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케톤체생성성 아미노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영어판 위키(2019년 5월 27일 버전)를 참고하여 한국어판 문서로 번역함.
(차이 없음)

2019년 6월 12일 (수) 18:05 판

아미노산 표

케톤생성 아미노산(영어: ketogenic amino acid)은 케톤체전구물질아세틸-CoA로 직접적으로 분해될 수 있는 아미노산이다.[1] 케톤생성 아미노산은 포도당으로 전환될 수 있는 포도당생성 아미노산과는 대조적이다. 케톤생성 아미노산은 케톤체 내의 탄소 원자가 모두 궁극적으로 시트르산 회로에서 이산화 탄소로 분해되기 때문에 포도당으로 전환될 수 없다.

사람에서 다음의 두 가지 아미노산들은 전적으로 케톤생성 아미노산이다.

(아래의 아미노산들은 모두 L-아미노산이다.)

사람에서 다음의 다섯 가지 아미노산들은 케톤생성과 포도당생성이 모두 가능하다.

(모든 방향족 아미노산들을 포함한다.)

사람에서 나머지 13가지 아미노산들은 전적으로 포도당생성 아미노산이다(즉, 케톤생성 아미노산이 아니다).[2]

연구

케톤생성 아미노산은 인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과 당뇨병에 대한 가능한 치료로 케톤생성 아미노산 풍부(ketogenic amino acid rich, KAAR) 식이요법에 대한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3] 쥐에서 지방간 질환에 대한 식이 연구에 따르면 케톤생성 아미노산인 라이신트레오닌의 섭취를 줄이면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주요 원인인 지방간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4] 특히 라이신은 과활성화가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는 라파마이신 복합체 1(mTORC1) 및 단백질 S6 키네이스 1(S6K1)의 활성화를 통해 인슐린 대사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 더 많은 연구들은 케톤생성 아미노산이 풍부한 식단이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케톤생성 아미노산의 사용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3]

같이 보기

각주

  1. “Ketogenic diet: Amino Acids, Substrates, and Ketones | How it All Works”. 2014년 11월 19일. 
  2. Berg J, Tymoczko J, Stryer L. 〈Protein Turnover and Amino Acid Catabolism〉. 《Biochemistry》 eigh판. ISBN 1-4641-2610-0. 
  3. Noguchi Y, Nishikata N, Shikata N, Kimura Y, Aleman JO, Young JD, Koyama N, Kelleher JK, Takahashi M, Stephanopoulos G (August 2010). “Ketogenic essential amino acids modulate lipid synthetic pathways and prevent hepatic steatosis in mice”. 《PLOS ONE》 5 (8): e12057. Bibcode:2010PLoSO...512057N. doi:10.1371/journal.pone.0012057. PMC 2919399. PMID 20706589. 
  4. Singal SA, Hazan SJ, Sydenstricker VP, Littlejohn JM (February 1953). “The production of fatty livers in rats on threonine-and lysine-deficient diet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 (2): 867–74. PMID 13034849. 
  5. Hinault C, Mothe-Satney I, Gautier N, Lawrence JC, Van Obberghen E (December 2004). “Amino acids and leucine allow insulin activation of the PKB/mTOR pathway in normal adipocytes treated with wortmannin and in adipocytes from db/db mice”. 《FASEB Journal》 18 (15): 1894–6. doi:10.1096/fj.03-1409fje. PMID 1547976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