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성관

용성관(龍城館)은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에 있었던 건물이다. 현재는 남원용성초등학교 안에 석물만 남아 있다. 용성관석물(龍城館石物)이 전라북도의 문화재자료 제104호로 지정되어 있다.

용성관 석물
(龍城館 石物)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문화재자료
종목문화재자료 제104호
(1984년 4월 1일 지정)
위치
주소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동충동 192-4
좌표북위 35° 24′ 36″ 동경 127° 22′ 48″ / 북위 35.41000° 동경 127.38000°  / 35.41000; 127.38000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역사[편집]

용성관은 통일 신라 시대인 691년(신문왕 11년) 처음 지었다고 한다.[출처 필요]

조선시대에는 관원들의 숙소로 사용했다. 한때는 조선 태조의 전패(殿牌:전(殿)자를 새긴 나무패로 왕의 상징임)를 모시어 ‘휼문관’이라고도 하였다. 그 규모가 웅대하여 남원 광한루, 관왕묘와 함께 고대건물의 3걸로 불리었다.

1597년 남원 전투에서 조명 연합군이 패하자 병마사 이복남이 태조의 전패가 일본군에 능욕당할 것을 염려해 용성관을 통째로 태웠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불에 타 다시 지었다.

남원향교 건물을 쓰던 남원공립보통학교를 1907년(광무 11년)에 용성관 건물로 옮겼다. 그 이후로 지금까지 학교 부지로 쓰이고 있다.

한국 전쟁 때 건물이 불에 타 지금은 건물의 기단 70여m와 이 계단석물 1기만 남아있다. 잘 다듬은 계단은 아래의 난간 양쪽에 반원을 그리듯 둥글게 처리된 석물이 놓여있는데, 표면에 도깨비상을 조각해 놓아 독특한 모습이다. 석물의 정확한 제작연대는 알 수 없다. 현재 석물은 남원용성초등학교의 본관계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현지 안내문[편집]

이곳에 흩어져 있는 몇 점의 돌들은 옛 용성관 건물에서 나온 것들이다. 용성관은 통일신라 신문왕 11년(691)에 처음 지었다고 하는데, 조선시대에는 다른 지역에서 출장 온 관리의 숙소로 사용하였다. 조선 태조를 상징하는 나무 패를 모셨으며, 백성을 돕는다는 뜻에서 《홀민관》이라고도 불렀다. 이 용성관은 광한루 관왕묘와 더불에 남원의 3대 건물로 일컬을 만큼 규모가 컸다. 정유재란 때 불탔다가 광해군과 숙종 때 다시 지었으나, 6.25를 맞아 또 다시 불탔다. 지금은 70m 가량의 옛 건물 받침부와 용성초등학교 본관 계단으로 쓰이는 돌 1점이 남아 있다.[1]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현지 안내문 인용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