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준생: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3번째 줄: 33번째 줄:
광복 후 [[백범 김구]]에 의해 피살 위협이 있었지만, 중국 당국에 의해 모면됐다. 1945년 장제스와의 회담에서 김구 주석은 "안중근 자식이 일본에 항복하여 상하이에서 여러 가지 불법행위를 하며 아편을 매매하므로 실로 유감이다. 직접 명령을 내려 안준생을 구금해주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1945년 11월 귀국길에 김구 주석은 "민족반역자로 변절한 안준생을 체포하여 교수형에 처하라"고 중국 관리에게 말하기도 했다.
광복 후 [[백범 김구]]에 의해 피살 위협이 있었지만, 중국 당국에 의해 모면됐다. 1945년 장제스와의 회담에서 김구 주석은 "안중근 자식이 일본에 항복하여 상하이에서 여러 가지 불법행위를 하며 아편을 매매하므로 실로 유감이다. 직접 명령을 내려 안준생을 구금해주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1945년 11월 귀국길에 김구 주석은 "민족반역자로 변절한 안준생을 체포하여 교수형에 처하라"고 중국 관리에게 말하기도 했다.


1950년 귀국한 준생은 피란 도중 부산에서 폐결핵으로 숨졌다. 부인 정옥녀씨와 1남2녀는 미국으로 이민을 떠났다. 아들 웅호씨는 미국에서 심장병 권위자가 됐다.
1950년 귀국한 준생은 피란 도중 부산에서 폐결핵으로 숨졌다. 서울 혜화동 천주교 공원묘지에 안장돼 있다. 부인 정옥녀씨와 1남2녀는 미국으로 이민을 떠났다. 아들 웅호씨는 미국에서 심장병 권위자가 됐다.


안중근 의거 100주년(2009년)을 맞아 국내 학계, 언론이 다각도로 재조명했지만 안준생의 친일행적은 다뤄지지 않았다. 다만 ‘연합뉴스’가 ‘안중근 의거 100년 살아남은 자의 슬픔’(2009년 11월 1일자)이라는 제목으로 “안준생의 친일행적은 적어도 학계에서는 공공연한 비밀이지만, 국내 어느 연구자도 이런 사실을 지적하지 않는다. 그만큼 안 의사가 갖는 영웅성이 절대적이기 때문일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ref>{{저널 인용
안중근 의거 100주년(2009년)을 맞아 국내 학계, 언론이 다각도로 재조명했지만 안준생의 친일행적은 다뤄지지 않았다. 다만 ‘연합뉴스’가 ‘안중근 의거 100년 살아남은 자의 슬픔’(2009년 11월 1일자)이라는 제목으로 “안준생의 친일행적은 적어도 학계에서는 공공연한 비밀이지만, 국내 어느 연구자도 이런 사실을 지적하지 않는다. 그만큼 안 의사가 갖는 영웅성이 절대적이기 때문일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ref>{{저널 인용

2019년 8월 13일 (화) 10:52 판

안준생
安俊生
출생1907년 3월 22일
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황해도 해주
사망1951년 4월 30일(1951-04-30)(44세)
소련 소련 하바로프스크 지방 하바로프스크
본관순흥(順興)
직업기업가
경력만선시찰단 이사장
부모안중근(부), 김아려(모)
형제안문생(형)
배우자정옥녀(鄭玉女)
종교천주교(세례명: 그레고리오)
정당무소속

안준생(安俊生, 1907년 ~ 1951년)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사업가이다. 독립운동가 안중근의 둘째 아들이다. 호(號)는 산남(山南). 안중근의 아들이지만 일본에 충성한 친일파로 규정된다. 김구는 안준생이 해방이 되면 반드시 죽음으로 응징해야 할 악질 친일파들 중 한명으로 지목했다.

생애

1907년생으로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중국으로 이주해서 상하이에서 성장했다. 상하이 식당에서 바이올린 연주를 하면서 어렵게 생활했다. 마약 장사를 한다는 소문도 있었다.

39년에는 상하이에서 잡화상을 운영했다. 1939년 10월 조선총독부의 초청을 받아 조선을 방문했다. 그는 강압에 의한 것이었지만 이토 히로부미를 추모하는 사찰인 박문사(지금 서울 신라호텔 근처)을 찾아 이토의 영전에 향을 피우고 “죽은 아버지의 죄를 내가 대신 속죄한다”는 담화를 발표했다. 준생은 이토 히로부미의 아들을 만나 “아버지를 대신해 깊이 사과드린다”고도 말했다. 격분한 백범이 광복 뒤 귀국을 기다리다 “민족반역자로 변절한 안준생을 교수형에 처하라”고 중국 관헌에게 부탁할 정도였다. [1]

일본 정부의 치밀한 각본대로 연출된 화해극이었다. 당시 조선일보를 비롯한 언론은 "조선통치의 위대한 전환사" "부처의 은혜로 맺은 내선일체"라며 대서특필했다. 언론은 준생이 "죽은 아버지의 죄를 내가 속죄하고 전력으로 보국의 정성을 다하고 싶다"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후에 일본은 영국인 세관장이 살던 고급 주택을 사주는 등 준생을 특별 관리했다. [2]

광복 후 백범 김구에 의해 피살 위협이 있었지만, 중국 당국에 의해 모면됐다. 1945년 장제스와의 회담에서 김구 주석은 "안중근 자식이 일본에 항복하여 상하이에서 여러 가지 불법행위를 하며 아편을 매매하므로 실로 유감이다. 직접 명령을 내려 안준생을 구금해주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1945년 11월 귀국길에 김구 주석은 "민족반역자로 변절한 안준생을 체포하여 교수형에 처하라"고 중국 관리에게 말하기도 했다.

1950년 귀국한 준생은 피란 도중 부산에서 폐결핵으로 숨졌다. 서울 혜화동 천주교 공원묘지에 안장돼 있다. 부인 정옥녀씨와 1남2녀는 미국으로 이민을 떠났다. 아들 웅호씨는 미국에서 심장병 권위자가 됐다.

안중근 의거 100주년(2009년)을 맞아 국내 학계, 언론이 다각도로 재조명했지만 안준생의 친일행적은 다뤄지지 않았다. 다만 ‘연합뉴스’가 ‘안중근 의거 100년 살아남은 자의 슬픔’(2009년 11월 1일자)이라는 제목으로 “안준생의 친일행적은 적어도 학계에서는 공공연한 비밀이지만, 국내 어느 연구자도 이런 사실을 지적하지 않는다. 그만큼 안 의사가 갖는 영웅성이 절대적이기 때문일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3]

가족 관계

  • 부인 : 정옥녀(鄭玉女, 1905년 ~ ?)

문학

  • 《이토 히로부미, 안중근을 쏘다》(2009년 10월 19일), IWELL, 이태진 , 조동성, 김성민 지음 ISBN 9788996007067
  • 2014년 나는 너다 (연극)

각주

  1. “안중근 가문 40여명 독립운동, 아들·딸은 ‘친일’”. 한겨레. 2010.03.26. 
  2. “안중근 유족을 가난과 탄압에 가둔 '친일파' 대한민국”. 시사IN. 2010.03.26. 
  3. “[SOCIETY] 안중근은 쏘고, 아들 준생은 사죄하다”. 시사IN. 2010.03.31.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