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신성한 쌍둥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성한 쌍둥이
소속남신
신앙 중심지얌나야
상징백마
탈것전차
지역얌나야 문화권
민족원시 인도유럽인
부모디에우스 파테르, 데곰
형제자매하우소스, 페르쿠노스
그리스 동등신디오스쿠로이
힌두 동등신아슈빈(디보 나파타)
발트 동등신아슈비에니아이
디에바 데리(라트비아)
디에보 수네리아이(리투아니아)

신성한 쌍둥이(Divine Twins)는 원시 인도유럽 신화천공신 디에우스의 아들이며 보호와 치유의 역할을 지닌 쌍둥이 신들이다.[1] 동시에 이 신성한 쌍둥이에서 파생된 여러 인도유럽 신화의 쌍둥이 신격들을 가리키기도 한다.

이름

[편집]

신성한 쌍둥이의 인도유럽조어 이름은 현재 남아있는 언어적 증거에 근거하여 확실하게 추정할 수는 없지만, 전례적이고 시적인 전통에서 디에우스 신의 젊은 아들"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던 것만은 확실하다.[1][2][3]

신성한 쌍둥이에서 파생된 신격들 중에서도 가장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신들인 인도 신화아슈빈발트 신화의 아슈비니아는 인도유럽조어로 말을 의미하는 h₁éḱwos에서 유래한 단어로 추측되고 있으며, 이 단어는 산스크리트로 áśva 및 아베스타어로 aćua에 리투아니아어로 아슈바 (ašva)로 파생되었으며 모두 암말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4][5]

역할

[편집]

전쟁터나 바다 같은 위험한 장소에 있는 인간을 구출하는 역할을 하는 신성한 쌍둥이는 하늘을 가로질러 태양 전차를 끌어 당기는 말을 타는 기수나 말 자체로 묘사되었다.[2] 쌍둥이는 새벽의 여신인 하우소스와 남매 관계이며,[6] 일반적으로 위험한 상태에 처한 자를 기적의 전차로 인도하는 치료사와 조력자로 묘사된다.[1] 또한 이 둘은 서로 차별화되기도 하는데, 하나는 육체적으로 강하고 공격적인 전사로 묘사되는 반면, 다른 하나는 치유자로 묘사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3]

대부분의 인도유럽 신화에서 신성한 쌍둥이는 아침과 저녁 별의 의인화로 나타난다.[1] 또한 이들은 태양의 여신이나 새벽의 여신의 동반자로 나타나며, 이런 속성을 지닌 쌍둥이 신들은 대부분의 이야기에 새벽 또는 태양의 여신을 위협으로부터 구해낸다.[2][3]

밤에 쌍둥이들은 황금 전차를 타고 동쪽으로 돌아 왔으며, 그들은 매일 아침 하늘로 태양을 되찾기 위해 바다[7]를 지나갔다. 청동기 시대에 접어들면서 신성한 쌍둥이는 주로 태양 전차를 끄는 기수들로 묘사되었다.[6]

해당신격

[편집]
디오스쿠로이를 기병으로 묘사한 조각상

원시 인도유럽 신화에서 파생된 여러 인도유럽 신화들 중에서도 그리스 신화, 인도 신화, 발트 신화등은 새벽의 여신 또는 태양의 여신과 관련된 신성한 쌍둥이의 신격이 존재하며, 비록 그들의 이름이 완전한 언어적 관계를 형성하지는 않지만, 천공신의 아들 또는 손자 이름로 이어지는 유사한 동계어를 공유한다.[2][3][1]

각주

[편집]
  1. Jackson 2002.
  2. West 2007.
  3. Mallory & Adams 1997.
  4. Derksen 2015.
  5. Lubotsky, Alexander. "Indo-Aryan Inherited Lexicon". Indo-European Etymological Dictionary Project. Leiden University. See entry áśva- (online database).
  6. Mallory & Adams 2006.
  7. West 2007, 191쪽.
  8. Beekes 2011.
  9. Parpola 2015.

참고 자료

[편집]

Derksen, Rick (2015).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Baltic Inherited Lexicon》 (영어). Brill. ISBN 978-90-04-27898-1. 

  • Frame, Douglas (2007). “Hippota Nestor”. Greek Mythology and Poetics. Harvard University. 2020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30일에 확인함. 
  • Frame, Douglas. “Achilles and Patroclus as Indo-European Twins: Homer's Take”. Greek Mythology and Poetics. Harvard University. 2020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30일에 확인함. 
  • Goetinck, Glenys,“신성한 쌍둥이와 중세 웨일스 문학”: Hily, Gaël, Patrice Lajoye, Joël Hascoët (eds. ), Deuogdonion : mélanges는 l' honneur du professeur Claude Sterckx, Publication du CRBC Rennes 2, Rennes : Tir, 2010을 제공합니다. 259–276.
  • Joseph, Brian D. (1983). “Old English Hengest as an Indo-European Twin Hero”. 《The Mankind Quarterly》 24: 105–115. 
  • Nagy, Gregory. “Achilles and Patroklos as models for the twinning of identity”. Greek Mythology and Poetics. Harvard University. 2020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30일에 확인함. 
  • Nagy, Gregory (1990). “Patroklos "Concepts of afterlife, and the Indic triple fire" and "Phaethon, Sappho's Phaon, and the White Rock of Leukas: 'Reading' the symbols of Greek lyric". Greek Mythology and Poetics. Harvard University. 2020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30일에 확인함. 
  • Nikolaev, Alexander (2012). “Avestan Haēcat̰.aspa-, Rigveda 4.43, and the Myth of the Divine Twins”.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132 (4): 567–575. doi:10.7817/jameroriesoci.132.4.0567. ISSN 0003-0279. JSTOR 10.7817/jameroriesoci.132.4.0567. 
  • Ward, Donald (1968). 《The Divine Twins: An Indo-European myth in Germanic tra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워커, 헨리 존 쌍둥이 말 신 : 고대 세계 신화의 Dioskouroi . 런던 : IB Tauris, 2015, 271 pp.
  • 워커, 헨리 존 그리스 애쉬 빈.에서 : Bhandarkar 동양 연구소의 연대기. Vol. 88 (2007), 99-118 쪽.
  • Wikander, S. Nakula et Sahadeva . Orientalia Suecana 6 (1957). 66-96 쪽.
  • 앨버로, 마누엘 Las tres funciones dumezilianas y el mito de los mellizos divinos de la tradición indoeuropea en el Compendio Historial de Diego Rodríguez Almela . En la España Medieval (27). 2004. pp. 317–337. ISSN 0214-3038 ISSN   0214-3038
  • 크루 타, 바츨라프 "«Têtes jumelées»및 jumeaux divins : essai d' iconographie celtique".에서 : Études Celtiques, vol. 42, 2016. 33-57 쪽. [DOI : https://doi.org/10.3406/ecelt.2016.2468 ]; [www.persee.fr/doc/ecelt_0373-1928_2016_num_42_1_2468]
  • B, "De quelques jumeaux indo-européens"토 피크.에서 : Revue freudienne, numéro 22 (50). 1992. pp. 205-238.
  • 비앙키, 미국 "I Dioscuri : una versione della coppia divina".에서 : 이탈리아의 Il senso del culto dei Dioscuri. Atti del Convegno svoltosi는 Taranto nell'aprile del 1979 . 23-40 쪽. 1979
  • York, M. "셀틱 판테온의 신성한 쌍둥이".에서 : 인도 유럽 학 저널 (JIES). 23 권 (1-2). 1995. pp. 83–112.
  • Frauenfelder, DW 스파르탄 디오스 쿠리 : 그리스 세계에서의 기원과 발전 . 노스 캐롤라이나 대학교. 1991.
  • Grottanelli, C. "요크 드 말, 쌍둥이 및 강력한 숙녀 : 인도, 그리스, 아일랜드 및 다른 곳".에서 : Indo-European Studies (JIES) 14 (1-2), 1986년 .pp. 125–152.
  • Ward, DJ "인도-유럽 신 쌍둥이의 분리 된 기능".에서 : Puhvel, J. (ed. ). 인도 유럽인의 신화와 법. 인도-유럽 비교 신화 연구 . 버클리 – 로스 앤젤레스 – 런던. 1970. 193-202 쪽.
  • Hankoff LD (1977). 치유의 신이 쌍둥이 인 이유 예일 생물학과 의학 저널, 50 (3), 307–319.
  • Danka, 이그나시 Ryszard & Witczak, Krzysztof Tomasz. 2010. DEIS EQUEUNUBO – Asturia의 신성한 쌍둥이. Stalmaszczyk, Piotr & fomin, Maxim (eds. ), 셀틱스의 차원과 범주 : 언어 연구. (Studia celto-Slavica 4), 17-26. 우치 : 우치 대학교 출판부.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