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득신 (시인):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 정보
{{공직자 정보
|이름= 김득신
|이름= 김득신
|원래 이름= 金得臣
|원래 이름= 金得臣
5번째 줄: 5번째 줄:
|사망일= [[1684년]] (향년 81세)
|사망일= [[1684년]] (향년 81세)
|거주지= [[조선]] [[한성부]]
|거주지= [[조선]] [[한성부]]
|직책= 前 조선국 가선대부<br/>(前 朝鮮國 嘉善大夫)
|경력 = 문관 겸 시문학가
|경력 = 문관 겸 시문학가
|임기 = [[1652년]] ~ [[1673년]]
|임기 = [[1652년]] ~ [[1673년]]
|정당 = [[무소속]]
|군주 = [[조선 효종|조선 효종 이호]] <br/> [[조선 현종|조선 현종 이연]]
|부모= 김치(부), 사천 목씨 부인(모)
|부모= 김치(부), 사천 목씨 부인(모)
|배우자 = 정부인 [[경주 김씨]]
|배우자 = 정부인 [[경주 김씨]]
|친인척 = 조부 [[김시민]](金時敏)
|친인척 = 조부 [[김시민]](金時敏)
|성별 = 남성
}}
}}
'''김득신(''' [[1604년]] [[12월 8일]]([[음력 10월 18일]])) ~ [[1684년]] [[10월 8일]]([[음력 8월 30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시인이다. 자는 자공(子公), 호는 백곡(栢谷)이며 본관은 [[안동 김씨|(구)안동]]이다. 조부는 [[임진왜란]] 당시 진주목사로 진주성 대첩을 이룬 [[김시민]](金時敏)이다. 아버지는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김치(金緻)이며, 어머니는 사천 목씨(泗川睦氏)이다.
'''김득신'''(金得臣, [[1604년]] [[12월 8일]]([[음력 10월 18일]])) ~ [[1684년]] [[10월 8일]]([[음력 8월 30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시인이다. 자는 자공(子公), 호는 백곡(栢谷)이며 본관은 [[안동 김씨|(구)안동]]이다. 조부는 [[임진왜란]] 당시 진주목사로 진주성 대첩을 이룬 [[김시민]](金時敏)이다. 아버지는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김치(金緻)이며, 어머니는 사천 목씨(泗川睦氏)이다.


== 생애 ==
== 생애 ==

2020년 2월 21일 (금) 20:34 판

김득신
金得臣
前 조선국 가선대부
(前 朝鮮國 嘉善大夫)
임기 1652년 ~ 1673년
군주 조선 효종 이호
조선 현종 이연

신상정보
출생일 1604년
거주지 조선 한성부
사망일 1684년 (향년 81세)
경력 문관 겸 시문학가
정당 무소속
부모 김치(부), 사천 목씨 부인(모)
배우자 정부인 경주 김씨
친인척 조부 김시민(金時敏)

김득신(金得臣, 1604년 12월 8일(음력 10월 18일)) ~ 1684년 10월 8일(음력 8월 30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시인이다. 자는 자공(子公), 호는 백곡(栢谷)이며 본관은 (구)안동이다. 조부는 임진왜란 당시 진주목사로 진주성 대첩을 이룬 김시민(金時敏)이다. 아버지는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김치(金緻)이며, 어머니는 사천 목씨(泗川睦氏)이다.

생애

어릴 때 천연두를 앓았으나 1642년 사마시에 합격해 진사가 되었고 이후 성균관에 합격했다.[1] 이후 가선대부에 올라 안풍군(安豊君)에 책봉되었으나 1689년 충청도 괴산 땅에서 지내던 중 재물을 노린 명화적(明火賊)떼에게 피살되었다. 김득신의 피살 소식을 접한 숙종은 “명화적이 사부(士夫)의 집에 들어가서 인명을 살해하여 2품 재신(宰臣)이 칼날에 상하여 죽었으니, 놀라고 참혹함을 금하지 못하겠다. 각진(各鎭)의 토포사(討捕使)로 하여금 시일을 한정하여 찾아 잡게 하라.”[2]고 명하였다.

그는 공부를 열심히 하였으나, 몇시간 전 공부한 것을 다 까먹는 등 공부한 것을 잘 기억하지 못하여 공부가 많이 힘들었다. 그러나 그의 아버지 김치는 김득신에게 공부를 멈추라는 유언을 남긴 후 세상을 떠나고 그는 밥을 먹을때도,보행할때도 계속 책을 놓지않으며 한 11만 3천여번이나 읽고 다른 책들은 2만여번 읽는 등 엄청난 노력으로 능숙해져 59세의 나이로 성균관에 합격했다.

김득신의 묘비문에는 이런 글이 적혀있다.

"재주가 남만 못하다 스스로 한계를 짓지 말라. 나보다 어리석고 둔한 이도 있겠지만,결국에는 이룸이 있었다."
 
— 김득신 묘비문 中

생전에 (詩)에 명망이 있었으며 저술이 병자호란 때 많이 타 없어졌으나, 문집인 《백곡집》에는 많은 글들이 전하고 있다. 그 중 시가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가 문보다는 시에 능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술과 부채를 의인화한 가전체 소설 환백장군전(歡伯將軍傳)과 청풍선생전(淸風先生傳)을 남겼음을 감안하면 문에도 부족함이 없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김득신은 두뇌가 그리 좋지 못하였지만 무던한 노력으로 어려움을 극복한 모범이 될만한 사람이다.

각주

  1. 《백곡집》, 〈부록〉, 묘갈명 및 행장초(行狀草)
  2. 숙종실록, 숙종 10년(1684) 9월 6일(기사) 3번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