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아시아인스티튜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시아인스티튜트(영어: The Asia Institute)는 서울[1] 에 위치한 싱크탱크로, 아시아 내 정책, 인문학, 과학 분야의 전문가들 및 국제기구, 청소년 등의 연구와 활동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아시아인스티튜트는 기술의 발전, 환경 문제, 국제 관계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2][3] 진행한다.

아시아인스티튜트는 교육, 국제관계[4], 기후변화 등에 관련된 정책 토론에 있어 차세대와 학생들의 참여를 권장하며, 광범위하게 젊은 청년들과 고등학생 및 대학생들과 함께 일한다.[3] 아시아인스티튜트는 기술적 진화가 가져다 주는 긍정적 가능성 및 위험 요소와 환경 위기에 대한 연구에 집중해 왔다. 특히 환경 위기와 관련하여 아시아인스티튜트는 카이스트와의 협력 하에 대전환경포럼을 설립하였다.[4][5]

2012년 아시아인스티튜트는 각종 보고서, 기고문, 인터뷰들을 편찬하였고, 벤자민 바버, 노암 촘스키, 프란시스 후쿠야마, 로리 윌킨슨 등 세계 석학들과 의 대화 바탕으로 출판하기도 하였다.[1] 아시아인스티튜 소장은 경희대학교 부교수로 재직중인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이다.[3][1]

역사[편집]

Presenters at The Asia Institute seminar.

아시아인스티튜트는 2007년에 설립되었으며, 본래 대전 우송대학교 솔브릿지 국제경영대학과의 협력 하에 설립되었다.[6]

아시아인스티튜트는 일련의 보고서를 출판하였으며[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서울대학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와의 협력 하에 수행한 기술 관련 연구에 기반하여 각종 세미나와 콘퍼런스를 개최하였다.[8][9][10][11]

주요활동[편집]

아시아인스티튜트는 2008년 10월 제 12회 동북아 제한적 비핵지대화 총회를 개최하였다. 아시아인스티튜트는 2009년 카이스트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협력 하에 대전환경포럼을 개최하였고, 2011년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의 협력 하에 대전컨버전스포럼을 개최하였다.[12]

각주[편집]

  1. Pastreich, Emanuel (2012). 《Selected Publications of The Asia Institute》. Seoul: The Asia Institute. 4쪽. ISBN 978-89-969848-0-1. 
  2. “동북아 갈등, 장기적 대응 병행해야”. 《http://www.ytn.co.kr/》. YTN News. 2012년 11월 3일. 2012년 11월 3일에 확인함.  |websit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3. Arvind, Subadra (2012년 12월 1일). “A new kind of scholar breaks ground in Korea”. Asia Times Online. 2016년 3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2일에 확인함. 
  4. Simon, Ian D. (2011). “Plans of Mice and Men: From Bench Science to Science Policy”. 《Yale J. Biol. Med.》 (Yale University) 84 (3): 237–242. 201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5. Pastreich, Emanuel; Feffer, John (2008년 6월 17일). “Policy Forum 08-047: Wenchuan as Eco-City”. 《http://nautilus.org/》. Nautilus. 2012년 2월 11일에 확인함.  |websit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6. Weigand, Matthew (2011년 2월 7일). “An American in Daejeon: How a Literature Professor Ended Up Deep in Korean Policy and Business”. Korea IT Times. 2012년 10월 21일에 확인함. 
  7. Pastreich, Emanuel (2009년 10월 19일). “Approaches to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Korean Biotechnology”. 《http://www.bioin.or.kr/》. Biotech Information Portal. 2013년 2월 11일에 확인함.  |websit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8. Pastreich, Emanuel (2009년 10월 19일). “Approaches to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Korean Biotechnology”. 《http://www.bioin.or.kr/》. Biotech Information Portal. 2013년 2월 11일에 확인함.  |websit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9. Pastreich, Emanuel; Butakov, Sergey; Delorme, Michael (2010년 5월 1일). “The Asia Institute Report for the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A Survey of Nuclear Safety Infrastructure in Southeast Asia and Prospects for the Future” (PDF). 《http://asia-institute.org》. The Asia Institute. 2015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11일에 확인함.  |websit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0. Pak, Eugene (2011년 9월 1일). “Strategies for Promoting Successful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Convergence Technologies: A Consideration of the Korean Biomedical Field” (PDF). 《http://asia=institute.org》. Seoul National University Advanced Institutes of Convergence Technology. 2013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1일에 확인함.  |websit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1. “Centre for Women in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as a UNESCO Centre, The Asia Institute Report”. 2015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8일에 확인함. 
  12. Kim, Yea-rim (2011년 3월 22일). “Global Convergence Forum - ‘Industry Convergence is the Key’”. Korea IT Times. 2013년 2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