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정체성주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체성주의의 상징으로 주로 사용되는 람다. "동양적 전제국가" 페르시아로부터 유럽 세계를 수호해낸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옥쇄한 스파르타 호플리테스방패를 형상화한 것이다.[1]

정체성주의(영어: Identitarianism)는 유럽에서 나타나고 있는 범유럽주의국민주의,[1][2][3] 극우[4][5] 이념이다. 프랑스정체성당이 이념적 시초로, 정체성당의 청년단체인 "정체성 세대(Génération identitaire)"를 통해 21세기 초 유럽 각국에 퍼져나갔다. 철학적으로는 근대 독일철학에 존재론적 근거를 두고 있으며, 1960년대부터 알랭 드 베누아, 도미니크 베네르, 기욤 파이, 르노 카뮈 등이 이론화 작업을 해서 이들이 대개 이념의 지적 지도자들로 여겨진다.

정체성주의는 특정 집단의 사람들에게는 특정한 존재양식이 관습적으로 타당하다고 주장하는데, 전간기 독일 보수혁명의 주장이 유럽 신우파를 거쳐 배양되어 계승된 것이다.[6][7][8] 정체성주의는 범유럽 국민주의, 지역주의, 민족다원주의, 이민자의 본국송환을 지지하고, 세계화, 다문화주의, 이슬람화, 외부로부터 유럽으로의 이민에 반대한다.[9][10][3] 신우파 메타정치의 영향을 받아 정체성주의는 선거를 통한 직접적 정치적 승리를 추구하지 않고, 대신 자신들의 사상을 대중과 문화에 만연시켜 문화패권을 획득하고자 한다.[11][12]

각주

[편집]
  1. Weiß, Volker (2013년 3월 21일). “Nicht links, nicht rechts – nur national”. 《Die Zeit》. 2013년 7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4일에 확인함. 
  2. Camus, Jean-Yves (2018). “Le mouvement identitaire ou la construction d'un mythe des origines européennes”. 《Fondation Jean-Jaurès》 (프랑스어). 2021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16일에 확인함. It was the transition from French nationalism to the promotion of a European identity, theorised by Europe-Action in the mid-1960s, which disrupted the references of the French far-right by producing a schism which has not been repaired to date, separating integral sovereignists, for whom no level of sovereignty is legitimate except the sovereignty of the nation state, (...) from the identitarians, for whom the nation state is an intermediate framework between being rooted in a region (in the sense of the German "Heimat") and belonging to the framework of European civilisation. 
  3. François, Stéphane (2009). “Réflexions sur le mouvement "Identitaire". 《Fragments sur les Temps Présents》. This mixophobic discourse, that is to say the fear of ethnic mixing, can be found in their geopolitical vision ... [Identitarians] defend the idea of an ethnically homogeneous Europe ... [they] reject the nation-state in favour of a confederation of regions which have strong identities, inscribing themselves in the idea of a "great European imperial nationalism" ... This form of nationalism must therefore be understood in its European continental dimension and it must no longer be understood in its national dimension, which is seen as having been inherited from the dubious philosophy of the French Revolution ... 
  4. Mudde 2019: "The Identitarians are a pan-European far-right movement which started with the Identitarian Bloc in France in 2003."
  5. Taguieff 2015: "... we can see in the multiplication of these new [emerging Identitarian and protesting] party-movements an indication of the emergence of a new far-right with many faces, described as 'post-industrial' by Piero Ignazi, and who has set it apart from the 'traditional' far-right, guardian of nostalgia."
  6. Teitelbaum 2017, 31쪽: "Channeling concepts of a French antiliberal school known as the Nouvelle Droite, Nordic identitarians [...]"
  7. Camus 2019, 73쪽: "Although this is questionable, de Benoist and Dominique Venner are also seen as the forefathers of the “identitarian” movement in Europe."
  8. Mudde 2019: "Ideologically, the Identitarian movement is derived from the nouvelle droite, inspired by its main thinkers, Alain de Benoist and the late Guillaume Faye."
  9. Schlembach, Raphael (2016). 《Against Old Europe: Critical Theory and Alter-Globalization Movements》. Routledge. 134. ISBN 9781317183884. 
  10. Camus, Jean-Yves (2018). “Le mouvement identitaire ou la construction d'un mythe des origines européennes”. 《Fondation Jean-Jaurès》 (프랑스어). 2021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6일에 확인함. 
  11. Teitelbaum 2017, 43–44쪽.
  12. Mudde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