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장수거북: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tormDaebak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StormDaebak (토론 | 기여)
내용추가
15번째 줄: 15번째 줄:


'''장수거북'''은 현존하는 [[거북]] 중에서 가장 큰 종이다. 대부분 거북들과는 달리 등이 뼈로 이루어지지 않고, 살로 이루어져있다. 장수거북과에 속해있는 유일한 종이다. 전세계에 분포하지만, 최근 멸종위기를 맞고 있다.
'''장수거북'''은 현존하는 [[거북]] 중에서 가장 큰 종이다. 대부분 거북들과는 달리 등이 뼈로 이루어지지 않고, 살로 이루어져있다. 장수거북과에 속해있는 유일한 종이다. 전세계에 분포하지만, 최근 멸종위기를 맞고 있다.

==형태==
장수거북은 대부분의 [[바다거북]]과 같이 두 쌍의 다리, 큰 머리, 짧은 꼬리를 가지고 있다. 발톱 없는 발은 여전히 수영하기에 적합하다. 다른 바다거북에 비해 장수거북의 발은 몸의 크기에 비해서 상당히 큰 편으로, 앞발의 길이가 도합 270 센티미터까지 자란 것이 목격된 적이 있다. 장수거북과의 유일한 종으로, 다른 바다거북과 다른 점이 몇몇 있다. 가장 눈여겨볼 차이점은 딱딱한 등딱지가 없으며, 대신 가죽과 같은 피부로 덮여있다 (이 피부 밑에 아주 작은 뼈 조직이 존재한다.) 일곱 개의 등줄기가 거북의 뒷부분에서 앞부분까지 뻗어있다. 거북의 피부는 어두운 회색이며, 흰 점들도 산재한다. 대신 거북의 배는 옅게 채색되어 있다.<ref name="CCC">{{웹 인용
| 제목 =Species Fact Sheet: Leatherback Sea Turtle
| 출판사 =Caribbean Conservation Corporation & Sea Turtle Survival League | publisher =Caribbean Conservation Corporation
| 작성년도 =2005
| url=http://www.cccturtle.org/leatherback.htm|accessdate=2007-09-06}}</ref>
<ref name="ADW">{{웹 인용
| last =Fontanes| first =F.
| 제목 =ADW: Dermochelys coriacea: Information
| 저널 =Animal Diversity Web
| 출판사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 작성년도 =2003
| url =http://animaldiversity.ummz.umich.edu/site/accounts/information/Dermochelys_coriacea.html
| 확인날짜 = 2007-09-17 }}</ref>

다 자란 장수거북은 1 미터에서 2미터 정도 되며, 250 에서 700 킬로그램까지 나가지만, <ref name="CCC"/> [[웨일스]]의 [[북대서양]]해안에서 발견된 표본은 3 미터 정도되면서 900 킬로그램까지 자랐다. 장수거북은 지구상 파충류 중에서 4번째로 크다. <ref name="WWW"/><ref name="TurtlesOrg"/>

===생리===
장수거북의 [[신진대사]]율은 같은 크기의 다른 파충류에 비해 4배다 높아 체온유지에 용이한데, 기름진 피부와 큰 체구가 체온을 주변온도 보다 높은 18 섭씨로 유지시켜주기 때문이다. <ref name="WWW">{{웹 인용
| 제목 =WWF - Leatherback turtle
| 저널 =Marine Turtles
| 출판사 =[[World Wide Fund for Nature]] (WWF)
| 작성년도 =2007
| url=http://www.panda.org/about_wwf/what_we_do/species/about_species/species_factsheets/marine_turtles/leatherback_turtle/index.cfm
| 확인날짜 =2007-09-09}}</ref>

장수거북은 파충류 중에서 가장 깊이 잠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심 1,200 미터에서 발견되기도 하였다. <ref name="WWW"/> 또한 그들은 가장 빠른 파충류 이기도 하며, [[기네스북]]은 최대 시속 35.28 km/h로 장수거북을 가장 빠른 거북으로 등재하고 있다.
<ref name="Speed">{{웹 인용
| last =Shweky | first = Rachel
| 제목 =Speed of a Turtle or Tortoise
| work =The Physics Factbook
| 작성년도 =1999
| url =http://hypertextbook.com/facts/1999/RachelShweky.shtml
| 확인날짜 =2007-09-13}}</ref>
<ref name="Guinness1992">{{서적 인용
| 저자이름=Donald McFarlan
| 제목 =Guinness Book of Records 1992
| 출판사 =Guinness
| 작성년도 =1991
| 출판위치=New York
| 쪽 =
| isbn = }}</ref>


==분포==
장수거북은 전세계에 분포하는 종으로 [[알래스카]]와 [[노르웨이]]부터 아프리카의 [[희망봉]]과 [[뉴질랜드]]까지 발견되며, 주로 열대지방과 아열대를 선호한다. 한국에서도 난류를 따라 올라오는 무리가 있다.<ref name="Willgohs1957">{{저널 인용
| last =Willgohs | first =J. F.
| authorlink =
| 제목 =Occurrence of the Leathery Turtle in the Northern North Sea and off Western Norway
| 저널 =Nature
| volume =179
| 쪽 =163-164
| 작성년도 =1957
| url =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179/n4551/pdf/179163a0.pdf
| doi =10.1038/179163a0
| 확인날짜 =2007-09-07 }}</ref>
전세계적으로 유전적으로 크게 세 그룹(동태평양, 서태평양, 대서양)이 존재한다.
<ref name="WWW"/><ref name="WWFDistribution">{{웹 인용
| 제목 = WWF - Leatherback turtle - Population & Distribution
| work =Marine Turtles
| 출판사 =World Wide Fund for Nature
| 작성년도 =2007-02-16
| url =http://www.panda.org/about_wwf/what_we_do/species/about_species/species_factsheets/marine_turtles/leatherback_turtle/lbturtle_population_distribution/index.cfm
| 확인날짜 =2007-09-13}}</ref> [[말레이시아]]에 산란하는 그룹을 나눠야 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 지역에서 장수거북은 거의 절멸되었다. [[인도양]]지역에서 산란하는 개체도 목격되었지만, 이들에 대해서는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고 있다. <ref name="SWOT1Dutton">{{저널 인용
| last =Dutton | first =Peter
| 저자 =Peter Dutton
| 제목 =Building our Knowledge of the Leatherback Stock Structure
| 저널 =The State of the World's Sea Turtles report
| volume =1
| 쪽 =10-11
| 작성년도 =2006
| url =http://www.seaturtlestatus.org/Main/Report/SwotReport1.aspx
| doi =
| 확인년도 =2007-09-14}}</ref>

[[Image:Lieux pontes tortues luth.png|thumb|center|800px|''D. coriacea'' distribution. 점들은 산란지를 나타내며, 그중 빨간 점은 주요 산란장소를 나타낸다.]]

===대서양===
장수거북은 대서양 전체에 분포하며, [[북해]]에서 [[희망봉]]까지 발견된다. 다른 바다거북과 달리 해파리가 많은 찬물에서 먹이를 찾기도 하기 때문에 그들의 분포범위는 넓다. 하지만 그들이 산란하는 지역은 한정되어있다. <ref>{{뉴스 인용 | 저자= Stéphane Caut, Elodie Guirlet, Elena Angulo, Krishna Das & Marc Girondot
| 제목=Isotope Analysis Reveals Foraging Area Dichotomy for Atlantic Leatherback Turtles
| 작성년도=2008
| 출판사=
| url =http://www.plosone.org/doi/pone.0001845
| work =PLoS One
| 쪽 =
| 확인날짜 = 2008-03-26 }}</ref>.

캐나다의 대서양 해안에서는 [[뉴펀들랜드]] 에서 먹이를 찾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세인트로렌스강 하구에서 까지 목격된 적이 있다. (출처필요) 대서양에서 그들이 주로 산란하는 곳은 [[수리남]], [[프랑스령 기니]], [[가봉]]등을 들 수 있다. [[가봉]]의 [[마움바 국립공원]]은 아프리카에서 특히 그들이 가장 많이 산란하는 장소로 알려져 있다. <ref name="WWFDistribution"/><ref name="Mayumba">{{웹 인용
| 제목 =Marine Turtles
| work =Mayumba National Park: Protecting Gabon's Wild Coast
| 출판사 =Mayumba National Park
| 작성년도 =2006
| url =http://www.mayumbanationalpark.com/turtles.htm
| 확인날짜 =2007-09-13}}</ref> [[남아메리카]]의 북동쪽 해안은 장수거북을 비롯한 바다거북이 많이 산란하는 장소이다. <ref name="Girondot1996">{{저널 인용
| last =Girondot | first =Marc
| 저자 =Marc Girondot,Jacques Fretey
| 제목 =Leatherback Turtles, Dermochelys coriacea, Nesting in French Guiana, 1978-1995
| 저널 =Chelonian Conservation Biology
| volume =2
| 쪽 =204-208
| 작성년도 =1996
| url =http://www.ese.u-psud.fr/epc/conservation/Publi/texte/AE_CCB96.html
| 확인날짜 =2007-09-14}}</ref> 수백개체가 [[플로리다]]의 동쪽 해안에서 매년 산란한다. <ref name="TurtlesOrg">{{웹 인용
| 제목 =The Leatherback Turtle (Dermochelys coriacea)
| work =
| 출판사 =turtles.org
| 작성년도 =2004-01-24
| url =http://www.turtles.org/leatherd.htm
| 확인날짜 =2007-09-15 }}</ref> [[코스타리카]]에서는 [[파리스미나]]해변이 가장 중요한 산란소로 알려져 있다. <ref name="Parismina">{{웹 인용
| 제목 =Sea Turtles of Parismina
| work =Village of Parismina, Costa Rica - Turtle Project
| 출판사=Parismina Social Club
| 작성년도 =2007-05-13
| url =http://www.parismina.com/turtle.htm
| 확인날짜 =2007-09-13}}</ref><ref name="SWOT1Dutton"/>

===태평양===
[[태평양]]에 분포하는 장수거북은 두가지의 분명한 그룹으로 나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한 그룹은 [[파푸아(인도네시아)|파푸아]], [[인도네시아]], 그리고 [[솔로몬제도]]에 산란하면서 북반구에서 먹이를 찾는다. 동[[태평양]]그룹은 주로 남아메리카 부근에 사며, 산란할 때는 중앙아메리카(멕시코, 코스타리카)까지 올라간다. <ref name="Astorian20061101"/><ref name="WWFDistribution"/> 말레이시아에 분포하는 개체는 2006년에 어림잡아 수백 마리로 추정된다. <ref name="SWOT1Dutton"/>

[[북아메리카]]의 [[컬럼비아]]강의 하구와 [[캘리포니아]]해안가는 장수거북이 서식하는 중요한장소로 알려져 있다. <ref name="Astorian20061101">{{뉴스 인용
| last =Profita | first =Cassandra
| 제목 =Saving the 'dinosaurs of the sea'
| work =Headline News
| 언어 =English
| 출판사 =The Daily Astorian
| 작성일 =2006-11-01
| url =http://www.dailyastorian.com/main.asp?SectionID=2&SubSectionID=398&ArticleID=37627&TM=60182.09 | accessdate = 2007-09-07 }}</ref> 심지어 [[캐나다]]의 [[브리티시 컬럼비아]]의 해안가에서 목격된 적도 있다.<ref name="NSLTWG"/>

===인도양===
이들 개체에 대해서는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지만, 확인된 산란소는 [[스리랑카]]와 [[니코바르섬]]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유전적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보인다. <ref name="SWOT1Dutton"/>

==생태==
===서식처===
===일생===
==역사==
==학명의 유래==
==인간과의 관계==
==보호노력==
===전세계적인 보존활동===
===나라별 보존활동===

== 주석 ==
<div style="height: 90px; overflow: auto; padding: 3px;text-align: left; border:solid 1px;" 제목 ="braglist:-/"; >{{주석}}</div>




{{토막글|동물}}
{{토막글|동물}}

2008년 5월 20일 (화) 12:23 판

장수거북
파일:800px-LeatherbackTurtle.jpg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색동물문
강: 파충강
목: 거북목
과: 장수거북과
속: 장수거북속
종: 장수거북
학명
Dermochelys coriacea
[출처 필요]
보전상태
위급(CR): 멸종가능성 극단적으로 높음

장수거북은 현존하는 거북 중에서 가장 큰 종이다. 대부분 거북들과는 달리 등이 뼈로 이루어지지 않고, 살로 이루어져있다. 장수거북과에 속해있는 유일한 종이다. 전세계에 분포하지만, 최근 멸종위기를 맞고 있다.

형태

장수거북은 대부분의 바다거북과 같이 두 쌍의 다리, 큰 머리, 짧은 꼬리를 가지고 있다. 발톱 없는 발은 여전히 수영하기에 적합하다. 다른 바다거북에 비해 장수거북의 발은 몸의 크기에 비해서 상당히 큰 편으로, 앞발의 길이가 도합 270 센티미터까지 자란 것이 목격된 적이 있다. 장수거북과의 유일한 종으로, 다른 바다거북과 다른 점이 몇몇 있다. 가장 눈여겨볼 차이점은 딱딱한 등딱지가 없으며, 대신 가죽과 같은 피부로 덮여있다 (이 피부 밑에 아주 작은 뼈 조직이 존재한다.) 일곱 개의 등줄기가 거북의 뒷부분에서 앞부분까지 뻗어있다. 거북의 피부는 어두운 회색이며, 흰 점들도 산재한다. 대신 거북의 배는 옅게 채색되어 있다.[1] [2]

다 자란 장수거북은 1 미터에서 2미터 정도 되며, 250 에서 700 킬로그램까지 나가지만, [1] 웨일스북대서양해안에서 발견된 표본은 3 미터 정도되면서 900 킬로그램까지 자랐다. 장수거북은 지구상 파충류 중에서 4번째로 크다. [3][4]

생리

장수거북의 신진대사율은 같은 크기의 다른 파충류에 비해 4배다 높아 체온유지에 용이한데, 기름진 피부와 큰 체구가 체온을 주변온도 보다 높은 18 섭씨로 유지시켜주기 때문이다. [3]

장수거북은 파충류 중에서 가장 깊이 잠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심 1,200 미터에서 발견되기도 하였다. [3] 또한 그들은 가장 빠른 파충류 이기도 하며, 기네스북은 최대 시속 35.28 km/h로 장수거북을 가장 빠른 거북으로 등재하고 있다. [5] [6]


분포

장수거북은 전세계에 분포하는 종으로 알래스카노르웨이부터 아프리카의 희망봉뉴질랜드까지 발견되며, 주로 열대지방과 아열대를 선호한다. 한국에서도 난류를 따라 올라오는 무리가 있다.[7] 전세계적으로 유전적으로 크게 세 그룹(동태평양, 서태평양, 대서양)이 존재한다. [3][8] 말레이시아에 산란하는 그룹을 나눠야 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 지역에서 장수거북은 거의 절멸되었다. 인도양지역에서 산란하는 개체도 목격되었지만, 이들에 대해서는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고 있다. [9]

D. coriacea distribution. 점들은 산란지를 나타내며, 그중 빨간 점은 주요 산란장소를 나타낸다.

대서양

장수거북은 대서양 전체에 분포하며, 북해에서 희망봉까지 발견된다. 다른 바다거북과 달리 해파리가 많은 찬물에서 먹이를 찾기도 하기 때문에 그들의 분포범위는 넓다. 하지만 그들이 산란하는 지역은 한정되어있다. [10].

캐나다의 대서양 해안에서는 뉴펀들랜드 에서 먹이를 찾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세인트로렌스강 하구에서 까지 목격된 적이 있다. (출처필요) 대서양에서 그들이 주로 산란하는 곳은 수리남, 프랑스령 기니, 가봉등을 들 수 있다. 가봉마움바 국립공원은 아프리카에서 특히 그들이 가장 많이 산란하는 장소로 알려져 있다. [8][11] 남아메리카의 북동쪽 해안은 장수거북을 비롯한 바다거북이 많이 산란하는 장소이다. [12] 수백개체가 플로리다의 동쪽 해안에서 매년 산란한다. [4] 코스타리카에서는 파리스미나해변이 가장 중요한 산란소로 알려져 있다. [13][9]

태평양

태평양에 분포하는 장수거북은 두가지의 분명한 그룹으로 나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한 그룹은 파푸아, 인도네시아, 그리고 솔로몬제도에 산란하면서 북반구에서 먹이를 찾는다. 동태평양그룹은 주로 남아메리카 부근에 사며, 산란할 때는 중앙아메리카(멕시코, 코스타리카)까지 올라간다. [14][8] 말레이시아에 분포하는 개체는 2006년에 어림잡아 수백 마리로 추정된다. [9]

북아메리카컬럼비아강의 하구와 캘리포니아해안가는 장수거북이 서식하는 중요한장소로 알려져 있다. [14] 심지어 캐나다브리티시 컬럼비아의 해안가에서 목격된 적도 있다.[15]

인도양

이들 개체에 대해서는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지만, 확인된 산란소는 스리랑카니코바르섬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유전적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보인다. [9]

생태

서식처

일생

역사

학명의 유래

인간과의 관계

보호노력

전세계적인 보존활동

나라별 보존활동

주석

  1. “Species Fact Sheet: Leatherback Sea Turtle”. Caribbean Conservation Corporation. 2007년 9월 6일에 확인함.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출판사=|publisher= (도움말)
  2. Fontanes, F. “ADW: Dermochelys coriacea: Information”. 《Animal Diversity Web》.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2007년 9월 17일에 확인함. 
  3. “WWF - Leatherback turtle”. 《Marine Turtles》. World Wide Fund for Nature (WWF). 2007년 9월 9일에 확인함. 
  4. “The Leatherback Turtle (Dermochelys coriacea)”. turtles.org. 2007년 9월 15일에 확인함. 
  5. Shweky, Rachel. “Speed of a Turtle or Tortoise”. 《The Physics Factbook》. 2007년 9월 13일에 확인함. 
  6. 《Guinness Book of Records 1992》. New York: Guinness. 
  7. Willgohs, J. F. “Occurrence of the Leathery Turtle in the Northern North Sea and off Western Norway” (PDF). 《Nature》 179: 163-164. doi:10.1038/179163a0. 2007년 9월 7일에 확인함. 
  8. “WWF - Leatherback turtle - Population & Distribution”. 《Marine Turtles》. World Wide Fund for Nature. 2007년 9월 13일에 확인함. 
  9. Dutton, Peter. “Building our Knowledge of the Leatherback Stock Structure”. 《The State of the World's Sea Turtles report》 1: 10-11.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저자=|last= (도움말)
  10. Stéphane Caut, Elodie Guirlet, Elena Angulo, Krishna Das & Marc Girondot. “Isotope Analysis Reveals Foraging Area Dichotomy for Atlantic Leatherback Turtles”. 《PLoS One》. 2008년 3월 26일에 확인함. 
  11. “Marine Turtles”. 《Mayumba National Park: Protecting Gabon's Wild Coast》. Mayumba National Park. 2007년 9월 13일에 확인함. 
  12. Girondot, Marc. “Leatherback Turtles, Dermochelys coriacea, Nesting in French Guiana, 1978-1995”. 《Chelonian Conservation Biology》 2: 204-208. 2007년 9월 14일에 확인함.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저자=|last= (도움말)
  13. “Sea Turtles of Parismina”. 《Village of Parismina, Costa Rica - Turtle Project》. Parismina Social Club. 2007년 9월 13일에 확인함. 
  14. Profita, Cassandra. “Saving the 'dinosaurs of the sea'. 《Headline News》 (영어) (The Daily Astorian). 2007년 9월 7일에 확인함. 
  15.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NSLTWG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