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구균 백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폐렴구균 백신
백신 설명
대상 질병 폐렴
유형 ?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
ATC 코드 J07AL01 J07AL02 J07AL52
PubChem ?
ChemSpider none
처방 주의사항
임부투여안전성 ?
법적 상태
  • US: ℞-only
  • In general: ℞ (Prescription only)
투여 방법 ?

폐렴구균 백신(영어: Pneumococcal vaccines)은 폐렴구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이다.[1] 폐렴구균은 급성 중이염, 폐렴균혈증, 수막염 등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 중의 하나이며, 폐렴구균에 의한 침습성 감염은 영아 및 어린 소아와 65세 이상의 고령자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2] 세계보건기구(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WHO는 폐렴구균 백신을 다른 백신과 섞어서 접종할 것을 권장한다.[1] 후천면역결핍증후군환자도 접종하는 것을 권장한다.[1]

폐렴구균 백신의 종류[편집]

제작 방식에 따라 다당백신과 단백결합백신으로 분류된다.[3] 다당백신은 폐렴구균 세포벽의 주성 분인 다당을 항원으로 이용한 백신이다. 단백결합백신은 2세 이하의 소아가 다당의 항원에 대한 항체를 원활히 형성하지 못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단백질 운반체를 다당의 항원과 결합시켜 개발한 백신이다.[4]

  • 단백결합백신: 항체를 더 많이 형성하고, 항체역가가 더 오래 지속되며,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다.
  • 다당백신: 항체를 조금 적게 형성하고, 항체 역가가 덜 지속되며, 가격이 상대적으로 싸다.

국내에서는 10가 및 13가 단백결합 백 신과 23가 다당 백신이 사용되고 있다. 10가 단백결합 백신은 생후 6주부터 59개월 이하 영·유아에서 접종 이 가능하며, 13가 단백결합 백신은 생후 6주 이상부터 접종 가능하다. 23가 다당 백신은 2세 미만의 소아 에게는 권장되지 않는다.[4]

접종 대상[편집]

모든 영·유아와 65세 이상의 고령자, 폐렴구균 감염 위험이 높은 만 2세 이상 소아·청소년 및 성인에게 접종이 권장된다.[4]

접종 시기[편집]

단백결합 백신[2][편집]

  • 생후 2~59개월 소아: 생후 2, 4, 6개월에 3회 기초접종, 12~15개월에 1회 추가접종. 생후 7개월 이후 접종을 시작할 경우 시작연령 및 백신 종류에 따라 1~3회 접종. 10가와 13가 백신간의 교차접종은 권고하지 않음

다당 백신[2][편집]

  • 65세 이상 연령에서 1회 접종
  • 비장적출술, 인공와우 이식술, 항암치료나 면역억제요법 시작 전 최소 수술 2주 전에 접종 완료
  •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면역기능 저하 상태의 소아청소년(2세 이상)
  • 65세 이전에 첫 번째 다당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이 65세 이상 되었을 경우 첫 번째 다당 백신접종으로부터 5년이 경과한 후 1회에 한하여 재접종

부작용[편집]

때때로 주사 부위에 통증이 있으며 충혈되는 경우가 있다. 다른 부작용으로 열, 짜증, 졸음, 식욕 부진, 구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국소적 인 부작용의 발생 빈도는 단백결합 백신보다 다당 백신에서 더 높으며, 접종횟수가 늘어날수록 증가한다. 또 한, 단백결합 백신과 DTP 백신을 동시에 접종하였을 때 고열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DTP 백 신 접종에 기인된 것으로 여겨진다.[4]

각주[편집]

  1. “Pneumococcal vaccines WHO position paper--2012”. 《Releve Epidemiologique Hebdomadaire》 87 (14): 129–144. 2012년 4월 6일. ISSN 0049-8114. PMID 24340399. 
  2. “예방접종 도우미 > 예방접종길잡이 >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 폐렴구균”. 2023년 12월 6일에 확인함. 
  3. “중앙대학교병원 - 건강칼럼”. 2020년 4월 26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 약학정보원. “폐렴구균백신” (PDF). 《약물백과 - Drug encycl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