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키케라톱스: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분류, 계통발생 번역
39번째 줄: 39번째 줄:


2012년에 말론은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안키케라톱스의 화석이 수집되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여기에는 거의 완전한 어린 개체의 두개골인 TMP 1983.001.0001, 거의 완전한 두개골 UW 2419, 주둥이가 없는 두개골 ROM 802, 주둥이를 제되한 두개골의 위쪽 부분 FMNH P15003, 외쪽 프릴인 CMN 11838, 프릴 조각인 CMN 12-1915, 프릴의 뒤쪽 가장자리인 UALVP 1618 등이 포함된다.<ref name="Mallon2012">{{cite journal | 꺾쇠표없음=예|last1 = Mallon | first1 = Jordan C. | last2 = Holmes | first2 = Robert | last3 = Eberth | first3 = David A. | last4 = Ryan | first4 = Michael J. | last5 = Anderson | first5 = Jason S. | year = 2012 | title = Variation in the skull of ''Anchiceratops'' (Dinosauria, Ceratopsidae) from the Horseshoe Canyon Formation (Upper Cretaceous) of Alberta | url = | journal =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 volume = 31 | issue = 5| pages = 1047–1071 | doi=10.1080/02724634.2011.601484}}</ref> 안키케라톱스 속에 대한 해묵은 논쟁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 많은 화석들을 이용해 통계 분석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2012년에 말론은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안키케라톱스의 화석이 수집되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여기에는 거의 완전한 어린 개체의 두개골인 TMP 1983.001.0001, 거의 완전한 두개골 UW 2419, 주둥이가 없는 두개골 ROM 802, 주둥이를 제되한 두개골의 위쪽 부분 FMNH P15003, 외쪽 프릴인 CMN 11838, 프릴 조각인 CMN 12-1915, 프릴의 뒤쪽 가장자리인 UALVP 1618 등이 포함된다.<ref name="Mallon2012">{{cite journal | 꺾쇠표없음=예|last1 = Mallon | first1 = Jordan C. | last2 = Holmes | first2 = Robert | last3 = Eberth | first3 = David A. | last4 = Ryan | first4 = Michael J. | last5 = Anderson | first5 = Jason S. | year = 2012 | title = Variation in the skull of ''Anchiceratops'' (Dinosauria, Ceratopsidae) from the Horseshoe Canyon Formation (Upper Cretaceous) of Alberta | url = | journal =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 volume = 31 | issue = 5| pages = 1047–1071 | doi=10.1080/02724634.2011.601484}}</ref> 안키케라톱스 속에 대한 해묵은 논쟁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 많은 화석들을 이용해 통계 분석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분류 ==
[[File:Anchiceratops dinosaur.png|thumb|left|복원도]]
다른 케라톱스과 공룡과 마찬가지로 ''A. ornatus'' 는 [[사족보행]]을 하는 [[초식동물]]로 얼굴에 세 개의 뿔과 앵무새같은 부리, 그리고 머리 뒤쪽으로 길게 뻗어 있는 프릴이 있었다. 다른 카스모사우루스아과 공룡들과 마찬가지로 눈 위의 뿔 두 개가 코뿔보다 길었다.

안키케라톱스는 중간 크기의 케라톱스과 공룡이었다. NMC 8547 표본을 제외한다면 안키케라톱스의 정확한 몸길이를 추정할 수 없다. 일부 대중과학서들은 안키케라톱스의 몸길이가 6m 에 달했을 것이라고 쓰고 있다.<ref name="ageofdinosaursanchiceratops">"Anchiceratops." In: Dodson, Peter & Britt, Brooks & Carpenter, Kenneth & Forster, Catherine A. & Gillette, David D. & Norell, Mark A. & Olshevsky, George & Parrish, J. Michael & Weishampel, David B. ''The Age of Dinosaurs''. Publications International, LTD. p. 124. ISBN 0-7853-0443-6.</ref> In 2010 [[Gregory S. Paul]], on the assumption that specimen NMC 8547 represented ''Anchiceratops'', estimated its length at 4.3 metres, its weight at 1.2 tonnes.<ref>Paul, G.S., 2010,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68</ref>
[[File:Anchiceratops ornatus, Near Drumheller, Alberta, Canada, Late Cretaceous - Royal Ontario Museum - DSC00082.JPG|thumb|ROM 802 왕립 온타리오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두개골]]
안키케라톱스의 프릴은 매우 특징적이다. 전체적으로 네모난 프릴의 가장자리에는 큼직한 뒤통수뼈뒷돌기 (epoccipitals), 즉 삼각형 [[골편]] 이 튀어나와 있는데, 유난히 넓고 굵직하다.<ref name="Dodson1996"/> 이 돌기들 중 일부는 프릴의 옆쪽을 이루는 비늘뼈에 있어 비늘뼈뒷돌기가 되는데 그 수는 다섯에서 아홉 개로 가변적이다. 비늘뼈뒷돌기 중 마지막 돌기는 상당히 커서 프릴의 뒤쪽 가장자리, 한 쪽에 세 개씩 있는 골편인 마루뼈뒷돌기들의 크기를 합친 것에 가깝다. 또 하나 특징적인 것은 프릴 중심선 양쪽, 프릴의 끝부분에 위치한 한 쌍의 뭉툭한 돌기다. 이 돌기들은 옆쪽을 향하고 있으며 모양과 크기는 개체별로 차이가 매우 크다. [[마루뼈]]는 프릴의 중심선과 뒤쪽 가장자리를 구성하며 [[펜타케라톱스]]나 [[토로사우루스]]보다는 작은 "마루뼈 구멍"이 나있다.<ref name="ageofdinosaursanchiceratops"/> 프릴에는 위쪽과 아래쪽에 모두 핏줄이 지나가는 자리가 깊게 파여 있다.<ref name="Brown1914"/>

NMC 8547 표본은 안키케라톱스의 몸통에 대한 전통적인 기재가 이루어진 표본인데, 카스모사우루스아과만 가지고 있는 특징들을 많이 보여준다. 척추는 74 개의 척추뼈로 구성되어 있다. 목뼈가 열 개, 등뼈 13 개, 천골 12 개, 꼬리뼈 39 개다. 전형적인 카스모사우루스아과 공룡은 12 개의 등뼈, 10 개의 천골, 그리고 최고 46 개의 꼬리뼈를 가진다. 말론은 하나로 합쳐진 여러 개의 천골인 신새크럼(synsacrum) 이 뒤쪽으로 이동했다고 보았다. NMC 8547 의 목은 유독 길어서 앞쪽 목뼈가 합쳐져 네 개의 신서비칼(syncervical)을 가지고 있다. 골반도 매우 길다. 꼬리는 짧다. 앞다리는 매우 견고했으며 위팔뼈의 세모가슴근융기(deltopectoral crest) 가 큰 것을 보면 근육이 두텁게 붙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ref name="Mallon2010"/>

== 계통발생 ==
{|style="margin-left: 1em;; margin-bottom: 0.5em; width: 550px; border: #99B3FF solid 1px; background-color: #FFFFFF; color: #000000; float: right; "
|{{분지군| style=font-size:75%;line-height:90%;
|분류1=[[케라톱스과]]
|1={{분지군
|1=[[켄트로사우루스아과]]
|분류2=[[카스모사우루스아과]]
|2={{분지군
|1=[[카스모사우루스]]
|2={{분지군
|1=[[모조케라톱스]]
|2={{분지군
|1=[[아구자케라톱스]]
|2={{분지군
|1={{분지군
|1=[[우타케라톱스]]
|2=[[펜타케라톱스]] }}
|2={{분지군
|1=[[코아후일라케라톱스]]
|2={{분지군
|1={{분지군
|1=[[코스모케라톱스]]
|2=[[바가케라톱스]] }}
|2={{분지군
|1=안키케라톱스
|2={{분지군
|1=[[아리노케라톱스]]
|분류2=[[트리케라톱스족]]
|2={{분지군
|1=[[오조케라톱스]]
|2=[[에오트리케라톱스]]
|3={{분지군
|1=[[토로사우루스]]
|2={{분지군
|1=[[네도케라톱스]]
|2=[[트리케라톱스]] }} }} }} }} }} }} }} }} }} }} }} }} }}
<center><small>샘슨 외 2010 의 연구를 따른 케라톱스과 각룡의 [[분지도]].<ref name=sampson2010>{{cite journal|꺾쇠표없음=예|authors=Scott D. Sampson, Mark A. Loewen, Andrew A. Farke, Eric M. Roberts, Catherine A. Forster, Joshua A. Smith, and Alan A. Titus|title=New Horned Dinosaurs from Utah Provide Evidence for Intracontinental Dinosaur Endimism|journal=PLoS ONE|year=2010|series=5|issue=9|doi=10.1371/journal.pone.0012292|url=http://www.plosone.org/article/info%3Adoi%2F10.1371%2Fjournal.pone.0012292|pmid=20877459|pmc=2929175|volume=5|pages=e12292}}</ref></small></center>
|}


== 각주 ==
== 각주 ==

2015년 4월 21일 (화) 16:07 판

안키케라톱스
화석 범위:
백악기 후기 72–71백만년 전
TMP 1983.001.0001 두개골의 캐스트. 지질학 박물관 (코펜하겐)
TMP 1983.001.0001 두개골의 캐스트. 지질학 박물관 (코펜하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파충강
아강: 이궁아강
하강: 지배파충하강
상목: 공룡상목
목: 조반목
(미분류): 신조반류
아목: 각각아목
하목: 각룡하목
과: 케라톱스과
아과: 카스모사우루스아과
속: 안키케라톱스
모식종
안키케라톱스 오르나투스 (Anchiceratops ornatus)
Brown, 1914

안키케라톱스(Anchiceratops)는 백악기 후기, 약 7200만년에서 7100만년 전에 현재의 캐나다 알버타 주에 살던 케라톱스과 카스모사우루스아과 공룡의 멸종한 한 속이다. 안키케라톱스는 중간 정도 크기로 탄탄한 몸집을 가지고 있었으며 땅에서 살던 사족보행을 하던 초식동물로 몸길이는 최고 5m 정도까지 자랐을 것으로 보인다. 두개골에는 눈 위쪽에 두 개의 긴 뿔이 있었고 코에도 짧은 뿔이 하나 있었다. 두개골의 프릴은 길고 네모난 모양으로 가장자리는 큰 삼각형 돌기로 장식되어 있었다. 10 개 이상의 두개골이 발견되었다.

어원

속명인 안키케라톱스는 "가까운 뿔 달린 얼굴" 이라는 의미로 고대 그리스어로 "가깝다"는 의미인 "안키" (anchi, αγχι-) 와 "뿔"이라는 의미의 "케라스" (keras, κερας), 그리고 "얼굴" 이라는 의미의 "옵스" (ops, ωψ) 를 조합한 것이다.[1] 안키케라톱스는 미국 고생물학자인 바넘 브라운이 1914 년에 보고 및 명명하였으며 브라운은 이것이 모노클로니우스트리케라톱스 와 가까운 관계로 그 둘의 전이형태라고 보았으나 두개골 프릴의 발달은 트리케라톱스와 더 가깝다고 생각해서 속명을 "케라톱스와 가깝다"고 지은 것이다. 안키케라톱스 오르나투스가 모식종이자 유일한 종으로 프릴 가장자리에 장식이 있는 것에서 유래한 종명이다.[2]

발견과 종

모식표본 AMNH 5251

안키케라톱스의 최초 표본은 캐나다 앨버타의 레드디어 강변에서 1912 년 바넘 브라운이 이끈 탐험대에 의해 발견되었다.[3] 완모식표본AMNH 5251 은 긴 프릴을 포함한 두개골의 뒤쪽 절반이며,[3] 그 외에 두 개의 두개골 일부가 같이 발견되어 AMNH 5259(부모식표본)과 AMNH 5273이 되었다. 이들 표본은 모두 뉴욕시미국 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찰스 M. 스턴버그가 모린에서 1924 년에 발견한 완전한 두개골은 NMC 8535 가 되었고 5년 후인 1929년에 A. longirostris 로 보고되었으나,[3][4] 지금은 보통 A. ornatus 의 동물이명으로 간주되고 있다.[5] 전체적으로는 최소한 열 개 이상의 불완전한 두개골이 발견되었다. 이 두개골들은 각각의 비율이 달라서 (눈 위의 뿔심이라든가, 프릴의 크기 등) 연구자들은 이런 모양의 차이가 종간의 차이이거나 성적이형성의 결과라고 결론내리고 있다.[6]

NMC 8547 (혹은 CMN 8547) 은 1925 년에 스턴버그가 발견했는데 두개골은 없지만 그 외의 부분은 어떤 각룡류보다 가장 완전한 골격을 가지고 있어 마지막 미추에 이르기까지 척추뼈 전체가 보존되어 있다. 스턴버그의 이 표본은 현재 오타와에 위치한 캐나다 자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NMC 8547 은 잘 보존된 몸통의 오른쪽 절반을 보여주며 NMC 8535 두개골의 캐스트를 더해 전시되어 있다. 그 후 앨버타의 뼈층에서 발견된 한두 개의 표본을 포함하여 안키케라톱스의 추가 표본들이 발견되었는데 기재까지 이루어진 것은 거의 없다.[5]

캐나다 자연박물관에 전시된 NMC 8547. 두개골은 NMC 8535 의 캐스트. NMC 8547 은 다른 분류군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

대부분의 안키케라톱스 화석은 앨버타 주의 백악기 후기 샹파뉴절 후기에 해당하는 호스슈캐년 층에서 발견되었다 (안키케라톱스 화석은 이 층의 더 아래부분에서도 발견되었으며 7250만년에서 7100만년 전의 연대를 가진다).[7] 마스트리히트절 초기의 미국 와이오밍 주 아몬드 층에서 발견된 프릴 조각이 안키케라톱스와 유사하다.[8] 그보다 더 오래전인 올드맨 층과 공룡공원 층 (샹파뉴절 후기, 7650-7500만년 전) 두 장소에서 발견된 갈색 뿔조각 (NMC 9590 과 10645 표본) 과 프릴 조각 (표본 NMC 9813, 9814 그리고 9829)[9] 은 안키케라톱스 프릴의 특징적인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들 화석은 초기 A. ornatus 의 화석이거나, 아니면 이와 연관된 두번째 종일 수도 있다.[10] 앨버타 남서부 스캐비 버트 지역 세인트메리강 층의 육성퇴적층에서도 안키케라톱스 화석이 발견되었지만 어떤 종인지까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11]

2012년에 말론은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안키케라톱스의 화석이 수집되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여기에는 거의 완전한 어린 개체의 두개골인 TMP 1983.001.0001, 거의 완전한 두개골 UW 2419, 주둥이가 없는 두개골 ROM 802, 주둥이를 제되한 두개골의 위쪽 부분 FMNH P15003, 외쪽 프릴인 CMN 11838, 프릴 조각인 CMN 12-1915, 프릴의 뒤쪽 가장자리인 UALVP 1618 등이 포함된다.[6] 안키케라톱스 속에 대한 해묵은 논쟁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 많은 화석들을 이용해 통계 분석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분류

복원도

다른 케라톱스과 공룡과 마찬가지로 A. ornatus사족보행을 하는 초식동물로 얼굴에 세 개의 뿔과 앵무새같은 부리, 그리고 머리 뒤쪽으로 길게 뻗어 있는 프릴이 있었다. 다른 카스모사우루스아과 공룡들과 마찬가지로 눈 위의 뿔 두 개가 코뿔보다 길었다.

안키케라톱스는 중간 크기의 케라톱스과 공룡이었다. NMC 8547 표본을 제외한다면 안키케라톱스의 정확한 몸길이를 추정할 수 없다. 일부 대중과학서들은 안키케라톱스의 몸길이가 6m 에 달했을 것이라고 쓰고 있다.[3] In 2010 Gregory S. Paul, on the assumption that specimen NMC 8547 represented Anchiceratops, estimated its length at 4.3 metres, its weight at 1.2 tonnes.[12]

ROM 802 왕립 온타리오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두개골

안키케라톱스의 프릴은 매우 특징적이다. 전체적으로 네모난 프릴의 가장자리에는 큼직한 뒤통수뼈뒷돌기 (epoccipitals), 즉 삼각형 골편 이 튀어나와 있는데, 유난히 넓고 굵직하다.[5] 이 돌기들 중 일부는 프릴의 옆쪽을 이루는 비늘뼈에 있어 비늘뼈뒷돌기가 되는데 그 수는 다섯에서 아홉 개로 가변적이다. 비늘뼈뒷돌기 중 마지막 돌기는 상당히 커서 프릴의 뒤쪽 가장자리, 한 쪽에 세 개씩 있는 골편인 마루뼈뒷돌기들의 크기를 합친 것에 가깝다. 또 하나 특징적인 것은 프릴 중심선 양쪽, 프릴의 끝부분에 위치한 한 쌍의 뭉툭한 돌기다. 이 돌기들은 옆쪽을 향하고 있으며 모양과 크기는 개체별로 차이가 매우 크다. 마루뼈는 프릴의 중심선과 뒤쪽 가장자리를 구성하며 펜타케라톱스토로사우루스보다는 작은 "마루뼈 구멍"이 나있다.[3] 프릴에는 위쪽과 아래쪽에 모두 핏줄이 지나가는 자리가 깊게 파여 있다.[2]

NMC 8547 표본은 안키케라톱스의 몸통에 대한 전통적인 기재가 이루어진 표본인데, 카스모사우루스아과만 가지고 있는 특징들을 많이 보여준다. 척추는 74 개의 척추뼈로 구성되어 있다. 목뼈가 열 개, 등뼈 13 개, 천골 12 개, 꼬리뼈 39 개다. 전형적인 카스모사우루스아과 공룡은 12 개의 등뼈, 10 개의 천골, 그리고 최고 46 개의 꼬리뼈를 가진다. 말론은 하나로 합쳐진 여러 개의 천골인 신새크럼(synsacrum) 이 뒤쪽으로 이동했다고 보았다. NMC 8547 의 목은 유독 길어서 앞쪽 목뼈가 합쳐져 네 개의 신서비칼(syncervical)을 가지고 있다. 골반도 매우 길다. 꼬리는 짧다. 앞다리는 매우 견고했으며 위팔뼈의 세모가슴근융기(deltopectoral crest) 가 큰 것을 보면 근육이 두텁게 붙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13]

계통발생

케라톱스과

켄트로사우루스아과

카스모사우루스아과

카스모사우루스

모조케라톱스

아구자케라톱스

우타케라톱스

펜타케라톱스

코아후일라케라톱스

코스모케라톱스

바가케라톱스

안키케라톱스

아리노케라톱스

트리케라톱스족

오조케라톱스

에오트리케라톱스

토로사우루스

네도케라톱스

트리케라톱스

샘슨 외 2010 의 연구를 따른 케라톱스과 각룡의 분지도.[14]

각주

  1. Liddell, Henry George and Robert Scott (1980). 《A Greek-English Lexicon (Abridged Edition)》. Unite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910207-4. 
  2. Brown, B (1914). “Anchiceratops, a new genus of horned dinosaurs from the Edmonton Cretaceous of Alberta. With a discussion of the origin of the ceratopsian crest and the brain casts of Anchiceratops and Trachodon".”.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33: 539–548. 
  3. "Anchiceratops." In: Dodson, Peter & Britt, Brooks & Carpenter, Kenneth & Forster, Catherine A. & Gillette, David D. & Norell, Mark A. & Olshevsky, George & Parrish, J. Michael & Weishampel, David B. The Age of Dinosaurs. Publications International, LTD. p. 124. ISBN 0-7853-0443-6.
  4. Sternberg, C.M. (1929). “A new species of horned dinosaur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Alberta”. 《National Museum of Canada Bulletin》 54: 34–37. 
  5. Dodson, P. 1996. The Horned Dinosaur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346 pp
  6. Mallon, Jordan C.; Holmes, Robert; Eberth, David A.; Ryan, Michael J.; Anderson, Jason S. (2012). “Variation in the skull of Anchiceratops (Dinosauria, Ceratopsidae) from the Horseshoe Canyon Formation (Upper Cretaceous) of Albert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1 (5): 1047–1071. doi:10.1080/02724634.2011.601484. 
  7. Arbour, V. M.; Burns, M. E.; Sissons, R. L. (2009). “A redescription of the ankylosaurid dinosaur Dyoplosaurus acutosquameus Parks, 1924 (Ornithischia: Ankylosauria) and a revision of the genu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9 (4): 1117–1135. doi:10.1671/039.029.0405. 
  8. Farke, A.A. (2004). “Ceratopsid dinosaurs from the Upper Cretaceous Almond Formation of southwestern Wyoming”. 《Rocky Mountain Geology》 39: 1–5. doi:10.2113/gsrocky.39.1.1. 
  9. Weishampel, D.B., Barrett, P.M., Coria, R.A., Le Loueff, J., Xu X., Zhao X., Sahni, A., Gomani, E.M.P., & Noto, C.N. 2004. Dinosaur distribution. In: Weishampel, D.B., Dodson, P., & Osmólska, H. (Eds.). The Dinosauria (2nd Edit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517-606.
  10. Langston, W.J. (1959). “Anchiceratops from the Oldman Formation of Alberta”. 《National Museum of Canada Natural History Papers》 3: 1–11. 
  11. Langston, W.; Jr (1975). “The ceratopsian dinosaurs and associated lower vertebrates from the St. Mary River Formation (Maestrichtian) at Scabby Butte, southern Alberta”.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12: 1576–1608. doi:10.1139/e75-142. 
  12. Paul, G.S., 2010,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68
  13.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Mallon2010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4. Scott D. Sampson, Mark A. Loewen, Andrew A. Farke, Eric M. Roberts, Catherine A. Forster, Joshua A. Smith, and Alan A. Titus (2010). “New Horned Dinosaurs from Utah Provide Evidence for Intracontinental Dinosaur Endimism”. 《PLoS ONE》. 5 5 (9): e12292. doi:10.1371/journal.pone.0012292. PMC 2929175. PMID 20877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