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미터 달리기

5000m 달리기는 올림픽과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종목 중 하나이다. 기본적으로 실외에서 치러지지만, 가끔 실내 5000m 달리기로도 행해진다.
세계 기록 추이[편집]
남자[편집]
IAAF 이전[편집]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장소 | 주석 및 기타 |
1 | 16분 34초 6 | 조르주 투케도니 | ![]() |
1897. 10. 31 | ![]() |
|||
2 | 16분 29초 2 | 조르주 투케도니 | ![]() |
1899. 5. 22 | ![]() |
|||
3 | 15분 29초 8 | 찰스 베넷 | ![]() |
1900. 7. 22 | ![]() |
|||
4 | 14분 59초 0 | 앨프리드 슈러브 | ![]() |
1904. 6. 13 | ![]() |
IAAF 시대[편집]
국제 아마추어 육상 경기 연맹 (현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이 남자 5000m 달리기 세계 기록을 공인하기 시작한 해는 1912년이다. 연맹이 공인한 첫 세계 기록은 한네스 콜레마이넨이 1912년에 14분 36초 6이다.[1]
2011년 7월 1일 기준으로,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이 공인한 이 종목 세계 기록은 모두 35개이다.[1]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장소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
1 | 14분 36초 6 | 한네스 콜레마이넨 | ![]() |
1912. 6. 10 / 10.07.1912 | Olympic Games | ![]() |
[1] | ||||
2 | 14분 35초 4 | 파보 누르미 | ![]() |
1922. 9. 12 | International / 385m track | ![]() |
[1] | ||||
3 | 14분 28초 2 | 파보 누르미 | ![]() |
1924. 6. 19 | Olympic Test | ![]() |
[1] | ||||
4 | 14분 17초 0 | 라우리 레티넨 | ![]() |
1932. 6. 19 | Olympic Qualification | ![]() |
[1] | ||||
5 | 14분 08초 8 | 타이스토 메키 | ![]() |
1939. 6. 16 | International | ![]() |
[1] | ||||
6 | 13분 58초 2 | Gunder Hägg | ![]() |
1942. 9. 20 | National | ![]() |
[1] | ||||
7 | 13분 57초 2 | 에밀 자코페크 | ![]() |
1954. 5. 30 | International | ![]() |
[1] | ||||
8 | 13분 56초 6 | 블라디미르 쿠츠 | ![]() |
1954. 8. 29 | European Championships | ![]() |
[1] | ||||
9 | 13분 51초 6 | 크리스 채터웨이 | ![]() |
1954. 10. 13 | London v. Moskva | ![]() |
[1] | ||||
10 | 13분 51초 2 | 블라디미르 쿠츠 | ![]() |
1954. 10. 23 | TCH v. URS | ![]() |
[1] | ||||
11 | 13분 50초 8 | Sandor Iharos | ![]() |
1955. 09. 10 | 헝가리-폴란드 육상 대회 | ![]() |
인민 경기장 | [1] | |||
12 | 13분 46초 8 | 블라디미르 쿠츠 | ![]() |
1955. 09. 18 | 10th anniversary meeting of the AK Partizan and AK Crvena clubs | ![]() |
[1] | ||||
13 | 13분 40초 6 | Sandor Iharos | ![]() |
1955. 09. 23 | 헝가리 육상 선수권 대회 | ![]() |
인민 경기장 | [1] | |||
14 | 13분 36초 8 | Gordon Pirie | ![]() |
1956. 06. 19 | International | ![]() |
[1] | ||||
15 | 13분 35초 0 | 블라디미르 쿠츠 | ![]() |
1957. 10. 13 | Pre-Olympic Meeting | ![]() |
[1] | ||||
16 | 13분 34초 8 | 론 클라크 | ![]() |
1965. 1. 16 | National | ![]() |
[1] | ||||
17 | 13분 33초 6 | 론 클라크 | ![]() |
1965. 2. 1 | International | ![]() |
[1] | ||||
18 | 13분 25초 8 | 론 클라크 | ![]() |
1965. 6. 4 | Compton Invitational | ![]() |
[1] | ||||
19 | 13분 24초 2 | Kipchoge Keino | ![]() |
1965. 11. 30 | International | ![]() |
[1] | ||||
20 | 13분 16초 6 | 론 클라크 | ![]() |
1966. 7. 5 | International | ![]() |
[1] | ||||
21 | 13분 16초 4 | Lasse Virén | ![]() |
1972. 9. 14 | International | ![]() |
[1] | ||||
22 | 13분 13초 0 | Emiel Puttemans | ![]() |
1972. 9. 20 | International | ![]() |
[1] | ||||
23 | 13분 12초 9 | Dick Quax | ![]() |
1977. 07. 05 | 제11회 DN 갈란 육상 대회 | ![]() |
[1] | ||||
24 | 13분 08초 4 | Henry Rono | ![]() |
1978. 4. 8 | Triangular Meet | ![]() |
[1] | ||||
25 | 13분 06초 20 | Henry Rono | ![]() |
1981. 09. 13 | International | ![]() |
[1] | ||||
26 | 13분 00초 41 | - 8.72초 | David Moorcroft | ![]() |
1982. 07. 07 | 제16회 비슬레트 게임스 | ![]() |
[1] | |||
27 | 13분 00초 40 | - 00.01초 | Saïd Aouita | ![]() |
1985. 07. 22 | 제19회 비슬레트 게임스 / GP | ![]() |
[1] | |||
28 | 12분 58초 39 | -2.01초 | Saïd Aouita | ![]() |
1987. 7. 27 | 골든 갈라 육상 대회 (*) | ![]() |
[1] | |||
29 | 12분 56초 96 | - 1.43초 | 하일레 게브르셀라시에 | ![]() |
1994. 06. 4 | FBK 육상 대회 | ![]() |
[1] | |||
30 | 12분 55초 30 | Moses Kiptanui | ![]() |
1995. 6. 6 | 골든 갈라 육상 대회 | ![]() |
[1] | ||||
31 | 12분 44초 39 | 하일레 게브르셀라시에 | ![]() |
1995. 08. 16 | 벨트클라세 취리히 | ![]() |
[1] | ||||
32 | 12분 41초 86 | - 2.53초 | 하일레 게브르셀라시에 | ![]() |
1997. 08. 13 | 벨트클라세 취리히 | ![]() |
[1] | |||
33 | 12분 39초 74 | - 2.12초 | Daniel Komen | ![]() |
1997. 08. 22 | 제9회 반 담 기념 육상 대회 | ![]() |
[1] | |||
34 | 12분 39초 36 | - 0.38초 | 하일레 게브르셀라시에 | ![]() |
1998. 06. 13 | Ericsson-Grand Prix / GP / IIAAF 그랑프리 육상 대회 | ![]() |
[1] | |||
35 | 12분 37초 35 | - 2.01초 | Kenenisa Bekele | ![]() |
2004. 05. 31 | FBK 육상 대회(IAAF 그랑프리) | ![]() |
[1] |
여자[편집]
| 캄보디아삼낭
|[2]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조 “12th IAAF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IAAF Statistics Handbook. Berlin 2009.” (pdf). Monte Carlo: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 Pages 546, 551쪽. 2009년 8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12th IAAF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IAAF Statistics Handbook. Berlin 2009.” (pdf). Monte Carlo: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 Pages 546, 643쪽. 2009년 8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