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유로파

52 유로파 ![]() 52 Europa | |
![]() 2분 노출을 통해 촬영한 유로파. 글자 E 왼쪽 바로 아래에 있는 밝은 별이 유로파이다. | |
발견 | |
---|---|
발견자 | 헤르만 골드슈미츠 |
발견일 | 1958년 2월 4일 |
명칭 | |
어원 | 에우로페 |
궤도 성질 | |
궤도 긴반지름(a) | 3.101 |
근일점(q) | 2.785 |
원일점(Q) | 3.417 |
공전 주기(P) | 5.46 |
평균 공전 속도 | 16.87 |
궤도 경사(i) | 7.466 |
궤도 이심률(e) | 0.102 |
승교점 경도(Ω) | 128.992 |
근일점 편각(ω) | 343.553 |
평균 근점 이각(M) | 70.730 |
물리적 성질 | |
지름 | 315±7 km[1][2][3] |
평균 밀도 | 1.5 ± 0.4 g/cm³[1] |
질량 | 3.27×10[4] | 19
표면 중력 | ~0.14 m/s² |
탈출 속도 | ~0.2 km/s |
반사율 | 0.058[5] |
자전 주기 | 0.2347 일[6] |
겉보기등급 | 6.31 |
평균 온도 | ~173 K 최대: 258K (−15 °C)[7] |
52 유로파(영어: 52 Europa)는 소행성대에 있는 소행성 중 여섯 번째로 큰 소행성이며, 지름은 대략 315 km이다. 유로파는 가로 380 km, 세로 330 km, 높이 250 km의 타원체 모양이다.[1] 유로파는 헤르만 골드슈미츠가 1858년 2월 4일에 파리에 있는 자신의 발코니에서 발견하였다. 유로파의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에우로페의 이름을 땄으며, 목성의 위성 중 하나인 유로파와 이름의 유래가 같다.
물리적 성질[편집]
유로파는 여섯 번째로 부피가 큰 소행성이며, 밀도는 대략 1.5 g/cm³정도로 예상되어 C형 소행성으로 분류된다.[1] 2007년, 제임스 베어와 스티븐 체슬리는 유로파의 질량을 대략 (1.9±0.4)×10 19 kg으로 추산하였고,[2] 최근에는 유로파의 질량이 3.27×10 19 kg으로 추산되었다.[4]
유로파는 C형 탄소 소행성으로, C형 소행성 중에서는 두 번째로 크며, 대부분 탄소로 구성되어 있어 매우 어둡게 보인다.[8]. 유로파를 분광 분석한 결과, 감람석과 휘석이 표면에 존재한다는 증거를 발견하였고,[7] 표면 지역에 따라 구성 성분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증거 또한 존재한다.[9]
유로파는 히기에이아 군의 궤도 근처를 돌지만, 군에 포함되지는 않는다.[10]
유로파 광도곡선 자료는 특히 설명하기 난해하여, 여러 번의 관측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기간 동안 유로파의 자전 주기에 대한 논쟁이 벌어졌었다(당시 유로파의 자전 주기는 5.5 ~ 11시간 정도로 추산되고 있었다).[11] 현재 유로파는 역행 자전을 한다고 정의되었지만, 정확한 북극의 위치가 어디인지는 아직도 분명히 규정되지 못했다. 가장 상세한 분석에서는 유로파가 황도 좌표계 (β, λ) = (70°, 55°) 또는 (40°, 255°) 방향을 (오차범위 10° 가량으로) 가리킨다고 분석하였다.[12] 이 결과에서 유로파의 자전축 기울기는 각각 14° 또는 54°로 나타났다.
1988년, 마우나케아 천문대의 UH88 망원경을 이용하여 소행성 주변을 공전하는 위성이나 먼지를 찾으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아무것도 발견하지 못했다.[13]
관측 오인[편집]
1934년에 발견되었던 격변변광성 "물병자리 CV"는 사실 52 유로파를 잘못 확인한 것으로 밝혀졌다.[14]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Merline, W.J.; Drummond, J. D.; Carry, B.; P. M. Tamblyn; C. Dumas; M. Kaasalainen; A. Erikson; S. Mottola; J. Durech; G. Rousseau; R. Behrend; G. B. Casalnuovo; B. Chinaglia; J. C. Christou; C. R. Chapman; C. Neyman (2013년 1월 23일). “The Resolved Asteroid Program - Size, shape, and pole of (52) Europa”. arXiv:1301.5101.
- ↑ 가 나 Baer, James; Steven R. Chesley (2007년 12월 18일). “Astrometric masses of 21 asteroids, and an integrated asteroid ephemeris” (PDF). 《Celestial Mechanics and Dynamical Astronomy》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B.V. 2007) 100 (2008): 27–42. Bibcode:2008CeMDA.100...27B. doi:10.1007/s10569-007-9103-8. 2011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Helsingin yliopisto - Matematiikan ja tilastotieteen laitos” (PDF).
- ↑ 가 나 Baer, James (2010년 12월 10일). “Recent -Asteroid Mass Determinations”. 2013년 7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Tedesco, Edward F.; Noah, Paul V.; Noah, Meg; Price, Stephan D. (2002). “The Supplemental IRAS Minor Planet Survey”. 《The Astronomical Journal》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123 (2): 1056–1085. Bibcode:2002AJ....123.1056T. doi:10.1086/338320. ISSN 1538-3881.
- ↑ “Archived copy”. 2006년 6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1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Dotto, E.; T.G. Muller; M.A. Barucci; Th. Encrenaz; R.F. Knacke; E. Lellouch; A. Doressoundiram; J. Crovisier; J.R. Brucato; L. Colangeli; V. Mennella (1999년 6월 22일). “ISO results on bright Main Belt asteroids: PHT–S observations” (PDF). 《Astronomy & Astrophysics》 358: 1133. Bibcode:2000A&A...358.1133D. 2005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Join NASA in Measuring an Asteroid”. 《NASA Talk!》. 2011년 7월 3일.
- ↑ Sawyer, Scott Raleigh (1991년 1월 1일). “A High-Resolution CCD Spectroscopic Survey of Low-Albedo Main Belt Asteroids.”. 《Ph.D. Thesis》 – NASA ADS 경유.
- ↑ Linda T. Elkins-Tanton; Benjamin P. Weiss (2017). 《Planetesimals: Early Differentiation and Consequences for Plane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Zappalà, V.; di Martino, M.; Cacciatori, S (1983년 11월). “On the ambiguity of rotational periods of asteroids: The peculiar case of 52 Europa”. 《Icarus》 56 (2): 319–324. Bibcode:1983Icar...56..319Z. doi:10.1016/0019-1035(83)90041-6.
- ↑ Michałowski, T (2004). “Photometry and models of selected main belt asteroids I. 52 Europa, 115 Thyra, and 382 Dodona” (PDF). 《Astronomy & Astrophysics》 416: 353–366. Bibcode:2004A&A...416..353M. doi:10.1051/0004-6361:20031706.
- ↑ Gradie, J.; Flynn, L. (1988년 3월), “A Search for Satellites and Dust Belts Around Asteroids: Negative Results”, 《Abstracts of the 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19, 405–406쪽, Bibcode:1988LPI....19..405G
- ↑ “Archived copy” (PDF). 2006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4월 29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편집]
- PDS 광도곡선 데이터
- Sawyer, S. R. (1991). 《A High-Resolution CCD Spectroscopic Survey of Low-Albedo Main Belt Asteroids PhD thesis》 (학위논문). The University of Texas.
- Schmeer, P.; M. L. Hazen (2000). “CV Aquarii identified with (52) Europa” [물병자리 CV 52 유로파로 확인되다] (PDF).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8: 103. 2006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영어) “Elements and Ephemeris for (52) Europa”.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26일에 확인함.
- (영어) 광도곡선에서 추정된 형태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