, 힘도 세다. [[푸른바다거북]]과 함께 대표적인 해양 파충류이며 '''인도악어''' 또는 '''하구악어'''라고도 한다. 치악력은 최대 2톤이 넘는다. [[남아시아]]나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하며 보통 대부분이 [[강]]이나 [[호수]]에서 서식하지만 [[소금]]을 내보낼 수 있어 [[바다]]에서 생활하기도 알맞다. 몸길이 5m가 넘고 1톤이 넘는 악어들도 있어 서식지에서 최상위 포식자이며 강한 치악력에 한번 걸리면 그 누구도 무사하지 못한다. 보통 물속에 숨어있다가 [[인도들소|가우르]]나 [[물소]] 같은 대형 초식동물들을 사냥하고 각종 물새, [[원숭이]], [[오랑우탄]], [[왈라비]], [[캥거루]], [[멧돼지]], [[말레이맥]], [[사슴]], [[에뮤]], [[천산갑]], 왕도마뱀, 비단뱀, 민물거북 바다거북, [[물고기|어류]]도 잡아먹는다. 독이 있는 [[바다뱀 (뱀)|바다뱀]]과 [[킹코브라]]도 잡아먹는다. 사냥감이 덩치가 크면 무리지어 사냥하는 [[나일악어]]와는 다르게 제 아무리 큰 사냥감이라도 혼자서 사냥할 수 있다.

바다악어는 현존하는 [[파충류]] 중 가장 큰 동물이다.<ref>{{cite journal |title=Satellite tracking reveals long distance coastal travel and homing by translocated Estuarine Crocodiles, ''Crocodylus porosus'' |journal=PLOS ONE |year=2007 |volume=2 |pmid=17895990 |pmc=1978533 |doi=10.1371/journal.pone.0000949 |doi-access=free |last1=Read |first1=M. A. |last2=Grigg |first2=G. C. |last3=Irwin |first3=S. R. |last4=Shanahan |first4=D. |last5=Franklin |first5=C. E. |issue=9 |pages=e949 |bibcode=2007PLoSO...2..949R}}</ref> 수컷은 몸무게가 1,000~1,500kg (2,200~3,300lb), 길이가 6m (20ft)까지 자랄 수 있고, 6.3m (21ft)를 거의 넘지 않다.<ref name="Acid">{{cite journal |title=Estimation of total length from head length of Saltwater Crocodiles (''Crocodylus porosus'') in the Northern Territory, Australia |year=2013 |journal=Journal of Herpetology |volume=47 |issue=1 |pages=34–40 |doi=10.1670/11-094 |author1=Fukuda, Y. |name-list-style=amp |author2=Saalfeld, W. K. |author3=Lindner, G. |author4=Nichols, T. |s2cid=83912762 |url=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74775364}}</ref><ref>{{cite book |author1=Rice, S. |title=Encyclopedia of Biodiversity |edition=Revised |date=2020 |publisher=Infobase Publishing |location=New York |isbn=9781438195926 |pages=230 |url=https://books.google.com/books?id=YtyPEAAAQBAJ&dq=saltwater+crocodile+1500+kg&pg=PA230}}</ref> 암컷은 훨씬 작고 3m (9.8ft)를 넘기는 일이 거의 없다.<ref name=Whitaker_2008>{{cite journal |last1=Whitaker |first1=R. |last2=Whitaker |first2=N. |year=2008 |title=Who's got the biggest? |journal=Crocodile Specialist Group Newsletter |volume=27 |issue=4 |pages=26–30 |url=https://www.iucncsg.org/365_docs/attachments/protarea/907d4ded022a4ddefe525f89ee64b150.pdf}}</ref><ref name="Britton et al. 2012">{{cite journal |last1=Britton |first1=A. R. C. |last2=Whitaker |first2=R. |last3=Whitaker |first3=N. |title=Here be a Dragon: Exceptional size in Saltwater Crocodile (''Crocodylus porosus'') from the Philippines |journal=Herpetological Review |date=2012 |volume=43 |issue=4 |pages=541–546 |url=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65511442}}</ref> 크고 기회주의적인 초육식 최상위 포식자인 그들은 대부분의 먹이를 매복 공격한 다음 익사하거나 통째로 삼킨다. 그들은 [[상어]]와 같은 다른 포식자, 원양 종을 포함한 다양한 [[민물고기|민물]] 및 [[바닷물고기]], [[갑각류]]와 같은 [[무척추동물]], 다양한 [[양서류]], [[파충류]], [[새|조류]], 그리고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를 포함하여 자신의 영역으로 들어오는 거의 모든 동물을 잡아먹는다.<ref name="Callaway, J. M. 1997">{{cite book |last1=Hua |first1=S. |last2=Buffetaut |first2=E. |year=1997 |chapter=Part V: Crocodylia |pages=357–374 |title=Ancient marine reptiles |location=Cambridge |publisher=Academic Press |isbn=978-0-12-155210-7 |doi=10.1016/B978-0-12-155210-7.X5000-5 |editor1-last=Callaway |editor1-first=J. M. |editor2-last=Nicholls |editor2-first=E. L. |chapter-url=https://reader.elsevier.com/reader/sd/pii/B9780121552107500193?token=49212F9BD94583575A4553B27CDA591A7B9C97B6698550E9A3E43766F27F48E72A8DF49B165E55D9E81AC46194045F04}}</ref><ref name="Blaber, S. J. 2008">{{cite book |last1=Blaber |first1=S. J. M. |year=2008 |title=Tropical estuarine fishes: ecology, exploration and conservation |location=Oxford |publisher=Blackwell Science |pages=185–201 |chapter=Mangroves and Estuarine Dependence |chapter-url=https://books.google.com/books?id=V53GoUTN_wYC&pg=PA196 |isbn=9780470694985}}</ref>


== 위험성 ==
== 위험성 ==

2024년 1월 12일 (금) 18:52 판

바다악어
수컷 바다악어
수컷 바다악어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파충강
목: 악어목
과: 크로커다일과
속: 크로커다일속
종: 바다악어
(C. porosus)
학명
Crocodylus porosus
Schneider, 1801
바다악어의 분포

바다악어의 분포 (초록색)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바다악어(Sea crocodile)는 흔히 하구악어(Estuarine crocodile), 해양악어(Marine crocodile), 짠물악어(Saltwater crocodile)로도 알려져 있으며[2], 인도의 동해안부터 동남아시아, 순다랜드 지역부터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와 미크로네시아에 이르기까지 바닷물 서식지, 기수 습지, 민물 강이 원산지인 악어이다. 1996년부터 IUCN 적색 목록에 "관심대상종"으로 등재되었다.[1] 1970년대까지 가죽 때문에 사냥되었고, 불법적인 살처분과 서식지 감소로 위협받고 있고, 인간에게 위험한 것으로 여겨진다.[3]

바다악어는 현존하는 파충류 중 가장 큰 동물이다.[4] 수컷은 몸무게가 1,000~1,500kg (2,200~3,300lb), 길이가 6m (20ft)까지 자랄 수 있고, 6.3m (21ft)를 거의 넘지 않다.[5][6] 암컷은 훨씬 작고 3m (9.8ft)를 넘기는 일이 거의 없다.[7][8] 크고 기회주의적인 초육식 최상위 포식자인 그들은 대부분의 먹이를 매복 공격한 다음 익사하거나 통째로 삼킨다. 그들은 상어와 같은 다른 포식자, 원양 종을 포함한 다양한 민물바닷물고기, 갑각류와 같은 무척추동물, 다양한 양서류, 파충류, 조류, 그리고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를 포함하여 자신의 영역으로 들어오는 거의 모든 동물을 잡아먹는다.[9][10]

위험성

나일악어와 더불어 모든 악어들 중에서 가장 난폭하다. 영역에 민감하고 나일악어처럼 사람을 먹이로 보고 습격하기 때문에 야생에서 마주치면 가장 위험한 동물 중 하나다.

대표적인 식인동물로 사람도 가리지 않는다. 매년 10-50명의 사람들이 목숨을 잃는다. 주로 4m가 넘는 수컷들이 식인을 저지르지만 암컷 악어들도 사람을 잡아먹는다.

설령 식인까지 안가더라도 악어가 휘두르는 꼬리에 맞기만 해도 중상을 입고 심하면 즉사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가까이 가는 것 자체가 매우 위험하다.

각주

  1. Webb, G.J.W.; Manolis, C.; Brien, M.L.; Balaguera-Reina, S.A.; Isberg, S. (2021). Crocodylus porosus. 《IUCN 적색 목록》 (IUCN) 2021: e.T5668A3047556. doi:10.2305/IUCN.UK.2021-2.RLTS.T5668A3047556.en. 2021년 11월 20일에 확인함. 
  2. Allen, G. R. (1974). “The marine crocodile, Crocodylus porosus, from Ponape, Eastern Caroline Islands, with notes on food habits of crocodiles from the Palau Archipelago”. 《Copeia》 1974 (2): 553. doi:10.2307/1442558. JSTOR 1442558. 
  3. Webb, G. J. W.; Manolis, C.; Brien, M. L. (2010). 〈Saltwater Crocodile Crocodylus porosus (PDF). Manolis, S. C.; Stevenson, C. 《Crocodile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3판. Darwin: IUCN Crocodile Specialist Group. 99–113쪽. 
  4. Read, M. A.; Grigg, G. C.; Irwin, S. R.; Shanahan, D.; Franklin, C. E. (2007). “Satellite tracking reveals long distance coastal travel and homing by translocated Estuarine Crocodiles, Crocodylus porosus. 《PLOS ONE》 2 (9): e949. Bibcode:2007PLoSO...2..949R. doi:10.1371/journal.pone.0000949. PMC 1978533. PMID 17895990. 
  5. Fukuda, Y.; Saalfeld, W. K.; Lindner, G.; Nichols, T. (2013). “Estimation of total length from head length of Saltwater Crocodiles (Crocodylus porosus) in the Northern Territory, Australia”. 《Journal of Herpetology》 47 (1): 34–40. doi:10.1670/11-094. S2CID 83912762. 
  6. Rice, S. (2020). 《Encyclopedia of Biodiversity》 Revis판. New York: Infobase Publishing. 230쪽. ISBN 9781438195926. 
  7. Whitaker, R.; Whitaker, N. (2008). “Who's got the biggest?” (PDF). 《Crocodile Specialist Group Newsletter》 27 (4): 26–30. 
  8. Britton, A. R. C.; Whitaker, R.; Whitaker, N. (2012). “Here be a Dragon: Exceptional size in Saltwater Crocodile (Crocodylus porosus) from the Philippines”. 《Herpetological Review》 43 (4): 541–546. 
  9. Hua, S.; Buffetaut, E. (1997). 〈Part V: Crocodylia〉. Callaway, J. M.; Nicholls, E. L. 《Ancient marine reptiles》. Cambridge: Academic Press. 357–374쪽. doi:10.1016/B978-0-12-155210-7.X5000-5. ISBN 978-0-12-155210-7. 
  10. Blaber, S. J. M. (2008). 〈Mangroves and Estuarine Dependence〉. 《Tropical estuarine fishes: ecology, exploration and conservation》. Oxford: Blackwell Science. 185–201쪽. ISBN 978047069498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