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 | |||||||||||||||||||||||||||||||
2018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 |||||||||||||||||||||||||||||||
| |||||||||||||||||||||||||||||||
| |||||||||||||||||||||||||||||||
지역별 득표 상황 | |||||||||||||||||||||||||||||||
|
2018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는 2018년 5월 7일 취임하는 러시아의 대통령을 선출한 선거이다. 선거 결과 블라디미르 푸틴이 재선하며 4선이 확정되었다.[1] 선거 운동은 2017년 12월부터 시작되었으며,[2] 2018년 3월 18일 선거가 치러졌다.[1]
2017년 12월 6일 블라디미르 푸틴 현직 대통령이 출마를 선언하였다. 이날 모스크바에서 열린 '2017 자원봉사자상' 시상식에서 곧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으며,[3] 이후 니즈니노브고로드의 GAZ 자동차 공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대선 출마 선언을 하였다.[2] 이어 12월 14일에 기자 회견을 통해 무소속으로 대선에 나서겠다고 밝혔다.[4] 여당인 통합러시아당은 12월 23일 전당 대회를 통해 푸틴을 지지하기로 하였다.[5]
푸틴에 앞서서 겐나디 주가노프,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 그리고리 야블린스키, 보리스 티토프, 크세니야 솝차크 등이 출마를 선언하였다.[2] 겐나디 주가노프는 러시아 연방 공산당 후보로 나설 예정이었으나, 고령을 이유로 파벨 그루디닌을 대신 추천하고 물러났다. 그루디닌은 후보 추대를 수락하고 공산당의 후보로 대선에 나선다.[5][6]
한편, 야권 지도자 중 한 명인 알렉세이 나발니는 지방 정부 고문 재직 시절에 일어난 횡령 사건과 관련한 유죄 판결로, 출마가 금지되었다. [7] 나발니가 12월 24일 후보 등록 서류를 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하였으나, 선거관리위원회 측이 나발니의 지지자 그룹의 등록을 거부[A]하고 나발니의 범죄 사실을 적시하여 출마 불가를 재확인하였다.[8]
후보[편집]
다음의 인물 등이 대선 출마 선언을 하였다.[2]
이름 | 사진 | 소속 정당 | 비고 |
---|---|---|---|
블라디미르 푸틴 | 직접 선거 63.6% 득표, 현직 대통령, 3선(3·4·6) | ||
파벨 그루디닌 | 겐나디 주가노프가 고령으로 인하여 물러나면서 후보로 추대됨. 첫 출마[5][6] | ||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 | 직접 선거 6.22% 득표 | ||
그리고리 야블린스키 (Grigory Yavlinsky) |
정치인[9] | ||
보리스 티토프 (Boris Titov) |
기업인, 기업인 권리 보호 담당 대통령 전권대표[2] | ||
크세니야 솝차크 (Ksenia Sobchak)[B] |
시민 발의당 | 방송인, 앵커 |
다음은 인물은 대선에서 물러났다.
이름 | 사진 | 소속 정당 | 비고 |
---|---|---|---|
겐나디 주가노프 | 직전 선거 17.18% 득표 고령을 이유로 파벨 그루디닌을 러시아 연방 공산당 후보로 추대하면서 물러났다.[5][6] |
여론조사[편집]
출구조사[편집]
조사기관 | ![]() |
![]() |
![]() |
![]() |
![]() |
![]() |
![]() |
![]() |
무효표 |
---|---|---|---|---|---|---|---|---|---|
푸틴 | 그루디닌 | 지리놉스키 | 솝차크 | 야블린스키 | 티토프 | 수라이킨 | 바부린 | ||
FOM | 76.3% | 11.9% | 6% | 2% | 1% | 0.7% | 0.7% | 0.6% | |
WCIOM | 73.9% | 11.2% | 6.7% | 2.5% | 1.6% | 1.1% | 0.8% | 1.0% | 1.2% |
결과[편집]
후보 | 정당 | 득표수 | % | |
---|---|---|---|---|
블라디미르 푸틴 | 무소속 | 56,430,712 | 76.69 | |
파벨 그루디닌 | 공산당 | 8,659,206 | 11.77 | |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 | 자유민주당 | 4,154,985 | 5.65 | |
크세니야 솝차크 | 시민 발의당 | 1,238,031 | 1.68 | |
그리고리 야블린스키 | 야블로코 | 769,644 | 1.05 | |
보리스 티토프 | 우익활동당 | 556,801 | 0.76 | |
막심 수라이킨 | 러시아 공산당 | 499,342 | 0.68 | |
세르게이 바부린 | 러시아 인민 동맹 | 479,013 | 0.65 | |
무효/기권 | 791,258 | 1.08 | ||
합계 | 73,578,992 | 100.00 | ||
유효표/투표율 | 109,008,428 | 67.50 | ||
등록 유권자 수: CEC, RBC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내용
- 출처
- ↑ 가 나 유철종; 박인영 (2018년 3월 19일). “푸틴, 4기 도전 대선서 76.66% 득표율로 압승…역대 최고 기록(종합2보)”. 《연합뉴스》 (모스크바, 서울). 2018년 3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유철종 (2017년 12월 6일). “푸틴 대통령, 4기 도전 내년 3월 대선 출마 공식 선언(종합2보)”. 《연합뉴스》 (모스크바). 2017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하준수 (2017년 12월 6일). “푸틴 “내년 대선 출마 여부 결정 조만간 내릴 것””. 《KBS 뉴스》. 2017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유철종 (2017년 12월 14일). “푸틴 "내년 대선에 무소속 출마…야권, 긍정적 공약 제시해야"”. 《연합뉴스》 (모스크바). 2017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유철종 (2017년 12월 24일). “러 여당, 전당대회서 내년 대선 출마 푸틴 지지 표명”. 《연합뉴스》 (모스크바). 2017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동정민 (2017년 12월 26일). ““내년 러시아 대선, 푸틴 말고 우리도 있다””. 《동아일보》. 2017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하준수 (2017년 12월 26일). “러 선관위, 푸틴 정적 러 야권 지도자 나발니 대선 출마 불허”. 《KBS 뉴스》. 2017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여인옥. “反푸틴 야당 후보, 대선 출마 좌절”. 《뉴스1》 (서울). 2017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유철종 (2017년 10월 19일). “대선 출마 선언 러 여성 방송인 소브착 "푸틴에도 출마 알렸다"(종합)”. 《연합뉴스》 (모스크바). 2017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유철종 (2017년 11월 9일). “대선 출마 선언 러 여성 방송인 소브착 "서방 대러 제재 지지"”. 《연합뉴스》 (모스크바). 2017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2018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