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이 (항성)
이마이 Imai | ||
남십자자리. 이마이는 델타(δ)이다. | ||
명칭 | ||
---|---|---|
바이어 명명법 | 남십자자리 델타 (δ Cru) | |
밝은 별 목록 | HR 4656[1]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106490[1] |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SAO 239791[1] | |
소천성표 | CD-58 4466[1] |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59747[1] | |
다른 이름 | FK5 455[1]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 ||
별자리 | 남십자자리 | |
적경(α) | 12h 15m 08.71673s[2] | |
적위(δ) | –58° 44′ 56.1369″[2] | |
겉보기등급(m) | 2.79[3] | |
절대등급(M) | –3.2[4] | |
위치천문학 | ||
시선속도 | +22.2 km/s[3] | |
적경 고유운동 | -35.81 mas/yr[2] | |
적위 고유운동 | -10.36 mas/yr[2] | |
연주시차 | 9.45 ± 0.15 mas[2] | |
성질 | ||
광도 | 10,000 L☉[4] | |
나이 | 18.1 ± 3.2 (백만 년)[5] | |
분광형 | B2 IV[6] | |
U-B 색지수 | –0.921[7] | |
B-V 색지수 | –0.235[7] | |
변광성 분류 | β Cep[8] | |
추가 사항 | ||
질량 | 8.9 ± 0.1 M☉[5] | |
반지름 | 8.0 R☉[9] | |
표면온도 | 22,570 ± 1,840 K[10] | |
표면 중력 (log g) | 3.88 cgs[4] | |
자전 속도 | 210 km/s[11] | |
항성 목록 |
이마이(Imai) 또는 남십자자리 델타(Delta Crucis, δ Cru)는 천구 남반구의 남십자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으로 남십자자리를 구성하는 밝은 별 넷 중 가장 어둡다. 겉보기등급은 2.79이며 2018년 8월 10일 국제천문연맹이 고유 명칭을 부여했다.[12] 이마이는 질량이 크고 뜨거우며 빠르게 회전하는 항성으로 거성으로 진화하는 과정에 있다. 연주시차 자료로부터 구한 이 별까지의 거리는 지구로부터 약 345 광년 (106 파섹)이다.
명칭
[편집]남십자자리 델타 Delta Crucis는 이 별의 바이어 명명법식 명칭이다. 포르투갈어로 팔리다 Pálida (희미한 것)로 불릴 때도 있다.[13]
이마이 Imai는 현대 에티오피아의 무르시족이 이 별을 부르는 명칭이다. 무르시족의 말에 따르면 이 별이 저녁 황혼녘 서쪽 하늘에서 더 이상 보이지 않게 될 즈음(8월 말)에 오모강(江)이 범람하여 강변의 이마이 imai 풀을 눕게 한 뒤 다시 물이 빠진다고 한다. 무르시족은 오모강이 계절마다 범람하는 시기를 예측하기 위해 남반구 하늘의 별 여럿을 이용하고 있다.[14] 2016년 8월 10일 국제천문연맹 산하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은 남십자자리 델타에 무르시족의 고유 명칭 이마이 Imai를 정식으로 부여하였다.[12][15]
특성
[편집]이 별의 분광형은 B2 IV로[6] 주계열에서 이탈하여 적색거성으로 진화하는 중간 과정에 있으며 먼 미래에 백색왜성으로 생명을 마칠 것이다. 현재 이마이는 외포층의 유효온도인 22570 켈빈에서 태양 광도의 약 1만 배에 이르는 에너지를 복사하여[4] 청백색의 빛을 뿜고 있다.[16] 이마이는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의 유력 후보이다.[8] 자전 속도는 매우 빨라 초당 210 킬로미터에 이른다.[11]
이마이는 전갈자리-센타우루스자리 성협(무거운 항성들로 구성된 OB 성협으로 이들은 같은 곳에서 태어난 뒤 우주 공간을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면서 이동 중이다.) 내 센타우루스자리-남십자자리 아래쪽(LCC) 구성원이다.[4] 이 성협은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OB 성협으로 LCC 구성원인 이마이의 나이는 1600만 ~ 2000만 년 사이이다.[17]
문화
[편집]중화권에서 이마이는 아크룩스, 베크룩스, 가크룩스와 함께 십자가(十字架)를 구성한다. 이들 중 이마이 하나만을 일컫는 명칭은 십자가4(十字架四)이다.[18]
오스트레일리아 중앙부 허만스버그 인근에 거주하는 아란다, 루리차족은 이마이를 포함하여 가크룩스-센타우루스자리 감마-센타우루스자리 델타 넷이 그리는 사각형을 이리트징가 Iritjinga (수리매)로 부른다.[19]
이마이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의 국기에 남십자성의 일부로 등장한다. 브라질의 국기에서는 미나스제라이스주를 상징한다.[20]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HD 106490 – Variable Star of beta Cep type”,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5년 11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Wielen, R.; 외. (1999), “Sixth Catalogue of Fundamental Stars (FK6). Part I. Basic fundamental stars with direct solutions”, 《Veroeffentlichungen des Astronomischen Rechen-Instituts Heidelberg》 (Astronomisches Rechen-Institut Heidelberg) 35 (35): 1, Bibcode:1999VeARI..35....1W
- ↑ 가 나 다 라 마 de Geus, E. J.; de Zeeuw, P. T.; Lub, J. (June 1989), “Physical parameters of stars in the Scorpio-Centaurus OB associa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216 (1–2): 44–61, Bibcode:1989A&A...216...44D
- ↑ 가 나 Tetzlaff, N.; Neuhäuser, R.; Hohle, M. M. (January 2011), “A catalogue of young runaway Hipparcos stars within 3 kpc from the Su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0 (1): 190–200, arXiv:1007.4883, Bibcode:2011MNRAS.410..190T, doi:10.1111/j.1365-2966.2010.17434.x
- ↑ 가 나 Houk, Nancy; Cowley, A. P. (1978),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Declinations -90 to -53》 1, Ann Arbor: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Bibcode:1975mcts.book.....H
- ↑ 가 나 Gutierrez-Moreno, Adelina; Moreno, Hugo (June 1968), “A photometric investigation of the Scorpio-Centaurus association”,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15: 459, Bibcode:1968ApJS...15..459G, doi:10.1086/190168
- ↑ 가 나 Telting, J. H.; 외. (June 2006), “A high-resolution spectroscopy survey of β Cephei pulsations in bright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52 (3): 945–953, Bibcode:2006A&A...452..945T, doi:10.1051/0004-6361:20054730
- ↑ Underhill, A. B.; 외. (November 1979), “Effective temperatures, angular diameters, distances and linear radii for 160 O and B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189 (3): 601–605, Bibcode:1979MNRAS.189..601U, doi:10.1093/mnras/189.3.601
- ↑ Sokolov, N. A. (May 1995), “The determination of T_eff_ of B, A and F main sequence stars from the continuum between 3200 A and 3600 A”,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110: 553, Bibcode:1995A&AS..110..553S
- ↑ 가 나 Bernacca, P. L.; Perinotto, M. (1970). “A catalogue of stellar rotational velocities”. 《Contributi Osservatorio Astronomico di Padova in Asiago》 239 (1): 1. Bibcode:1970CoAsi.239....1B.
- ↑ 가 나 “IAU Catalog of Star Names”.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8년 9월 17일에 확인함.
- ↑ da Silva Oliveira, R., "Crux Australis: o Cruzeiro do Sul" Archived 2013년 12월 6일 - 웨이백 머신 보관됨 2013-12-06 - 웨이백 머신, Artigos: Planetario Movel Inflavel AsterDomus.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보도 자료). IAU.org.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8년 9월 17일에 확인함.
- ↑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Jilinski, E.; 외. (March 2006), “Radial velocity measurements of B stars in the Scorpius-Centaurus associa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48 (3): 1001–1006, arXiv:astro-ph/0601643, Bibcode:2006A&A...448.1001J, doi:10.1051/0004-6361:20041614
- ↑ (중국어)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29 日 Archived 2011년 5월 22일 - 웨이백 머신
- ↑ Raymond Haynes; Roslynn D. Haynes; David Malin; Richard McGee (1996). 《Explorers of the Southern Sky: A History of Australian Astr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쪽. ISBN 978-0-521-36575-8.
- ↑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
외부 링크
[편집]- (영어) DELTA CR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