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Yjs5497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Yjs5497 (토론 | 기여)
48번째 줄: 48번째 줄:
== 치료 ==
== 치료 ==
정신분열병을 치료하는데는 약물치료와 함께 기본적인 생활기능이라든가 사회활동 훈련, 직업훈련과 가정생활의 기능 향상 등 정신사회적 재활치료를 실시하게 된다.
정신분열병을 치료하는데는 약물치료와 함께 기본적인 생활기능이라든가 사회활동 훈련, 직업훈련과 가정생활의 기능 향상 등 정신사회적 재활치료를 실시하게 된다.
===약물치료===
[[File:Risperdal tablets.jpg|thumb|left|upright|[[리스페리돈]]은 대표적 비정형적 항정신성 제제이다.]]

조현증에 처음 이용되는 것은 항정신성 제제로써,<ref name="fn_72">{{vcite web |url=http://www.nice.org.uk/nicemedia/pdf/CG82FullGuideline.pdf |format=PDF|title=Schizophrenia: Full national clinical guideline on core interventions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accessdate=2009-11-25 |author=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Mental Health |date=2009-03-25 |home=Gaskell and the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ref> 조현증의 양성 증상을 1~2주내에 줄일 수 있다.<ref name=AFP10/><ref name="pmid18291627">{{vcite journal |author=Tandon R, Keshavan MS, Nasrallah HA |title=Schizophrenia, "Just the Facts": what we know in 2008 part 1: overview |journal=[[Schizophrenia Research]] |volume=100 |issue=1–3 |pages=4–19 |year=2008 |month=March |pmid=18291627 |doi=10.1016/j.schres.2008.01.022 |url=http://download.journals.elsevierhealth.com/pdfs/journals/0920-9964/PIIS0920996408000716.pdf| formt=PDF}}</ref><ref name=Relapse2012>{{vcite journal |author=Leucht S, Tardy M, Komossa K, ''et al.'' |title=Antipsychotic drugs versus placebo for relapse prevention in schizophren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Lancet |volume=379 |issue=9831 |pages=2063–71 |year=2012 |month=June |pmid=22560607 |doi=10.1016/S0140-6736(12)60239-6 }}</ref><ref name=Harrow2013/> 그러나 항정신적 제제는 음성 증상 및 인지 장애를 현격히 호전시키기는 어렵다. 항정신성 제제는 재발위험을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처방된다. 2~3년간의 장기복용이 조현증의 치료에 이득이 된다는 증거는 드물다.<ref name=Harrow2013/>

어떤 항정신성 제제를 처방할 것인지는 그 약의 이득 및 위험성, 비용에 따라 결정된다.<ref name=Lancet09/> 어떤 세대의 약을 쓰고, 비정형적 약물/정형적 약물의 장단점은 논의의 대상이 된다.<ref>{{vcite journal |author=Kane JM, Correll CU |title=Pharmacologic treatment of schizophrenia |journal=Dialogues Clin Neurosci |volume=12 |issue=3 |pages=345–57 |year=2010 |pmid=20954430}}</ref><ref>{{vcite journal|last=Hartling|first=L|coauthors=Abou-Setta, AM; Dursun, S; Mousavi, SS; Pasichnyk, D; Newton, AS|title=Antipsychotics in Adults With Schizophrenia: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First-Generation Versus Second-Generation Medicatio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journal=Annals of Internal Medicine|date=2012 Aug 14|pmid=22893011|doi=10.7326/0003-4819-157-7-201210020-00525}}</ref> <ref name=AFP07>{{vcite journal |author=Schultz SH, North SW, Shields CG |title=Schizophrenia: a review |journal=Am Fam Physician |volume=75 |issue=12 |pages=1821–9 |year=2007 |month=June |pmid=17619525}}</ref> 치료에 잘 순응하는 비율이 40~50%, 부분적으로 순응하는 비율이 30~40%이며 치료에 저항하는 비율이 20%이다. [[클로자핀]]은 치료에 저항적인 환자에 효과적이지만, 이는 4% 미만 환자에서 [[백혈구 감소증]]이라는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ref name=Lancet09/><ref name=BMJ07/><ref>{{vcite journal |author=Essali A, Al-Haj Haasan N, Li C, Rathbone J |title=Clozapine versus typical neuroleptic medication for schizophrenia |journal=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volume= |issue=1 |pages=CD000059 |year=2009 |pmid=19160174 |doi=10.1002/14651858.CD000059.pub2 }}</ref><ref name=AFP10/>

비정형적 제제가 상당한 체중 증가, 당뇨 및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되어 있는 반면<ref name=AFP07/> 정형적 제제는 [[추체외로 증상]]을 야기할 확률이 높다.<ref name=WPA08>{{vcite journal |author=Tandon R, Belmaker RH, Gattaz WF, ''et al.'' |title=World Psychiatric Association Pharmacopsychiatry Section statement on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antipsychotics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journal=Schizophr. Res. |volume=100 |issue=1–3 |pages=20–38 |year=2008 |month=March |pmid=18243663 |doi=10.1016/j.schres.2007.11.033}}</ref> [[쿠에타핀]]이나 [[리스페리돈]]같은 몇몇 비정형적 제제는 정형적 제제인 페르페나진에 비해 높은 자살위험성을 띠는 약물이다. 클로자핀은 자살위험성이 가장 낮은 약물이다.<ref name=Mort09/> 새로 시판된 약물이 드물지만 심각한 신경학적 장애인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낮은지는 명확하지 않다.<ref name="Ananth_et_al_2004">{{vcite journal |author=Ananth J, Parameswaran S, Gunatilake S, Burgoyne K, Sidhom T |title=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and atypical antipsychotic drugs |journal=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volume=65 |issue=4 |pages=464–70 |year=2004 |month=April |pmid=15119907 |doi=10.4088/JCP.v65n0403}}</ref>

정기적으로 약을 복용할 수 없거나 꺼려하는 환자들을 위해 장기지속성 제제가 증상 관리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ref name=Depo06>{{vcite journal |author=McEvoy JP |title=Risks versus benefits of different types of long-acting injectable antipsychotics |journal=J Clin Psychiatry |volume=67 Suppl 5 |issue= |pages=15–8 |year=2006 |pmid=16822092}}</ref> 이러한 것들이 경구투여보다 재발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ref name=Relapse2012/> 사회심리적 중재와 결합된 약물투여가 장기적 순응도를 더 높여줄 수 있다. <ref name=Depo06/> [[미국 정신의학회]]는 증상이 1년 이상 발현되지 않은 환자들에게는 투여 중단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ref name=Harrow2013>{{cite journal|last=Harrow|first=M|coauthors=Jobe, TH|title=Does Long-Term Treatment of Schizophrenia With Antipsychotic Medications Facilitate Recovery?|journal=Schizophrenia bulletin|date=2013 Mar 19|pmid=23512950|volume=39|issue=5|pages=962–5|doi=10.1093/schbul/sbt034|pmc=3756791}}</ref>


== 함께 읽기 ==
== 함께 읽기 ==

2013년 12월 6일 (금) 23:53 판

정신분열병
진료과정신건강의학, 임상심리학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정신분열병(精神分裂病/統合失調症, 영어: Schizophrenia) 또는 조현증은 사고 체계와 감정 반응의 전반적인 장애로 인해 통합적인 정상 사고를 하지 못하는 일종의 만성 사고 장애이다. 일반적인 증상으로 외부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부조화된 환각, 망상, 환영, 환청 등을 경험하고 대인 관계에서 지나친 긴장감 혹은 타인의 시각에 대한 무관심, 기이한 행동을 보인다. 이로 인해 사회활동과 가족관계를 악화시키는 대표적인 정신질환이다. 이 질환은 조발성치매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었으나 치매와는 연관이 없음이 밝혀졌다. 정신분열병이 부정적 편견을 가져오기 때문에 정신건강의학회는 이 병을 조현증으로 개정하려 하고 있다. 주요 원인으로는 신경전달물질의 균형이상, 대뇌의 구조및 기능이상, 유전적 소인, 비이상적인 신경증식, 환경적·사회문화적인 요인 등으로 알려져있다. 참고로, 일본의 경우 정신분열증을 '통합실조증'으로 개명해 부르고 있다. 하지만 통합실조증은 영양실조에서처럼 '실조'라는 단어가 주는 또 다른 부정적 측면 때문에 환자 가족들의 반대가 큰 편이다.

증상

  • 양성증상(positive symptoms, distorted function) : 입원을 요하며 가족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 환각(hallucination):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환청이나 환각증상을 말한다. 환청, 환시 등이 있으며 이 환각 증상과 망상증상을 신내림(귀신들림)이나 성령체험 등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다.
    • 망상(delusion): 잘못된 생각이나 신념
    • 환영(illusion): 착각
    • 격앙(agitation), 긴장(tension)
    • 기이한 행동(bizarre behavior)
  • 음성증상(negative symptoms, diminished function) : 교우관계, 직장생활 등의 사회활동과 가족관계를 악화시키며 정신분열증으로 인한 사망과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증상이다.
    • 무논리증(alogia): 자발적인 언어의 제한
    • 무욕증(anhedonia): 이전에는 흥미를 느끼던 것을 더이상 느끼지 못하는 것.
    • 둔마된 정동(Flat Affect): 두드러진 감정의 드러남이 없는 상태.
    • 단정하지 못한 복장과 비위생적인 생활
    • 자극에 대한 행동유발 저하(avolition)
    • 분열 증상(disorganized symptoms)
  • 기타증상
    • 비논리적이며 체계적이지 못한 언어와 사고
    • 체계적이지 못한 행동
    • 집중력 저하

진단

DSM-IV-TR에 의한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으며, 3가지 이상의 기준이 일치해야 한다.:

  1. 특징적 증상: 한달 중 현재 혹은 이틀, 혹은 여러 날 동안 이 증상이 나타난다(혹은 더 적을 수도 있으며, 치료로 달라질 수 있다.)
    • 망상
    • 환각
    • 다른 정신질환 때문에 생기지 않은 어눌한 말투
    • 거치고 어눌한 행동 (예를 들어 부적당한 옷입기라든가, 종종 울부짖기 등) 혹은 긴장하는 행동
    • 부정적 증상: 둔감한 정서(감정적인 응답이 없거나 부족하다), 무언어증 혹은 무욕증(욕구가 없거나 부족하다)
    만약 기괴한 망상이 있거나, 환청이 환자의 행동이나 생각을 간섭하거나, 또는 둘 혹은 여러 개의 대화하는 목소리가 들릴 경우엔 한 가지 증상만 있어도 정신분열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2. 사회적/직업상 기능장애: 발병 이후 상당한 기간 동안 직업, 대인관계, 자기관리 같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생활영역에서 부진함을 보일 때
  3. 기간: 이런 동요가 6개월 이상 지속이 될 경우. 6개월이란 기간은 최소 증상이 일어난 1달(혹은 그보다 더 적을 수도 있으며, 치료로 달라질 수 있다)

만약 이런 동요가 1달 이상 6개월 미만으로 나타날때, 정신분열성 장애로 적용된다.[1]

진단을 하기 위하여 심리검사는 배터리 검사로 이뤄지며, 배터리 검사 중 구체적인 진단이 가능한 검사로는 객관적인 검사는 지능검사,MMPI 등이 있으며, 주관적 검사로는 로샤와 같은 투사 검사가 있다. 진단 기준은 지능검사는 초기경험(약 6세 전후의 경험)을 제외하고 언어성검사 점수가 동작성검사 점수가 더 높을 때 임상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보며, 다면적인성 평가(MMPI)에서는 편집증-경조증-정신증 이 세 가지가 70점 이상일 때 진단이 내려진다. 그 외 심리검사뿐만 아니라 EEG등의 여러 가지 의료적인 결과를 종합해서 2명 이상의 전공의사의 진단으로 결정이 된다.[2] 정신분열증의 예후는 불량하며 아직까지 특별한 치료법은 없다. 투약 중단 1년 후의 재발률은 70%이며 지속적으로 항 정신병약을 투여 할 때는 23%로 감소된다. 25-30년의 치료 추적기간 동안의 조사에 따르면 환자의 1/3만이 회복 또는 증상이 소실되었고 그 밖의 환자는 주증상이 지속되고 있거나 여전히 입원치료 하고 있다.

치료

정신분열병을 치료하는데는 약물치료와 함께 기본적인 생활기능이라든가 사회활동 훈련, 직업훈련과 가정생활의 기능 향상 등 정신사회적 재활치료를 실시하게 된다.

약물치료

리스페리돈은 대표적 비정형적 항정신성 제제이다.

조현증에 처음 이용되는 것은 항정신성 제제로써,[3] 조현증의 양성 증상을 1~2주내에 줄일 수 있다.[4][5][6][7] 그러나 항정신적 제제는 음성 증상 및 인지 장애를 현격히 호전시키기는 어렵다. 항정신성 제제는 재발위험을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처방된다. 2~3년간의 장기복용이 조현증의 치료에 이득이 된다는 증거는 드물다.[7]

어떤 항정신성 제제를 처방할 것인지는 그 약의 이득 및 위험성, 비용에 따라 결정된다.[8] 어떤 세대의 약을 쓰고, 비정형적 약물/정형적 약물의 장단점은 논의의 대상이 된다.[9][10] [11] 치료에 잘 순응하는 비율이 40~50%, 부분적으로 순응하는 비율이 30~40%이며 치료에 저항하는 비율이 20%이다. 클로자핀은 치료에 저항적인 환자에 효과적이지만, 이는 4% 미만 환자에서 백혈구 감소증이라는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8][12][13][4]

비정형적 제제가 상당한 체중 증가, 당뇨 및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되어 있는 반면[11] 정형적 제제는 추체외로 증상을 야기할 확률이 높다.[14] 쿠에타핀이나 리스페리돈같은 몇몇 비정형적 제제는 정형적 제제인 페르페나진에 비해 높은 자살위험성을 띠는 약물이다. 클로자핀은 자살위험성이 가장 낮은 약물이다.[15] 새로 시판된 약물이 드물지만 심각한 신경학적 장애인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낮은지는 명확하지 않다.[16]

정기적으로 약을 복용할 수 없거나 꺼려하는 환자들을 위해 장기지속성 제제가 증상 관리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17] 이러한 것들이 경구투여보다 재발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6] 사회심리적 중재와 결합된 약물투여가 장기적 순응도를 더 높여줄 수 있다. [17] 미국 정신의학회는 증상이 1년 이상 발현되지 않은 환자들에게는 투여 중단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7]

함께 읽기

참고문헌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Schizophrenia〉.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ISBN 0-89042-024-6. 2008년 7월 4일에 확인함. 
  2. 최정윤 (2010). 《심리검사의 이해》. Seoul: Sigma press, Inc. ISBN 9788958328612. 
  3.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Mental Health. Gaskell and the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Schizophrenia: Full national clinical guideline on core interventions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PDF]; 2009-03-25 [Retrieved 2009-11-25].
  4.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AFP10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5. Tandon R, Keshavan MS, Nasrallah HA. Schizophrenia, "Just the Facts": what we know in 2008 part 1: overview. Schizophrenia Research. 2008;100(1–3):4–19. doi:10.1016/j.schres.2008.01.022. PMID 18291627.
  6. Leucht S, Tardy M, Komossa K, et al.. Antipsychotic drugs versus placebo for relapse prevention in schizophren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Lancet. 2012;379(9831):2063–71. doi:10.1016/S0140-6736(12)60239-6. PMID 22560607.
  7. Harrow, M; Jobe, TH (2013 Mar 19). “Does Long-Term Treatment of Schizophrenia With Antipsychotic Medications Facilitate Recovery?”. 《Schizophrenia bulletin》 39 (5): 962–5. doi:10.1093/schbul/sbt034. PMC 3756791. PMID 23512950. 
  8.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Lancet09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9. Kane JM, Correll CU. Pharmacologic treatment of schizophrenia. Dialogues Clin Neurosci. 2010;12(3):345–57. PMID 20954430.
  10. Antipsychotics in Adults With Schizophrenia: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First-Generation Versus Second-Generation Medicatio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12 Aug 14. doi:10.7326/0003-4819-157-7-201210020-00525. PMID 22893011.
  11. Schultz SH, North SW, Shields CG. Schizophrenia: a review. Am Fam Physician. 2007;75(12):1821–9. PMID 17619525.
  12.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BMJ07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3. Essali A, Al-Haj Haasan N, Li C, Rathbone J. Clozapine versus typical neuroleptic medication for schizophrenia.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9;(1):CD000059. doi:10.1002/14651858.CD000059.pub2. PMID 19160174.
  14. Tandon R, Belmaker RH, Gattaz WF, et al.. World Psychiatric Association Pharmacopsychiatry Section statement on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antipsychotics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Schizophr. Res.. 2008;100(1–3):20–38. doi:10.1016/j.schres.2007.11.033. PMID 18243663.
  15.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Mort09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6. Ananth J, Parameswaran S, Gunatilake S, Burgoyne K, Sidhom T.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and atypical antipsychotic drugs.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04;65(4):464–70. doi:10.4088/JCP.v65n0403. PMID 15119907.
  17. McEvoy JP. Risks versus benefits of different types of long-acting injectable antipsychotics. J Clin Psychiatry. 2006;67 Suppl 5:15–8. PMID 16822092.
  • McCreadie R. Recent advances in the drug treatment of schizophrenia. Primary Care Psychiatry. 2000;6(1):9-14
  • Goren JL, Levin GM. Evaluations of New Drugs. Pharmacotherapy. 1998;18(6):1183-1194
  • Markowitz JS, Brown CS, Moore TR. Atypical Antipsychotics Part I: Pharmacology, Pharmakokinetics, and Efficacy. The Annals of Pharmacotherapy.1999;33:73-85
  • Herfindal ET. Gourley DR. Textbook of Therapeutics. Drug and Disease Management 7th ed. p1217-1226
  • Bennett, Plum, Gill, etc. Cecil Textbook of Medicine 20th ed. P1997-1999
  • Fauci, Braunwald, Isselbacher, etc.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4th ed. p2499-2501
  • Crimson ML, Dorson PG. Schizophrenia In: Dipiro JT et al. Pharmacotherapy: a pathophysiologic approach. 4th ed. New York: Elservier, 1999;1118-1139
  • Marken PA, Stanislav SW. Schizophrenia In: Koda-Kimble MA et al, Applied Therapeutics: The Clinical Use of Drugs. 6th ed. 75-1~75-25
  •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AphA Guide to Drug Treatment Protocols. *Schizophrenia. SCZ-1~7
  • Clinical Pharmacology Online 2001-1-26
  •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When Someone Has Schizophrenia. [NIH Publication No. 01-4599, 2001]
  • URL:http://www.mediscape.com/govmt/NIMH/2001/01.01/NIMH-Schizophrenia.html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틀:Link FA 틀:Link FA 틀:Link FA 틀:Link FA 틀:Link FA 틀:Link GA 틀:Link GA 틀:Link GA 틀:Link GA 틀:Link 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