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 서석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수정
Metal526 (토론 | 기여)
잔글 다른 사이트에서 복사된 내용 삭제
28번째 줄: 28번째 줄:
}}
}}


'''영양 서석지'''(英陽 瑞石池)는 석문(石門) [[정영방]] 선생이 1613년(광해군 5년)에 축조한 연못과 정자이다. 1979년 12월 31일 [[대한민국의 중요민속문화재]] 제108호로 지정되었다.
'''영양 서석지'''(英陽 瑞石池)는 석문(石門) [[정영방]] 선생이 1613년(광해군 5년)에 축조한 연못과 정자이다. 1979년 12월 31일 [[대한민국의 중요민속문화재]] 제108호로 지정되었다. 담양의 소쇄원, 보길도의 부용원과 함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3대 정원으로 꼽힌다.


== 개요 ==
== 개요 ==
정영방이 광해군 5년(1613)에 조성한 것으로 전해지는 연못과 정자이다. 자양산의 남쪽 완만한 기슭에 위치한 연못을 중심으로 경정·주일재·수직사·남문 등의 건물들이 자리잡고 있다.
석문(石門) 정영방이 1613년(광해군 5년) 진성(眞城) 임천(臨川)(현 영양군 입압면 연당리)에 조성한 것으로 전해지는 연못과 정자이다. 정자인 경정(敬亭), 서재인 주일재(主一齋), 그리고 서하헌(棲霞軒), 수직사(守直舍) 등을 함께 축조하였다.


연못의 북변에는 주일재(主一齋) 앞으로 연못쪽으로 돌출된 석단을 만들어 사우단(四友壇)으로 이름을 지었고, 이곳에 소나무(松), 대나무(竹), 매화(梅), 국화(菊)를 심었다 한다.
경정은 넓은 대청과 방 2개로 되어있는 큰 정자이며, 주일재는 ‘운서헌’이라고 쓴 현판이 걸려있는 서재이다. 주일재 앞에는 연못쪽으로 돌출한 석단인 '사우단'을 만들고 소나무·대나무·매화·국화를 심었다.


연못의 물을 북동쪽 귀퉁이로 흘러들어와 남서쪽으로 흘러나가도록 되어있었다고 한다.
연못은 사우단을 감싸는 'U'자형의 모양을 하고 있다. 연못의 동북쪽 귀퉁이에는 산에서 물을 끌어들이는 도랑을 만들었고, 반대편의 서남쪽 귀퉁이에는 물이 흘러나가는 도랑을 만들었다. 각양각색의 형태로 솟아있는 연못 안의 크고 작은 돌을 '서석군'이라 하는데, 이 연못의 이름은 서석군에서 유래하였다. 돌 하나하나에 모두 이름이 있어 정영방 선생의 학문과 인생관은 물론, 은거생활의 이상적 경지와 자연의 오묘함과 아름다움을 찬양하고 심취하는 심성을 잘 알 수 있게 해준다.

7월 중순 연못에 연꽃이 피어 그 아름다움을 더한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7년 2월 11일 (토) 22:30 판

영양 서석지
(英陽 瑞石池)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중요민속문화재
종목중요민속문화재 제108호
(1979년 12월 31일 지정)
수량일곽
시대조선시대
소유동래정씨문중(정경정)
위치
주소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연당리 394-2번지
좌표북위 36° 36′ 42″ 동경 129° 04′ 11″ / 북위 36.611672° 동경 129.069726°  / 36.611672; 129.069726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영양 서석지(英陽 瑞石池)는 석문(石門) 정영방 선생이 1613년(광해군 5년)에 축조한 연못과 정자이다. 1979년 12월 31일 대한민국의 중요민속문화재 제108호로 지정되었다. 담양의 소쇄원, 보길도의 부용원과 함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3대 정원으로 꼽힌다.

개요

석문(石門) 정영방이 1613년(광해군 5년) 진성(眞城) 임천(臨川)(현 영양군 입압면 연당리)에 조성한 것으로 전해지는 연못과 정자이다. 정자인 경정(敬亭), 서재인 주일재(主一齋), 그리고 서하헌(棲霞軒), 수직사(守直舍) 등을 함께 축조하였다.

연못의 북변에는 주일재(主一齋) 앞으로 연못쪽으로 돌출된 석단을 만들어 사우단(四友壇)으로 이름을 지었고, 이곳에 소나무(松), 대나무(竹), 매화(梅), 국화(菊)를 심었다 한다.

연못의 물을 북동쪽 귀퉁이로 흘러들어와 남서쪽으로 흘러나가도록 되어있었다고 한다.

7월 중순 연못에 연꽃이 피어 그 아름다움을 더한다.

같이 보기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