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영행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선형대수학]]에서, '''영행렬'''({{llang|en|zero matrix, null matrix}})은 모든 성분이 0인 [[행렬]]이다.<ref>{{서적 인용 | 제목=Linear Algebra|series=Under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first=Serge|last=Lang|authorlink=서지 랭 |publisher=Springer|year=1987|isbn=9780387964126|page=25|url=https://books.google.com/books?id=0DUXym7QWfYC&pg=PA25}}</ref> 행렬의 덧셈의 [[항등원]]을 이룬다.
[[선형대수학]]에서, '''영행렬'''({{llang|en|zero matrix, null matrix}})은 모든 성분이 0인 [[행렬]]이다.<ref name="Lang">{{서적 인용
|성=Lang
|이름=Serge
|저자링크=서지 랭
|제목=Linear Algebra
|언어=en
|판=3
|총서=Under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출판사=Springer
|위치=New York, NY
|날짜=1987
|isbn=978-1-4419-3081-1
|issn=0172-6056
|doi=10.1007/978-1-4757-1949-9
|mr=0874113
|zbl=0618.15001
}}</ref>{{rp|1=[https://books.google.com/books?id=0DUXym7QWfYC&pg=PA25 25]}} 행렬의 덧셈의 [[항등원]]을 이룬다.


== 정의 ==
== 정의 ==
10번째 줄: 26번째 줄:
0 & 0 & \cdots & 0
0 & 0 & \cdots & 0
\end{pmatrix}_{m\times n}</math>
\end{pmatrix}_{m\times n}</math>
즉, 모든 성분이 [[환 (수학)|환]] <math>R</math>의 덧셈 [[항등원]] <math>0\in R</math>인 <math>m\times n</math> [[행렬]]이다.
즉, 모든 성분이 [[환 (수학)|환]] <math>R</math>의 덧셈 [[항등원]] <math>0\in R</math>인 <math>m\times n</math> [[행렬]]이다. 예를 들어, 2×3 및 4×4 영행렬은 각각 다음과 같다.
:<math>\begin{pmatrix}
0 & 0 & 0 \\
0 & 0 & 0
\end{pmatrix}</math>
:<math>\begin{pmatrix}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end{pmatrix}</math>


== 성질 ==
== 성질 ==
[[환 (수학)|환]] <math>R</math> 위의 임의의 <math>m\times n</math> [[행렬]] <math>A</math>에 대하여, 다음 항등식들이 성립한다.
임의의 자연수 l, m, n에서
:<math>A+0_{m\times n}=0_{m\times n}+A=A</math>

:<math>0_{m\times m}A=A0_{n\times n}=0_{m\times n}</math>
* m행 n열의 영행렬 O와 m행 n열 임의의 행렬 A의 합은 A + O = O + A = A가 되고, 차는 A - O = A, O - A = -A가 된다.
즉,
* l행 m열의 영행렬 O와 m행 n열 임의의 행렬 A의 곱 OA는 l행 n열의 영행렬이다.
* <math>m\times n</math> 영행렬은 행렬 공간 <math>\operatorname{Mat}(m,n;R)</math>의 덧셈 [[항등원]]이다.
* l행 m열의 임의의 행렬 B와 m행 n열의 영행렬 O의 곱 BO는 l행 n열의 영행렬이다.
* 임의의 행렬에 영행렬을 곱하면 영행렬이 된다.

이러한 점에서 n차 정사각형행렬 전체를 이루는 [[환론|환]]을 고려할 때, 영행렬은 그 [[제로요소|영원]](零元)이 된다.

== 예시 ==
:<math>
I_{1,1} = \begin{bmatrix}
0 \end{bmatrix}
,\
I_{2,2} = \begin{bmatrix}
0 & 0 \\
0 & 0 \end{bmatrix}
,\
I_{2,3} = \begin{bmatrix}
0 & 0 & 0 \\
0 & 0 & 0 \end{bmatrix}
\
</math>


== 참조 ==
== 같이 보기 ==
* [[단위행렬]]
* [[단위행렬]] : [[주대각선]]의 원소가 모두 1이며 나머지 원소는 모두 0인 [[정사각 행렬]].


== 각주 ==
== 각주 ==
43번째 줄: 53번째 줄: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매스월드|title=Zero Matrix|urlname=ZeroMatrix}}
* {{매스월드|title=Zero matrix|id=ZeroMatrix}}


{{토막글|대수학}}
{{토막글|대수학}}

2022년 7월 18일 (월) 14:55 판

선형대수학에서, 영행렬(영어: zero matrix, null matrix)은 모든 성분이 0인 행렬이다.[1]:25 행렬의 덧셈의 항등원을 이룬다.

정의

위의 영행렬은 다음과 같은 행렬이다.

즉, 모든 성분이 의 덧셈 항등원 행렬이다. 예를 들어, 2×3 및 4×4 영행렬은 각각 다음과 같다.

성질

위의 임의의 행렬 에 대하여, 다음 항등식들이 성립한다.

즉,

  • 영행렬은 행렬 공간 의 덧셈 항등원이다.
  • 임의의 행렬에 영행렬을 곱하면 영행렬이 된다.

같이 보기

각주

  1. Lang, Serge (1987). 《Linear Algebra》. Under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3판. New York, NY: Springer. doi:10.1007/978-1-4757-1949-9. ISBN 978-1-4419-3081-1. ISSN 0172-6056. MR 0874113. Zbl 0618.1500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