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정작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정작용(自淨作用)은 자연 생태계에서 인간이 어떠한 특별한 행위를 하지 않아도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 물질이 스스로 정화되는 능력을 지칭한다.[1] 이러한 과정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작용의 결과이다. 자정작용은 물 속에서 뿐만 아니라 대기 중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오염된 공기를 희석해주는 바람, 대기오염 물질을 씻어내는 ,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해주는 나무가 자정작용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오염이 어느 한계를 넘어서면 자정작용으로도 정화할 수 없기 때문에 자원의 올바른 사용이 이슈가 되고 있다.

자정 계수[편집]

물에서 자정작용이 유지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지표로 자정계수(f)가 있다. 자정계수가 1보다 크면 자정작용이 유지되고 있는 것이고, 1보다 작으면 자정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수질 오염이 가속화된다.[2]

촉진 요인[편집]

물에서의 자정작용은 하천 바닥에 자갈이 많을 때가 실트질일 때보다 난류가 잘 일어나 자정 작용이 잘 일어난다. 수심이 얕으면 산소가 더 잘 물에 녹아들어가게 되고 재폭기계수가 커져서 자정작용이 잘 일어난다.[3] 호기성 또는 혐기성 미생물이 유기물을 무기물로 분해하는 것 역시 자정작용을 일으킨다. 자정작용이 일어나는 원리에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원리가 있는데 이 중 미생물에 의한 자정작용인 생물학적 원리가 가장 큰 영향을 준다.[1] 유속이 빠르거나 구배가 크면 재폭기계수가 커져서 결과적으로 자정 계수가 커지고 자정작용이 잘 일어나게 된다.[2]

저해 요인[편집]

물에서의 자정작용은 수심이 깊으면 산소가 덜 물에 녹아들어가게 되고 재폭기 계수가 작아져서 자정작용이 억제된다. 수온이 높아지는 경우 탈산소계수가 커지고 재폭기계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자정 계수가 감소하게 되어 자정작용이 줄어든다.[2] 그러나 여름이라고 해서 겨울보다 자정작용이 덜 일어나는 것은 아닌데, 그 이유는 여름에 수온이 높음으로 인해서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그 결과 유기물의 분해가 촉진되기 때문이다. 위의 촉진 요인에서 설명했듯이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자정작용 원인 중에 생물학적 원인이 가장 영향이 크기 때문에, 수온으로 인해 저해요인이 생기더라도 생물학적 자정작용으로 충분한 자정이 일어나게 된다.[4]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노재식, 한웅규 & 정용욱 2016, 55쪽.
  2. 노재식, 한웅규 & 정용욱 2016, 56쪽.
  3. 노재식, 한웅규 & 정용욱 2016, 57쪽.
  4. 노재식, 한웅규 & 정용욱 2016, 58쪽.

참고 문헌[편집]

  • 노재식; 한웅규; 정용욱 (2016). 《토목기사 대비 상하수도 공학》. 한솔아카데미. ISBN 9791156562344.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