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링턴 상호성 정리
에서링턴의 거리 상호성 방정식은 표준 양초의 광도 거리와 각지름 거리 사이의 관계에 관한 식이다.[1] 이 식은 인데, 여기서 는 적색편이, 는 광도 거리, 는 각지름 거리이다.
역사와 유도
[편집]1933년 에서링턴이 이 방정식을 처음 소개할 때, 그는 이 방정식이 우주론적 모델을 테스트하는 방법으로 Tolman에 의해 제안되었다고 언급했다. 엘리스(Ellis)는 리만 기하학의 맥락에서 이 방정식의 증명을 제안했다.[2][1][3] 엘리스로부터의 인용문: "상호성 정리의 핵심은 천체 관측에서 소스와 관찰자의 역할이 바뀔 때 많은 기하학적 속성이 불변한다는 사실입니다." 이 진술은 상호성 정리의 유도에서 기본이다.
수정
[편집]에서링턴의 논문은 다음과 같이 끝맺는다. (그의 방정식 23). 그리고 그는 톨먼은 라고 하였다고 말한다. 에서링턴은 이 차이가 그가 비판하는 밝기에 대한 톨먼의 다른 정의 때문이라고 말한다. 에서링턴의 거리 상호성 방정식이라는 이름은 잘못 지어졌다고 할 수 있다.
천문 관측을 통한 검증
[편집]에서링턴의 거리 상호성 방정식은 은하단의 X선 표면 밝기와 수냐에프-젤도비치 효과를 기반으로 한 천문학적 관찰에서 검증되었다.[4][5] 상호성 정리는, 광자 수가 보존되고, 중력이 고유한 영측지선을 따라 이동하는 광자와 더불어 메트릭 이론으로 설명될 때, 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6] 우주 거리 측정을 변경하는 천체물리학적 효과가 통계적 오류보다 훨씬 낮다면, 모든 거리 이중성의 위반은 이질적인 물리학에 기인한다. 예를 들어, 은하단의 3차원 가스 밀도 프로파일의 잘못된 모델링은 X선 및 SZ 관측에서 클러스터의 각지름거리를 결정하는 데 체계적인 불확실성을 도입하여 거리 이중성 테스트 결과를 변경할 수 있다.[7] 유사하게, 은하간 매질의 확산 먼지 성분으로 인한 설명되지 않은 소멸은 광도 거리의 결정에 영향을 미쳐서 거리-이중 관계의 위반을 유발할 수 있다.[8]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Etherington, I.M.H. (1933). “LX.On the definition of distance in general relativity”. 《The London, Edinburgh, and Dublin Philosophical Magazine and Journal of Science》 (Informa UK Limited) 15 (100): 761–773. doi:10.1080/14786443309462220. ISSN 1941-5982.
- ↑ G. F. R. Ellis, "Relativistic cosmology", Proceedings of the 47th International School of Physics "Enrico Fermi", edited by R. K. Sachs (Academic Press, New York and London), Vol. 15 (1971), pp. 104-182.
- ↑ Ellis, George F. R. (2006년 10월 24일). “On the definition of distance in general relativity: I. M. H. Etherington (Philosophical Magazine ser. 7, vol. 15, 761 (1933))”. 《General Relativity and Gravitation》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39 (7): 1047–1052. doi:10.1007/s10714-006-0355-5. ISSN 0001-7701.
- ↑ Uzan, Jean-Philippe; Aghanim, Nabila; Mellier, Yannick (2004년 10월 27일). “Distance duality relation from x-ray and Sunyaev-Zel'dovich observationsof clusters”. 《Physical Review D》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70 (8): 083533. doi:10.1103/physrevd.70.083533. ISSN 1550-7998.
- ↑ De Bernardis, Francesco; Giusarma, Elena; Melchiorri, Alessandro (2006). “Constraints on Dark Energy and Distance Duality from Sunyaev-Zel’dovich Effect and Chandra X-Ray Measure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Modern Physics D》 (World Scientific Pub Co Pte Lt) 15 (05): 759–766. arXiv:gr-qc/0606029. doi:10.1142/s0218271806008486. ISSN 0218-2718.
- ↑ Bassett, Bruce A.; Kunz, Martin (2004년 5월 26일). “Cosmic distance-duality as a probe of exotic physics and acceleration”. 《Physical Review D》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69 (10): 101305(R). arXiv:astro-ph/0312443. doi:10.1103/physrevd.69.101305. ISSN 1550-7998.
- ↑ Meng, Xiao-Lei; Zhang, Tong-Jie; Zhan, Hu; Wang, Xin (2012년 1월 4일). “Morphology of Galaxy Clusters: A Cosmological Model-independent Test of the Cosmic Distance-Duality Relation”. 《The Astrophysical Journal》 (IOP Publishing) 745 (1): 98. arXiv:1104.2833. doi:10.1088/0004-637x/745/1/98. ISSN 0004-637X.
- ↑ Corasaniti, P. S. (2006년 10월 11일). “The impact of cosmic dust on supernova cosmolog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OUP)) 372 (1): 191–198. doi:10.1111/j.1365-2966.2006.10825.x. ISSN 0035-8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