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학문 연구: ㅇㅌㄹㄱㅊ
태그: 한글 자모가 포함된 편집 요약 m 모바일 웹
ㅇㅌㄹㄱㅊ
태그: 한글 자모가 포함된 편집 요약 분류 제거 m 모바일 웹
55번째 줄: 55번째 줄:
* [[민안부]]
* [[민안부]]
* [[심원부]]
* [[심원부]]

== 관련 항목 ==
{{Col-begin}}
{{Col-3}}
* [[성리학]]
* [[정호]]
* [[주자]]
* [[신진사대부]]
* [[권문세족]]
* [[성균관]]
* [[문묘]]
* [[안향]]
* [[백이정]]
* [[이제현]]
* [[이곡]]
* [[정몽주]]
* [[정도전]]
* [[이숭인]]
{{Col-3}}
* [[고려 3은]]
* [[두문동 72현]]
* [[남은]]
* [[남재]]
* [[염흥방]]
* [[염제신]]
* [[염정수]]
* [[임견미]]
* [[이성계]]
* [[이인임]]
* [[이의]]
* [[조민수]]
* [[조준]]
{{Col-3}}
* [[고려 5은]]
* [[길재]]
* [[심원부]]
* [[김숙자 (1389년)|김숙자]]
* [[김종직]]
* [[신돈]]
* [[최영]]
* [[하륜]]
* [[노숭]]
* [[하영무]]
* [[함부림]]
{{Col-end}}

{{고려 삼은}}
{{고려 오은}}
{{글로벌세계대백과|제목=고려 후기의 문화}}

[[분류:1328년 태어남]]
[[분류:1396년 죽음]]
[[분류:사상가]]
[[분류:고려의 문신]]
[[분류:한국의 섭정]]
[[분류:고려의 시인]]
[[분류:고려의 성리학자]]
[[분류:고려의 작가]]
[[분류:고려의 서예가]]
[[분류:과거 급제자]]
[[분류:한산 이씨]]
[[분류:영덕군 출신]]
[[분류:병사한 사람]]
[[분류:의문사한 사람]]
[[분류:조선 사람]]
[[분류:고려의 공신]]
[[분류:조선 태조]]
[[분류:14세기 한국 사람]]
[[분류:14세기 시인]]

2019년 9월 30일 (월) 23:58 판

학문 연구

어려서부터 총기가 뛰어났고 7세 때(1335, 충숙왕 복위4)부터 독서를 하기 시작했으며[1] 아버지인 이곡의 친구이자 안향, 백이정의 학문을 계승한 익제 이제현을 찾아가 정주학(程朱學)을 배웠다. 이제현백이정문인이자 권부의 사위로 28살 때 원나라에 가서 공부하고 돌아와 성리학을 이루었다.[2] 그의 학문은 이색으로 이어졌다. 정몽주, 정도전, 권근, 이숭인고려 말의 대표적 성리학자들은 대부분 이색의 문하에서 배출된 인물들이다.[2]

이제현의 문하생 중에 수제자로 이름났던 그는 14세(1341, 충혜왕 복위2)에 자신보다 열한 살이나 많은 성총(性聰, 1318년~미상)에게 시를 배운 적이 있으며[3], 같은 해에 성균시(成均試)에 합격했다.[4] 중서사전부(中瑞司典簿)로 원나라에서 일을 보던 아버지로 인해 원나라의 국자감 생원이 되었고, 3년간을 유학하다가 아버지의 상(喪)을 입자 귀국했다.[4]

귀국 직후 원나라에서 입수한 송나라정호주자의 학문과 예법에 대한 것을 강의했는데, 이때 정도전, 남은, 조준 등이 그의 제자가 되었다.

이색이 등장한 작품

가족 관계

  • 부인 : 미상
    • 아들 : 이종학
    • 아들 : 이종선
    • 며느리 : 권근의 딸
      • 손자 : 이계주
        • 증손 : 이개(1417-1456) = 사육신 중 1인
      • 손자 : 이계린 = 이백강과 정순공주의 사위
      • 손자 : 이계전
        • 증손 : 이우
          • 고손 : 이장윤
            • 현손(5대손) : 이치
              • 6대손 : 이지번(1508-1575) = 이치의 차남
                • 7대손 : 이산해(1539.7.20-1609.8.23)
              • 6대손 : 이지함(1517-1578) = 이치의 4남 = 토정비결의 저자
        • 증손 : 이파
        • 증손 : 이봉
      • 손자 : 이계원

평가

후에 서애(西厓) 류성룡삼국(魏)의 벼슬을 받지 않았던 후한(後漢) 조의 양표(楊彪)에 비겨서 그 절개를 특필하고 있다. 문하에 유창, 권근, 변계량(卞季良) 등을 배출하여 조선 성리학의 주류를 이루게 하였으며, 한편 불교에 대한 조예도 깊었으며, 고려 말에 학문과 정치에 거족을 남긴 존재였다.

저서

  • 《목은시고》(牧隱詩藁)
  • 《목은문고》(牧隱文藁)

참조

  1. 이색, 《목은시고》 권17, 독서처가 병서
  2. 박은봉, 《한국사 100 장면》 (가람기획, 1998) 174페이지
  3. 이색, 《목은문고》 권20, 송씨전
  4.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a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