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당뇨병: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LR0725 (토론 | 기여)
50번째 줄: 50번째 줄:


임신당뇨병 환자의 40 ~ 60%는 크게 눈에 띄는 위험 인자가 없다. 따라서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임신당뇨병 발생을 감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는다.<ref name=precis>{{서적 인용|title=Precis V. An Update on Obstetrics and Gynecology.| author=ACOG| date=December 1994|publisher=ACOG (1994)|page=170|isbn=978-0-915473-22-9| author-link=American Congress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ref> 또한 일반적으로 임신당뇨병이 있는 여성은 증상을 나타내지 않아 이 역시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한 감시를 할 이유가 된다. 그러나 일부 환자는 [[갈증]], [[소변]] 양 증가, [[피로]], [[구역질]], [[구토]], [[방광]]의 [[감염]]([[방광염]]), [[시력불선명]]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ref>{{웹 인용|title=Gestational Diabetes|date=27 April 2020|publisher=American Pregnancy Association|url=https://americanpregnancy.org/healthy-pregnancy/pregnancy-complications/gestational-diabetes-855/|access-date=14 October 2020}}</ref>
임신당뇨병 환자의 40 ~ 60%는 크게 눈에 띄는 위험 인자가 없다. 따라서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임신당뇨병 발생을 감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는다.<ref name=precis>{{서적 인용|title=Precis V. An Update on Obstetrics and Gynecology.| author=ACOG| date=December 1994|publisher=ACOG (1994)|page=170|isbn=978-0-915473-22-9| author-link=American Congress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ref> 또한 일반적으로 임신당뇨병이 있는 여성은 증상을 나타내지 않아 이 역시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한 감시를 할 이유가 된다. 그러나 일부 환자는 [[갈증]], [[소변]] 양 증가, [[피로]], [[구역질]], [[구토]], [[방광]]의 [[감염]]([[방광염]]), [[시력불선명]]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ref>{{웹 인용|title=Gestational Diabetes|date=27 April 2020|publisher=American Pregnancy Association|url=https://americanpregnancy.org/healthy-pregnancy/pregnancy-complications/gestational-diabetes-855/|access-date=14 October 2020}}</ref>

== 예방 ==
임신 중 [[비타민 D]]를 보충하는 것이 임신당뇨병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ref>{{cite journal |last1=Palacios |first1=C |last2=Trak-Fellermeier |first2=MA |last3=Martinez |first3=RX |last4=Lopez-Perez |first4=L |last5=Lips |first5=P |last6=Salisi |first6=JA |last7=John |first7=JC |last8=Peña-Rosas |first8=JP |title=Regimens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for women during pregnancy. |journal=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date=3 October 2019 |volume=10 |pages=CD013446 |doi=10.1002/14651858.CD013446 |pmid=31581312|pmc=6776191 }}</ref> 2015년의 한 조사에서는 임신 중에 중등도의 운동을 한 경우 임신당뇨병의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밝혔다.<ref>{{cite journal | vauthors = Sanabria-Martínez G, García-Hermoso A, Poyatos-León R, Álvarez-Bueno C, Sánchez-López M, Martínez-Vizcaíno V | title = Effectiveness of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on preventing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excessive maternal weight gain: a meta-analysis | journal = BJOG | volume = 122 | issue = 9 | pages = 1167–74 | date = August 2015 | pmid = 26036300 | doi = 10.1111/1471-0528.13429 | s2cid = 36297578 }}</ref> 반면 2014년의 조사에서는 운동이 중대한 효과를 보이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ref>{{cite journal | vauthors = Yin YN, Li XL, Tao TJ, Luo BR, Liao SJ | title = Physical activity during pregnancy and the risk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 journal =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 volume = 48 | issue = 4 | pages = 290–5 | date = February 2014 | pmid = 24037671 | doi = 10.1136/bjsports-2013-092596 | s2cid = 13168801 }}</ref> 한편 추가적인 식이 요법이 임신당뇨병 위험을 낮추는지는 불명확하다.<ref>{{cite journal |last1=Tieu |first1=J |last2=Shepherd |first2=E |last3=Middleton |first3=P |last4=Crowther |first4=CA |title=Dietary advice interventions in pregnancy for preventing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journal=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date=3 January 2017 |volume=1 |pages=CD006674 |doi=10.1002/14651858.CD006674.pub3 |pmid=28046205|pmc=6464792 }}</ref> {{임시링크|간호사 건강 연구|en|Nurses' Health Study}}의 데이터에 따르면 건강한 [[식물 위주 식단]]이 낮은 임신당뇨병 위험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ref>{{Cite journal|last1=Chen|first1=Zhangling|last2=Qian|first2=Frank|last3=Liu|first3=Gang|last4=Li|first4=Mengying|last5=Voortman|first5=Trudy|last6=Tobias|first6=Deirdre K.|last7=Ley|first7=Sylvia H.|last8=Bhupathiraju|first8=Shilpa N.|last9=Li|first9=Ling-Jun|last10=Chavarro|first10=Jorge E.|last11=Sun|first11=Qi|date=2021-09-12|title=Prepregnancy plant-based diets and the risk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14,926 women|journal=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volume=114|issue=6|pages=1997–2005|doi=10.1093/ajcn/nqab275|issn=1938-3207|pmc=8634573|pmid=34510175}}</ref>
다이어트와 운동 요법은 과도한 임신 중 체중 증가를 예방하여 임신당뇨병 비율을 줄이기 위해 설계되었다. 그러나 이런 요법들의 영향은 대상자의 [[체질량지수]](BMI)나 연구가 진행된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ref name="pmid29698713">{{cite journal | vauthors = Bennett CJ, Walker RE, Blumfield ML, Gwini SM, Ma J, Wang F, Wan Y, Dickinson H, Truby H | title = Interventions designed to reduce excessive gestational weight gain can reduce the incidenc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 journal =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volume = 141 | pages = 69–79 | date = July 2018 | pmid = 29698713 | doi = 10.1016/j.diabres.2018.04.010 | s2cid = 13660089 | type = Review }}</ref>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2022년 11월 26일 (토) 15:57 판

임신당뇨병
다른 이름임신성 당뇨병, 임신중 당뇨병
당뇨병을 나타내는 기호[1]
진료과내분비내과, 산부인과
증상일반적으로 증상은 적음[2]
합병증자간전증, 사산, 우울증, 제왕절개가 필요할 가능성 증가[2]
통상적 발병 시기임신의 마지막 3개월, 말기에 가장 흔함[2]
병인인슐린 저항성, 불충분한 인슐린[2]
위험 인자과체중, 임신당뇨병의 과거력, 제2형 당뇨병의 가족력, 다낭성 난소 증후군[2]
진단 방식혈액 검사를 통해 선별[2]
예방임신 전 정상 체중을 유지하며 운동을 꾸준히 하기[2]
치료식이 요법, 운동, 인슐린 주사[2]
빈도임신의 6% 가량[3]

임신당뇨병(妊娠糖尿病, gestational diabetes)은 당뇨병이 없던 여성이 임신 중에 혈당 수치가 올라가는 상태를 말한다.[2] 일반적으로 임신당뇨병 자체가 일으키는 증상은 적지만,[2] 임신당뇨병으로 인해 자간전증이나 우울증의 위험, 제왕절개의 필요성 등이 올라간다.[2] 임신당뇨병을 제대로 치료하지 못한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아기는 출생 이후 큰몸증저혈당증, 황달의 위험이 증가한다.[2] 치료하지 않은 경우 당뇨병으로 인해 아기가 사산될 수도 있다.[2] 장기적으로는 아이가 과체중이 되거나, 제2형 당뇨병이 발병할 위험도 커진다.[2]

인슐린 저항성이나 인슐린 생산 감소로 인해 임신당뇨병이 발병할 수 있다.[2] 발병 위험 인자에는 과체중, 임신당뇨병의 과거력, 제2형 당뇨병의 가족력, 다낭성 난소 증후군이 있다.[2]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2] 특별히 위험 인자가 없는 경우 임신 24 ~ 28개월 사이에 선별검사를 권장한다.[2][3] 고위험군에 속하는 임산부는 첫 출생전관리 시 검사를 하기도 한다.[2]

임신 전에 정상 체중을 유지하고 운동을 하는 것이 임신당뇨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2] 당뇨병 식사, 운동, 메트포르민 같은 약물, 인슐린 주사 등으로 임신당뇨병을 치료한다.[2] 대다수의 여성에서는 혈당 수치를 식이 요법과 운동을 통해 관리한다.[3] 임신당뇨병이 발병한 사람들의 혈당 검사는 하루 4번으로 권장된다.[3] 출생 이후 최대한 빠르게 모유 수유를 하기를 권장한다.[2]

연구에 따라 수치는 다르지만 임산부의 3 ~ 9%에서 임신당뇨병이 발병한다.[3] 보통 임신 3분기, 즉 말기에 특히 흔하다.[2] 20세 이하의 1%, 44세 이상의 13%가 임신당뇨병에 걸린다.[3] 아시아인, 아메리카 원주민,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태평양 섬에 사는 사람들 등의 인종에서 더 발병 위험이 높다.[3][2] 전체 임신당뇨병의 90%는 아기를 출산한 이후에 사라진다.[2] 그러나 이런 경우에도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은 증가한 상태가 된다.[3]

위험 인자

임신당뇨병 발생의 고전적인 위험 인자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4]

흡연을 하는 경우 통계적으로 임신당뇨병 위험이 2배로 늘어난다.[9] 몇몇 연구에서는 저신장과 같이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는 위험 인자를 연구하기도 했다.[10]

임신당뇨병 환자의 40 ~ 60%는 크게 눈에 띄는 위험 인자가 없다. 따라서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임신당뇨병 발생을 감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는다.[11] 또한 일반적으로 임신당뇨병이 있는 여성은 증상을 나타내지 않아 이 역시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한 감시를 할 이유가 된다. 그러나 일부 환자는 갈증, 소변 양 증가, 피로, 구역질, 구토, 방광감염(방광염), 시력불선명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12]

예방

임신 중 비타민 D를 보충하는 것이 임신당뇨병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13] 2015년의 한 조사에서는 임신 중에 중등도의 운동을 한 경우 임신당뇨병의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밝혔다.[14] 반면 2014년의 조사에서는 운동이 중대한 효과를 보이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15] 한편 추가적인 식이 요법이 임신당뇨병 위험을 낮추는지는 불명확하다.[16] 간호사 건강 연구(영어판)의 데이터에 따르면 건강한 식물 위주 식단이 낮은 임신당뇨병 위험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17] 다이어트와 운동 요법은 과도한 임신 중 체중 증가를 예방하여 임신당뇨병 비율을 줄이기 위해 설계되었다. 그러나 이런 요법들의 영향은 대상자의 체질량지수(BMI)나 연구가 진행된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18]

참고 문헌

  1. “Diabetes Blue Circle Symbol”.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06년 3월 17일. 2007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 “Gestational Diabetes”. 《NIDDK》. September 2014. 2016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31일에 확인함. 
  3. Donovan PJ, McIntyre HD (October 2010). “Drugs for gestational diabetes”. 《Australian Prescriber》 33 (5): 141–144. doi:10.18773/austprescr.2010.066. 
  4. Ross G (June 2006). “Gestational diabetes”. 《Australian Family Physician》 35 (6): 392–6. PMID 16751853. 
  5. Toulis KA, Goulis DG, Kolibianakis EM, Venetis CA, Tarlatzis BC, Papadimas I (August 2009). “Risk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a meta-analysis”. 《Fertility and Sterility》 92 (2): 667–77. doi:10.1016/j.fertnstert.2008.06.045. PMID 18710713. 
  6. Khandwala YS, Baker VL, Shaw GM, Stevenson DK, Lu Y, Eisenberg ML (October 2018). “Association of paternal age with perinatal outcomes between 2007 and 2016 in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based cohort study”. 《BMJ》 363: k4372. doi:10.1136/bmj.k4372. PMC 6207919. PMID 30381468. 
  7. Chu SY, Callaghan WM, Kim SY, Schmid CH, Lau J, England LJ, Dietz PM (August 2007). “Maternal obesity and risk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30 (8): 2070–6. doi:10.2337/dc06-2559a. PMID 17416786. 
  8. Zhang C, Bao W, Rong Y, Yang H, Bowers K, Yeung E, Kiely M (2013). “Genetic variants and the risk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 systematic review”. 《Human Reproduction Update》 19 (4): 376–90. doi:10.1093/humupd/dmt013. PMC 3682671. PMID 23690305. 
  9. Bjørge T, Tretli S, Engeland A (December 2004). “Relation of height and body mass index to renal cell carcinoma in two million Norwegian men and wome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60 (12): 1168–76. doi:10.1093/aje/kwh345. PMID 15583369. 
  10. Ma RM, Lao TT, Ma CL, Liao SJ, Lu YF, Du MY, Xiao H, Zhang L, Yang MH, Xiao X (November 2007). “Relationship between leg length and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n Chinese pregnant women”. 《Diabetes Care》 30 (11): 2960–1. doi:10.2337/dc07-0763. PMID 17666468. 
  11. ACOG (December 1994). 《Precis V. An Update on Obstetrics and Gynecology.》. ACOG (1994). 170쪽. ISBN 978-0-915473-22-9. 
  12. “Gestational Diabetes”. American Pregnancy Association. 2020년 4월 27일. 2020년 10월 14일에 확인함. 
  13. Palacios, C; Trak-Fellermeier, MA; Martinez, RX; Lopez-Perez, L; Lips, P; Salisi, JA; John, JC; Peña-Rosas, JP (2019년 10월 3일). “Regimens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for women during pregnancy.”.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0: CD013446. doi:10.1002/14651858.CD013446. PMC 6776191. PMID 31581312. 
  14. Sanabria-Martínez G, García-Hermoso A, Poyatos-León R, Álvarez-Bueno C, Sánchez-López M, Martínez-Vizcaíno V (August 2015). “Effectiveness of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on preventing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excessive maternal weight gain: a meta-analysis”. 《BJOG》 122 (9): 1167–74. doi:10.1111/1471-0528.13429. PMID 26036300. S2CID 36297578. 
  15. Yin YN, Li XL, Tao TJ, Luo BR, Liao SJ (February 2014). “Physical activity during pregnancy and the risk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8 (4): 290–5. doi:10.1136/bjsports-2013-092596. PMID 24037671. S2CID 13168801. 
  16. Tieu, J; Shepherd, E; Middleton, P; Crowther, CA (2017년 1월 3일). “Dietary advice interventions in pregnancy for preventing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CD006674. doi:10.1002/14651858.CD006674.pub3. PMC 6464792. PMID 28046205. 
  17. Chen, Zhangling; Qian, Frank; Liu, Gang; Li, Mengying; Voortman, Trudy; Tobias, Deirdre K.; Ley, Sylvia H.; Bhupathiraju, Shilpa N.; Li, Ling-Jun; Chavarro, Jorge E.; Sun, Qi (2021년 9월 12일). “Prepregnancy plant-based diets and the risk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14,926 women”.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14 (6): 1997–2005. doi:10.1093/ajcn/nqab275. ISSN 1938-3207. PMC 8634573. PMID 34510175. 
  18. Bennett CJ, Walker RE, Blumfield ML, Gwini SM, Ma J, Wang F, Wan Y, Dickinson H, Truby H (July 2018). “Interventions designed to reduce excessive gestational weight gain can reduce the incidenc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Review) 141: 69–79. doi:10.1016/j.diabres.2018.04.010. PMID 29698713. S2CID 1366008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