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필 풍악도첩

정선필 풍악도첩
(鄭敾筆 楓嶽圖帖)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1875호
(2015년 4월 22일 지정)
수량14폭
시대조선시대 1711년(숙종 37)
소유국유
위치
주소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좌표북위 37° 31′ 27″ 동경 126° 58′ 38″ / 북위 37.52417° 동경 126.97722°  / 37.52417; 126.97722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정선필 풍악도첩(鄭敾筆 楓嶽圖帖)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산수화이다. 2015년 4월 2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75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편집]

<정선필 풍악도첩>은 현재까지 알려진 정선의 작품 중 가장 이른 연대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겸재의 진경산수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훌륭한 기준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주목된다. 초기작이므로 후기의 원숙한 화풍에 비해 일면 미숙한 부분도 엿보이긴 하지만, 풍악도첩에 수록된 그림들은 한결같이 화가 초창기의 활력과 열의로 가득 차 있다. 금강산을 처음 대하는 화가의 정서적 반응, 그리고 우리나라 산천을 앞에 두고 이에 가장 걸맞은 표현방식을 모색해내려는 겸재 필 진경산수화의 형성과정이 잘 드러나 있는 작품이다.[1]

사진첩[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문화재청고시제2015-50호,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8496호, 53면, 2015-04-22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