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종묘 어정

종묘 어정
(宗廟 御井)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제56호
(1983년 11월 11일 지정)
수량일원
시대조선시대
위치
종묘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종묘
종묘
종묘(대한민국)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 66-5번지 종묘
좌표북위 37° 34′ 32.08″ 동경 126° 59′ 36.45″ / 북위 37.5755778° 동경 126.9934583°  / 37.5755778; 126.9934583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종묘 어정(宗廟 御井)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 종묘 정문인 창엽문 앞에 보존되어 있는 우물이다. 1983년 11월 11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56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편집]

종묘 어정은 종묘 정문인 창엽문 앞에 보존되어 있는 우물이며 조선 역대 왕들이 종묘에 왕래할 때 이 물을 마셨다고 하여 '어정'이란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어정은 돌을 쌓는 방법 등으로 보아 조선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소유자는 국유이다.

어정은 원형으로 깊이는 약 8m이며, 지름은 1.5m이다. 재료는 화강암이다. 원래는 윗부분에 1단의 사각 장대석이 정자로 짜 놓였고, 그 위에 우물 난간으로서 1~2단이 더 있었다. 일제강점기콘크리트 우물통으로 바꿔 놓아 없어진 것을 1983년 11월 상단에 판석을 4각으로 세워 복원하였다. 우물 속은 온통 돌로 쌓았는데, 화강석을 정방 혹은 장방형으로 마름하여 사용하고, 축석은 각 단마다 반월형의 마름돌을 원형으로 맞추어 다른 축석이 튼튼하게 지탱될 수 있게 하였다.

1930년에 간행된 《경성백경(京城百景)》에는 이곳 훈정동 어수우물에 대한 기록이 보인다.

외로운 충심은 그대로 남아서 풍마우세(風磨雨洗)의 하마비(下馬碑)를 짝하여 종묘 앞을 떠나지 않고 섰다

당시 주변에 인가가 조밀하고 다른 우물 맛이 짭짤한 것과 달리 이 어정의 물맛은 사시사철 맑고 찼으며, 하마비와 함께 종묘 앞의 명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도성 안에 몇몇 어수우물들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 화동의 '복주우물'이 으뜸이었으나 지금은 찾을 길이 없다.

또한 심한 가뭄에도 불구하고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며 영험이 있다 하여 주민들이 용왕제를 지내기도 하였다고 한다.

참고 자료

[편집]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