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심근병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심근병증
진료과심장학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심근병증(心筋症, cardiomyopathy)은 심근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들의 모임이다.[1] 초기에는 증상이 적거나 없을 수 있다.[2] 질환이 악화되면 심부전의 결과로 호흡곤란, 피로, 다리의 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2] 불규칙한 심장 박동인 부정맥이나 실신이 일어날 수도 있다.[2] 심근병증의 영향을 받은 환자는 심정지 위험성이 올라간다.[3]

심근병증의 유형에는 비후성 심근병증, 확장성 심근병증, 제한성 심근병증, 부정맥 유발성 우심실 이형성증, 상심 증후군(타코츠보 심근병증)이 있다.[4] 비후성 심근병증에서 심근은 비대해지고 두꺼워진다.[4] 확장성 심근병증에서 심실은 비대해지고 약해진다.[4] 제한성 심근병증의 심실은 뻣뻣해진다.[4]

많은 경우에서 원인을 밝히기 어렵다.[5] 비후성 심근병증은 유전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확장성 심근병증은 3분의 1의 경우에서 유전된다.[5] 또한 확장성 심근병증은 알코올, 중금속, 관상동맥질환, 코카인 사용,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5] 제한성 심근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에는 아밀로이드증, 철과잉증, 일부 암 치료 등이 있다.[5] 극도의 감정적, 정신적 스트레스는 상심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다.[4] 상심 증후군의 여러 원인에는 놀람, 가까운 사람의 죽음, 가정폭력, 심한 말다툼, 암 진단과 같은 좋지 않은 소식을 듣는 경우 등이 있다.[6]

치료는 심근병증의 유형과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달라진다.[7] 치료 방식에는 여러 생활 방식 개선, 약물 치료, 수술 등이 있다.[7] 수술에는 심실보조기구심장 이식이 있다.[7] 2015년 심근병증과 심근염은 250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다.[8] 비후성 심근병증은 500명 중 1명꼴로, 확장성 심근병증은 2,500명 중 1명꼴로 발병한다.[4][9] 1990년에는 294,000명이, 2015년에는 354,000명이 사망했다.[10][11] 부정맥 유발성 우심실 이형성증은 젊은 사람에서 더 잘 발생한다.[3]

증상 및 징후

[편집]
심전도에서 나타나는 부정맥의 일종인 심실세동.

심근병증의 증상에는 피로감, 하지의 부종, 운동 후 호흡곤란 등이 있을 수 있다.[12] 추가적인 증상에는 부정맥, 어지럼증, 기절도 있을 수 있다.[12]

원인

[편집]

심근병증은 심장에 국한되어 있는 질병으로 볼 수도 있으며, 전신성 질환으로 볼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종종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죽음이나 진행성 심부전과 관련된 기능 이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심장판막의 이상인 심장판막증 같이 심근의 기능 이상을 유발하는 다른 질환들은 심근병증에서 제외된다.[13] 기저 원인은 알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다수의 경우에서는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14] 가령 알코올 의존증, 약물 독성, 특정 감염(C형 간염 등)은 확장성 심근병증의 원인으로 확인되었다.[15][16][17] 치료되지 않은 셀리악병도 심근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시간 내에 적절히 진단한다면 심근병증까지는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18] 후천성 원인들에 더해, 분자생물학유전학은 심근병증의 다양한 유전적 원인을 인식할 수 있게 하고 있다.[16][19]

심근병증을 비후성, 확장성, 제한성으로 나누는 임상적 구분[20]은 일부 상태의 경우 질병이 발달하며 특정 단계에서 세 가지 경우 중 여러 가지의 양상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유지하기 힘들어졌다.

2012년 미국심장협회(AHA)의 정의는 심근병증을 심장에만 영향을 미치는 경우인 원발성(일차성)과 몸의 다른 부분의 문제가 심장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인 속발성(이차성)으로 나누었다. 이 구분은 여러 새로운 유전적, 분자생물학적 지식을 포함시켜 여러 하위 집단으로 다시 나누어졌다.[21]

기전

[편집]

심근병증의 병태생리학은 분자적 기술의 발달로 인해 세포 수준에서 더 잘 이해되어 있다. 돌연변이 단백질은 심장의 수축 기능이나 기계감수성 복합체를 방해할 수 있다. 심근세포의 대체와 심근세포가 세포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반응을 내보내면 갑작스러운 심정지나 다른 심장의 문제와 관련된 변화를 유발한다.[22]

치료

[편집]

상태를 더 잘 관리하기 위해 치료 시 삶의 방식을 바꾸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치료는 심근병증의 유형과 질환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치료의 종류에는 약물 치료(보존적 치료), 느려진 심박수 개선을 위한 의인성/이식형 인공심박조율기, 치명적인 심장 리듬을 막기 위한 이식형 제세동기, 심각한 심부전을 위한 심실보조장치(VAD), 약물이나 기계적 제세동으로 제거되지 않는 재발 부정맥을 치료하기 위한 심장절제술 등이 있다. 치료의 목표는 종종 증상 완화일 수 있으며, 몇몇 환자들은 결국 심장 이식이 필요할 수 있다.[12]

각주

[편집]
  1. “What Is Sudden Cardiac Arrest?”. 《NHLBI》. 2016년 6월 22일. 2016년 8월 16일에 확인함. 
  2. “What Are the Signs and Symptoms of Cardiomyopathy?”. 《NHLBI》. 22 June 2016. 15 September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1 August 2016에 확인함. 
  3. “Who Is at Risk for Cardiomyopathy?”. 《NHLBI》. 22 June 2016. 16 August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1 August 2016에 확인함. 
  4. “Types of Cardiomyopathy”. 《NHLBI》. 22 June 2016. 28 July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1 August 2016에 확인함. 
  5. “What Causes Cardiomyopathy?”. 《NHLBI》. 22 June 2016. 15 September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1 August 2016에 확인함. 
  6. “Takotsubo cardiomyopathy (broken-heart syndrome)” (영어). 2010년 11월 1일. 2022년 5월 18일에 확인함. 
  7. “How Is Cardiomyopathy Treated?”. 《NHLBI》. 22 June 2016. 15 September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1 August 2016에 확인함. 
  8. GBD 2015 Disease and Injury Incidence and Prevalence, Collaborators. (2016년 10월 8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545–1602. doi:10.1016/S0140-6736(16)31678-6. PMC 5055577. PMID 27733282. 
  9. 《Practical Cardiovascular Patholog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 148쪽. ISBN 9781605478418. 14 September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0. GBD 2015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2016년 10월 8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459–1544. doi:10.1016/s0140-6736(16)31012-1. PMC 5388903. PMID 27733281. 
  11. GBD 2013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2014년 12월 17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385 (9963): 117–71. doi:10.1016/S0140-6736(14)61682-2. PMC 4340604. PMID 25530442. 
  12. “What Are the Signs and Symptoms of Cardiomyopathy? - NHLBI, NIH”. 《www.nhlbi.nih.gov》. 28 July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5 July 2016에 확인함. 
  13. Lakdawala, NK; Stevenson, LW; Loscalzo, J (2015). 〈Chapter 287〉. Kasper, DL; Fauci, AS; Hauser, SL; Longo, DL; Jameson, JL; Loscalzo, J.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9판. McGraw-Hill. 1553쪽. ISBN 978-0-07-180215-4. 
  14. 《Pathophysiology of heart disease : a collaborative project of medical students and faculty》. Lilly, Leonard S., Harvard Medical School. 5판. Baltimore, MD: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1. ISBN 978-1605477237. OCLC 649701807. 
  15. Adam A, Nicholson C, Owens L (2008). “Alcoholic dilated cardiomyopathy.”. 《Nurs Stand》 (Review) 22 (38): 42–7. doi:10.7748/ns2008.05.22.38.42.c6565. PMID 18578120. 
  16. Westphal JG, Rigopoulos AG, Bakogiannis C, Ludwig SE, Mavrogeni S, Bigalke B, 외. (2017). “The MOGE(S) classification for cardiomyopathies: current status and future outlook.”. 《Heart Fail Rev》 (Review) 22 (6): 743–752. doi:10.1007/s10741-017-9641-4. PMID 28721466. S2CID 36117047. 
  17. Domont F, Cacoub P (2016). “Chronic hepatitis C virus infection, a new cardiovascular risk factor?”. 《Liver Int》 (Review) 36 (5): 621–7. doi:10.1111/liv.13064. PMID 26763484. 
  18. Ciaccio EJ, Lewis SK, Biviano AB, Iyer V, Garan H, Green PH (2017). “Cardiovascular involvement in celiac disease.”. 《World J Cardiol》 (Review) 9 (8): 652–666. doi:10.4330/wjc.v9.i8.652. PMC 5583538. PMID 28932354. 
  19. Simpson S, Rutland P, Rutland CS (2017). “Genomic Insights into Cardiomyopathies: A Comparative Cross-Species Review.”. 《Vet Sci》 (Review) 4 (1): 19. doi:10.3390/vetsci4010019. PMC 5606618. PMID 29056678. 
  20. Valentin Fuster; John Willis Hurst (2004). 《Hurst's the heart》. McGraw-Hill Professional. 1884–쪽. ISBN 978-0-07-143225-2. 27 May 2013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1 November 2010에 확인함. 
  21. McCartan C, Maso R, Jayasinghe SR, Griffiths LR (2012). “Cardiomyopathy Classification: Ongoing Debate in the Genomics Era”. 《Biochem Res Int》 2012: 796926. doi:10.1155/2012/796926. PMC 3423823. PMID 22924131. 
  22. Harvey, Pamela A.; Leinwand, Leslie A. ( 8 August 2011). “Cellular mechanisms of cardiomyopathy”. 《The Journal of Cell Biology》 194 (3): 355–365. doi:10.1083/jcb.201101100. ISSN 0021-9525. PMC 3153638. PMID 21825071.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