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인스티튜트
아시아인스티튜트(영어: The Asia Institute)는 서울[1] 에 위치한 싱크탱크로, 아시아 내 정책, 인문학, 과학 분야의 전문가들 및 국제기구, 청소년 등의 연구와 활동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아시아인스티튜트는 기술의 발전, 환경 문제, 국제 관계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2][3] 진행한다.
아시아인스티튜트는 교육, 국제관계[4], 기후변화 등에 관련된 정책 토론에 있어 차세대와 학생들의 참여를 권장하며, 광범위하게 젊은 청년들과 고등학생 및 대학생들과 함께 일한다.[3] 아시아인스티튜트는 기술적 진화가 가져다 주는 긍정적 가능성 및 위험 요소와 환경 위기에 대한 연구에 집중해 왔다. 특히 환경 위기와 관련하여 아시아인스티튜트는 카이스트와의 협력 하에 대전환경포럼을 설립하였다.[4][5]
2012년 아시아인스티튜트는 각종 보고서, 기고문, 인터뷰들을 편찬하였고, 벤자민 바버, 노암 촘스키, 프란시스 후쿠야마, 로리 윌킨슨 등 세계 석학들과 의 대화 바탕으로 출판하기도 하였다.[1] 아시아인스티튜 소장은 경희대학교 부교수로 재직중인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이다.[3][1]
역사
[편집]아시아인스티튜트는 2007년에 설립되었으며, 본래 대전 우송대학교 솔브릿지 국제경영대학과의 협력 하에 설립되었다.[6]。
아시아인스티튜트는 일련의 보고서를 출판하였으며[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서울대학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와의 협력 하에 수행한 기술 관련 연구에 기반하여 각종 세미나와 콘퍼런스를 개최하였다.[8][9][10][11]
주요활동
[편집]아시아인스티튜트는 2008년 10월 제 12회 동북아 제한적 비핵지대화 총회를 개최하였다. 아시아인스티튜트는 2009년 카이스트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협력 하에 대전환경포럼을 개최하였고, 2011년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의 협력 하에 대전컨버전스포럼을 개최하였다.[12]
각주
[편집]- ↑ 가 나 다 Pastreich, Emanuel (2012). 《Selected Publications of The Asia Institute》. Seoul: The Asia Institute. 4쪽. ISBN 978-89-969848-0-1.
- ↑ “동북아 갈등, 장기적 대응 병행해야”. 《http://www.ytn.co.kr/》. YTN News. 2012년 11월 3일. 2012년 11월 3일에 확인함.
|websit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 가 나 다 Arvind, Subadra (2012년 12월 1일). “A new kind of scholar breaks ground in Korea”. Asia Times Online. 2016년 3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Simon, Ian D. (2011). “Plans of Mice and Men: From Bench Science to Science Policy”. 《Yale J. Biol. Med.》 (Yale University) 84 (3): 237–242. 201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 Pastreich, Emanuel; Feffer, John (2008년 6월 17일). “Policy Forum 08-047: Wenchuan as Eco-City”. 《http://nautilus.org/》. Nautilus. 2012년 2월 11일에 확인함.
|websit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 Weigand, Matthew (2011년 2월 7일). “An American in Daejeon: How a Literature Professor Ended Up Deep in Korean Policy and Business”. Korea IT Times. 2012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 Pastreich, Emanuel (2009년 10월 19일). “Approaches to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Korean Biotechnology”. 《http://www.bioin.or.kr/》. Biotech Information Portal. 2013년 2월 11일에 확인함.
|websit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 Pastreich, Emanuel (2009년 10월 19일). “Approaches to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Korean Biotechnology”. 《http://www.bioin.or.kr/》. Biotech Information Portal. 2013년 2월 11일에 확인함.
|websit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 Pastreich, Emanuel; Butakov, Sergey; Delorme, Michael (2010년 5월 1일). “The Asia Institute Report for the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A Survey of Nuclear Safety Infrastructure in Southeast Asia and Prospects for the Future” (PDF). 《http://asia-institute.org》. The Asia Institute. 2015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11일에 확인함.
|websit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 Pak, Eugene (2011년 9월 1일). “Strategies for Promoting Successful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Convergence Technologies: A Consideration of the Korean Biomedical Field” (PDF). 《http://asia=institute.org》. Seoul National University Advanced Institutes of Convergence Technology. 2013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1일에 확인함.
|websit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 “Centre for Women in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as a UNESCO Centre, The Asia Institute Report”. 2015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8일에 확인함.
- ↑ Kim, Yea-rim (2011년 3월 22일). “Global Convergence Forum - ‘Industry Convergence is the Key’”. Korea IT Times. 2013년 2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