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훈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훈족 또는 백후나족후나족 또는 시온족의 하위 집단이다. 백훈족은 때때로 에프탈과 동의어로 간주되지만 다른 부족도 포함했을 수 있다. 그들은 북인도, 특히 펀자브 지역을 정복하고 점령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1][2]

역사[편집]

동로마, 인도, 중국, 아랍-페르시아인, 아르아메니아어 및 기타 서면 자료에서 백훈족 또는 에프탈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이러한 정보의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에프탈에 의해 만들어진 국가들의 역사에 대한 많은 질문들은 과학자들에 의해 다른 그리고 종종 반대의 관점에서 고려된다. 중국 정사 작가들은 동튀르키스탄(투루판) 지역을 에프탈의 고향이라고 부른다. 이 정보에 따르면 에프탈은 유연이라는 이웃 부족과의 충돌로 인해 그곳에서 쫓겨났다. 에프탈은 백훈족과 적훈족 두 그룹으로 나뉜다. 후자의 이름은 붉은 머리장식, 붉은 갑옷, 붉은 깃발에서 유래했다. 이 집단들이 연방의 일부인 다른 부족이었는지, 아니면 단일 부족 연합의 일부였던 다민족 집단이었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에프탈은 이란 계통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었다. 그들의 언어는 동이란 그룹에 속했지만 이란어를 사용하는 다른 민족의 언어와 다소 달랐다. 토하리스탄의 소유지에서, 에프탈의 공식적인 공용어는 박트리아어였다. 박트리아어 제목은 에프탈 동전의 전설에서 읽힌다. 에프탈의 글쓰기는 쿠샨의 기초 위에서 발전했다. 에프탈 문자의 기념물은 거의 남은 것이 없다. 여기에는 장테페의 조각에 새겨진 글귀, 카르즈데페의 낙서, 아프라시압 비문이 포함된다.[3]

라틴어와 시리아어 문헌에서는 키오니아인, 키다라인(쿠샨족), 에프탈인을 백훈족이라고 불렀다. 여기에는 누사이빈에 사는 카두시이족이 포함되었다. 카스피인과 카두시이인의 동일성을 고려하면, 누사이빈 카두시이인과 키오니아인, 에프탈인은 히르카니아 카두시이인 또는 카스피인의 후계자로 볼 수 있다.. ", 이는 무나짐바시의 "알란과 사리르" 또는 "알란과 루스"에 해당한다. 따라서, 훈족과 혼동되지 않고 "마스쿠트" 또는 "마사-훈족"과 동일시되는 "캅카스 훈족"은 코카서스의 군사 무역 식민지와 관련된 히르카니아인들과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4]

에프탈인 부족들은 중앙아시아, 특히 트랜스 카스피 해와 아무다리야 강 상류 지역에서 아랍어와 페르시아어를 사용하는 작가들이 하이탈(타바리, 마수디, 페르도우시 등)이라는 이름으로 기록하고 있다. 아르메니아 역사학자들은 에프탈 사람들에 대해 반복적으로 언급하는데, 그들의 이름을 이달리안, 이달 또는 하이탈로 옮겨 적는다. 바르다펫은 헤일런이라는 용어를 가지고 있다. 가자르 파르페치 (5세기 말)은 그들의 명칭에 에프탈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 시리아의 미카엘 (9세기)은 테달과 테달치가 사용되었다. 마르크와르트는 또한 아르메니아어로 카디스크 - 카두시이를 에프탈 사람들의 이름 중 하나로 언급했다.[5]

마르크와르트는 아르메니아 사료의 "카티스크"라는 카디제니를 여러 번 기억한 백훈족과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이 카두시이 또는 카디세니는 페르시아의 헤라트 지방을 점령했다. 처음에 마르크와르트는 그것들을 시온족 또는 에프탈족으로 간주할지 의심했지만 그의 작업에서 에프탈로 간주했다. 시리아 작가인 안티오키아의 이삭은 퀴디샤예가 누사이빈 근처에 있다고 말한다. 놀데케는 그들을 쿠르드족의 친척으로 여겼고, 그의 생각에 그들은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었다. 현존하는 안티오키아의 요한의 조각에는 카두시이족이 훈족에 속했다는 증거가 있다. 이 증거는 카두시이족이 백훈족으로부터 물려받았음을 시사한다.[6]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Dignas, Assistant Professor of History Beate; Dignas, Beate; Winter, Engelbert (2007년 9월 13일). 《Rome and Persia in Late Antiquity: Neighbours and Rivals》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97쪽. ISBN 978-0-521-84925-8. 
  2. Goldsworthy, Adrian; Ltd, Dr Adrian Goldsworthy (2009년 4월 2일). 《The Fall Of The West: The Death Of The Roman Superpower》 (영어). Orion. ISBN 978-0-297-85760-0. 
  3. Брыкина, Г. А. (1999). 《Средняя Азия и Дальний Восток в эпоху средневековья: Средняя Азия в раннем средневековье》 (러시아어). Наука. 12쪽. ISBN 978-5-02-008617-3. 
  4. Kljaštornyj, Sergej G.; Mustafaev, Shaid Medzhid ogly (2009). 《"Дорога Страбона" как часть Великого Шелкового пути: материалы Международной конференции, Баку, 28-29 ноября 2008 г.》 (러시아어). Mezhdunarodnyĭ institut t︠s︡entralʹnoaziatskikh issledovaniĭ. 131쪽. ISBN 978-9943-357-04-4. 
  5. Bernshtam, Aleksandr Natanovich (1951). 《Очерк истории гуннов》 (러시아어). Изд-во Ленинградского гос. университета. 184쪽. 
  6. Пигулевская, Нина Викторовна (1941). 《Сирийские источники по истории народов СССР》 (러시아어). Изд-во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ССР. 4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