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세
보이기
정경세(鄭經世, 1563년 ~ 1633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이다. 본관은 진주 어사공파(御史公派). 자는 경임(景任), 호는 우복(愚伏), 일묵(一默). 시호는 문장(文莊).
정여관(鄭汝寬)의 아들이다. 문충공 서애 류성룡의 문인으로, 학문으로는 퇴계 이황의 학통을 계승하였고 예학(禮學)에 뛰어났다. 류성룡의 수제자로 그가 1580년 상주목사로 부임하자 그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류성룡의 아들 수암 류진과 석문(石門) 정영방의 스승이다. 임진왜란때에는 고향 상주에서 창의하여 의병활동을 펼쳤으며, 어머니와 아우를 잃기도 하였다. 1610년 전라감사로 재직하던 당시 정인홍 등 대북세력에 의해 탄핵당하였다. 1623년 상주에 유림들과 협의하여 조선 최초의 사립 의료시설 존애원을 건립하였다. 인조반정이후에 다시 등용되어 홍문관 제학에 임명되었다. 후금의 침략에 대비하여 산성을 수축하고 군량미를 비축하며 또 뛰어난 장수를 선발하는 것과 군대의 정예화를 주장하였다. 여러 벼슬을 거쳐 1629년 이조판서 겸 대제학에 올랐다. 1628년(인조 6) 유효립에 난 진압을 도운 공로로 영사원종공신 1등(寧社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저서에는 《우복집(愚伏集)》, 《사문록(思問錄)》, 《주문작해(朱文酌海)》 등이 있다.
관련 문화재
[편집]- 우복 정경세 신도비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