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꼬임 없는 가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12번째 줄:


환 <math>R</math>의 [[왼쪽 가군]] <math>_RM</math>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왼쪽 가군을 '''꼬임 없는 왼쪽 가군'''({{llang|en|torsion-free left module}})이라고 한다.
환 <math>R</math>의 [[왼쪽 가군]] <math>_RM</math>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왼쪽 가군을 '''꼬임 없는 왼쪽 가군'''({{llang|en|torsion-free left module}})이라고 한다.
* 임의의 <math>r\in R</math> 및 <math>m\in M</math>에 대하여, <math>m\not\in\operatorname{Ann}(r_R)M</math>이라면, <math>rm\ne0</math>이다.<ref name="Hattori"/>{{rp|§1}}
* 임의의 <math>r\in R</math> 및 <math>m\in M</math>에 대하여, <math>m\not\in\operatorname{Ann}(r_R)M</math>이라면, <math>rm\ne0</math>이다.<ref name="Hattori"/>{{rp|§1}}<ref name="Tuganbaev"/>{{rp|83, §2.8}}
* 임의의 <math>r\in R</math>에 대하여, <math>\operatorname{Tor}^R_1(R/rR,M)=0</math>이다.<ref name="Hattori"/>{{rp|Proposition 1}}
* 임의의 <math>r\in R</math>에 대하여, <math>\operatorname{Tor}^R_1(R/rR,M)=0</math>이다.<ref name="Hattori"/>{{rp|Proposition 1}}
* 임의의 <math>r\in R</math>에 대하여, 자연스러운 [[군 준동형]] <math>rR\otimes_RM\to rM</math>은 [[아벨 군]]의 [[동형]]이다.<ref name="Tuganbaev">{{서적 인용 | 제목=Rings close to regular | 이름=Askar | 성=Tuganbaev | doi=10.1007/978-94-015-9878-1 | isbn=978-90-481-6116-4 | 총서=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 | 권=545 | 출판사=Springer-Verlag | 언어=en}}</ref>{{rp|83, Proposition 2.8.4}}
여기서
여기서
:<math>\operatorname{Ann}(_Rr)=\{s\in R\colon sr=0\}</math>
:<math>\operatorname{Ann}(_Rr)=\{s\in R\colon sr=0\}</math>
24번째 줄: 25번째 줄:
모든 왼쪽 [[단사 가군]]은 항상 왼쪽 나눗셈 가군이다. 반대로, 만약 모든 [[왼쪽 아이디얼]]이 [[주 왼쪽 아이디얼]]이라면, 모든 왼쪽 나눗셈 가군은 왼쪽 단사 가군이다.<ref name="Hattori"/>{{rp|Proposition 2}}<ref name="Lam"/>{{rp|Corollary 3.17′}} 이는 왼쪽 가군 <math>M</math>이 [[단사 가군]]일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왼쪽 아이디얼]] <math>_R\mathfrak A</math>에 대하여 <math>\operatorname{Ext}_R^1(R/\mathfrak A,M)=0</math>인 것이기 때문이다.<ref>{{서적 인용|성=Weibel|이름= Charles A.|날짜=1994|제목=An introduction to homological algebra|url=http://www.math.rutgers.edu/~weibel/Hbook-corrections.html|총서=Cambridge Studies in Advanced Mathematics |권=38|출판사=Cambridge University Press|isbn=978-0-52143500-0|oclc=36131259|mr=1269324|zbl=0797.18001|doi=10.1017/CBO9781139644136|언어=en}}</ref>{{rp|Lemma 4.1.11}}
모든 왼쪽 [[단사 가군]]은 항상 왼쪽 나눗셈 가군이다. 반대로, 만약 모든 [[왼쪽 아이디얼]]이 [[주 왼쪽 아이디얼]]이라면, 모든 왼쪽 나눗셈 가군은 왼쪽 단사 가군이다.<ref name="Hattori"/>{{rp|Proposition 2}}<ref name="Lam"/>{{rp|Corollary 3.17′}} 이는 왼쪽 가군 <math>M</math>이 [[단사 가군]]일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왼쪽 아이디얼]] <math>_R\mathfrak A</math>에 대하여 <math>\operatorname{Ext}_R^1(R/\mathfrak A,M)=0</math>인 것이기 때문이다.<ref>{{서적 인용|성=Weibel|이름= Charles A.|날짜=1994|제목=An introduction to homological algebra|url=http://www.math.rutgers.edu/~weibel/Hbook-corrections.html|총서=Cambridge Studies in Advanced Mathematics |권=38|출판사=Cambridge University Press|isbn=978-0-52143500-0|oclc=36131259|mr=1269324|zbl=0797.18001|doi=10.1017/CBO9781139644136|언어=en}}</ref>{{rp|Lemma 4.1.11}}


=== 평탄 가군과의 관계 ===
모든 왼쪽 [[평탄 가군]] <math>_RM</math>은 항상 꼬임 없는 가군이다. 반대로, 만약 모든 유한 생성 [[오른쪽 아이디얼]]이 [[주 오른쪽 아이디얼]]이라면 (예를 들어, [[베주 정역]]의 경우), 모든 왼쪽 꼬임 없는 가군은 왼쪽 평탄 가군이다.<ref name="Hattori"/>{{rp|Proposition 2}}<ref name="Lam"/>{{rp|128, Proposition 4.20}} 이는 왼쪽 가군 <math>M</math>이 [[평탄 가군]]일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유한 생성 [[오른쪽 아이디얼]] <math>\mathfrak A_R</math>에 대하여 <math>\operatorname{Tor}_R^1(R/\mathfrak A,M)=0</math>인 것이기 때문이다.
모든 왼쪽 [[평탄 가군]] <math>_RM</math>은 항상 꼬임 없는 가군이다. 반대로, 만약 모든 유한 생성 [[오른쪽 아이디얼]]이 [[주 오른쪽 아이디얼]]이라면 (예를 들어, [[베주 정역]]의 경우), 모든 왼쪽 꼬임 없는 가군은 왼쪽 평탄 가군이다.<ref name="Hattori"/>{{rp|Proposition 2}}<ref name="Lam"/>{{rp|128, Proposition 4.20}} 이는 왼쪽 가군 <math>M</math>이 [[평탄 가군]]일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유한 생성 [[오른쪽 아이디얼]] <math>\mathfrak A_R</math>에 대하여 <math>\operatorname{Tor}_R^1(R/\mathfrak A,M)=0</math>인 것이기 때문이다.

꼬임 없는 왼쪽 가군 <math>_RM</math>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ref name="Tuganbaev"/>{{rp|84, Proposition 2.8.5}}
* [[평탄 왼쪽 가군]]이다.
* 임의의 [[오른쪽 아이디얼]] <math>\mathfrak A_R,\mathfrak B_R\subseteq R</math>에 대하여, <math>\mathfrak AM\cap\mathfrak BM=(\mathfrak A\cap\mathfrak B)M</math>이다.
* 임의의 [[유한 생성 가군|유한 생성]] [[오른쪽 아이디얼]] <math>\mathfrak A_R,\mathfrak B_R\subseteq R</math>에 대하여, <math>\mathfrak AM\cap\mathfrak BM=(\mathfrak A\cap\mathfrak B)M</math>이다.
여기서
:<math>\mathfrak AM=\{a_1m_1+a_2m_2+\cdots+a_km_k\colon k\in\mathbb N,\;\vec a\in\mathfrak A^k,\;\vec m\in M^k\}</math>
이다.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2016년 6월 1일 (수) 09:58 판

환론에서, 꼬임 없는 가군(영어: torsion-free module)은 에 대하여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가군 이다. 마찬가지로, 나눗셈 가군(영어: divisible module)은 에 대하여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이 (유일하지 않을 수 있게) 존재하는 가군 이다. 꼬임 없는 가군의 개념과 나눗셈 가군의 개념은 서로 쌍대 개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환 및 왼쪽 가군 에서,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당연히 이다. 따라서, 임의의 에 대하여 일 필요 조건은 인 것이다. 이 필요 조건들이 충분한 경우, 꼬임 없는 가군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환 및 왼쪽 가군 에서, 임의의 에 대하여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므로, 임의의 에 대하여 이 존재할 필요 조건은 인 것이다. 이 필요 조건들이 충분한 경우, 나눗셈 가군이라고 한다.

정의

왼쪽 가군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왼쪽 가군을 나눗셈 왼쪽 가군(영어: divisible left module)이라고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라면, 이다.[1]:§1[2]:70, Definition 3.16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1]:Proposition 1′

왼쪽 가군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왼쪽 가군을 꼬임 없는 왼쪽 가군(영어: torsion-free left module)이라고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라면, 이다.[1]:§1[3]:83, §2.8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1]:Proposition 1
  • 임의의 에 대하여, 자연스러운 군 준동형 아벨 군동형이다.[3]:83, Proposition 2.8.4

여기서

는 각각 의 왼쪽·오른쪽 소멸자이며,

이며, Tor는 Tor 함자이며, Ext는 Ext 함자이다.

성질

모든 왼쪽 단사 가군은 항상 왼쪽 나눗셈 가군이다. 반대로, 만약 모든 왼쪽 아이디얼주 왼쪽 아이디얼이라면, 모든 왼쪽 나눗셈 가군은 왼쪽 단사 가군이다.[1]:Proposition 2[2]:Corollary 3.17′ 이는 왼쪽 가군 단사 가군일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왼쪽 아이디얼 에 대하여 인 것이기 때문이다.[4]:Lemma 4.1.11

평탄 가군과의 관계

모든 왼쪽 평탄 가군 은 항상 꼬임 없는 가군이다. 반대로, 만약 모든 유한 생성 오른쪽 아이디얼주 오른쪽 아이디얼이라면 (예를 들어, 베주 정역의 경우), 모든 왼쪽 꼬임 없는 가군은 왼쪽 평탄 가군이다.[1]:Proposition 2[2]:128, Proposition 4.20 이는 왼쪽 가군 평탄 가군일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유한 생성 오른쪽 아이디얼 에 대하여 인 것이기 때문이다.

꼬임 없는 왼쪽 가군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3]:84, Proposition 2.8.5

  • 평탄 왼쪽 가군이다.
  • 임의의 오른쪽 아이디얼 에 대하여, 이다.
  • 임의의 유한 생성 오른쪽 아이디얼 에 대하여, 이다.

여기서

이다.

참고 문헌

  1. Hattori, Akira (1960). “A foundation of torsion theory for modules over general rings”. 《Nagoya Mathematical Journal》 (영어) 17: 147–158. ISSN 0027-7630. MR 0137745. Zbl 0117.02202. 
  2. Lam, Tsit-Yuen (1999). 《Lectures on modules and ring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89. Springer. doi:10.1007/978-1-4612-0525-8. ISBN 978-0-387-98428-5. MR 1653294. 
  3. Tuganbaev, Askar. 《Rings close to regular》. 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 (영어) 545. Springer-Verlag. doi:10.1007/978-94-015-9878-1. ISBN 978-90-481-6116-4. 
  4. Weibel, Charles A. (1994). 《An introduction to homological algebra》. Cambridge Studies in Advanced Mathematics (영어) 38.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CBO9781139644136. ISBN 978-0-52143500-0. MR 1269324. OCLC 36131259. Zbl 0797.18001.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