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이 문서에서 링크하고 있는 문서에 대한 최근 바뀜이 나와 있습니다. 주시하는 문서의 경우에는 굵은 글씨로 나타납니다.

최근 바뀜 설정 최근 1 | 3 | 7 | 14 | 30일간의 50 | 100 | 250 | 500개 바뀐 문서 보기
등록된 사용자 숨기기 | 비등록 사용자를 숨기기 | 내 편집 숨기기 | 보이기 | 사소한 편집 숨기기 | 문서 분류 보이기 | 위키데이터 보이기 | 정상적으로 보이는 편집 숨기기
2024년 6월 28일 (금) 07:08부터 시작하는 새로 바뀐 문서 보기
 
문서 이름:
약어 목록(도움말):
위키데이터 편집
검토가 필요한 편집
새글
새 문서
잔글
사소한 편집
봇이 수행한 편집
(±123)
문서의 바이트 크기 차이
임시 주시 문서

2024년 6월 27일 (목)

  • 차이역사 한라산 10:45 +2,1932001:e60:87dc:95ce:68db:a7a7:c32b:18aa 토론(59.8.0.36(토론)의 37426771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수동 되돌리기
  • 차이역사 한라산 10:24 −1,96059.8.0.36 토론(정상에 백록담(白鹿潭)이라는 화산호가 있는데, 백록담이라는 이름은 흰 사슴이 물을 먹는 못이라는 뜻에서 왔다고 전해진다. 산자락 곳곳에 오름 또는 악(岳)이라 부르는 다양한 크기의 측화산이 분포해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한라산은 폭발 가능성이 없는 사화산으로 알려져 왔지만 다시 폭발할 수도 있는 활화산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한국에서는 금강산, 지리산과 함께 삼신산(三神山)이라 불려왔다. 한라산 일대는 천연보호구역으로서 천연기념물 제182호로 지정되어 있고, 1970년 3월 24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2007년 6월 27일 오후(대한민국 표준시) 유네스코 제31차 세계유산위원회 총회에서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 차이역사 한라산 10:18 −23359.8.0.36 토론(한라산 또는 한나산(漢拏山)은 대한민국 제주도 중앙부에 있는 해발 1,947.06m, 면적 약 1,820km2의 화산으로, 제주도의 면적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2024년 6월 26일 (수)

2024년 6월 21일 (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