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Athletics pictogram.svg

Leichtathletik bei den
XI. Olympischen Sommerspielen
개최국 독일 독일
개최 도시 베를린
개최 기간 8월 2일 ~ 9일
경기장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
참가국 43개국
참가 선수 776명
세부 종목 29개 종목 (남자: 23개, 여자: 6개)
« 1932
1948 »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Athletics pictogram.svg
올림픽 예선
트랙 종목
100m 남자 여자
200m 남자
400m 남자
800m 남자
1500m 남자
5000m 남자
10000m 남자
80m 허들 여자
110m 허들 남자
400m 허들 남자
3000m 장애물 남자
400m 계주 남자 여자
1600m 계주 남자
도로 종목
마라톤 남자
50km 경보 남자
필드 종목
멀리뛰기 남자
세단뛰기 남자
높이뛰기 남자 여자
장대높이뛰기 남자
포환던지기 남자
원반던지기 남자 여자
창던지기 남자 여자
해머던지기 남자
복합 종목
10종 남자

제11회 하계 올림픽 육상 경기는 1936년 8월 2일부터 8월 9일까지 진행되었고, 43개국에서 선수 776명이 참가하였다.

경기장[편집]

도시 경기장 원어명 로마자 비고
베를린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 Olympiastadion Berlin Berlin Olympic Stadium

메달 집계[편집]

Olympic Rings black.svg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메달 집계
순위 국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합계
1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14 7 4 25
2 Flag of Germany (1935–1945).svg 독일 5 4 7 16
3 Flag of Finland.svg 핀란드 3 5 2 10
4 Flag of the United Kingdom (1-2).svg 영국 2 5 0 7
4 Flag of Japan (1870–1999).svg 일본[1] 2 2 3 7
6 Flag of Italy (1861–1946).svg 이탈리아 1 2 2 5
7 Flag of New Zealand.svg 뉴질랜드 1 0 0 1
7 Flag of Hungary (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1 0 0 1
9 Flag of Poland (1927–1980).svg 폴란드 0 2 1 3
10 Flag of Canada (1921–1957).svg 캐나다 0 1 3 4
11 Flag of Switzerland.svg 스위스 0 1 0 1
12 Flag of the Netherlands.svg 네덜란드 0 0 2 2
12 Flag of Sweden.svg 스웨덴 0 0 2 2
14 Flag of Latvia.svg 라트비아 0 0 1 1
14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0 0 1 1
14 Flag of the Philippines (navy blue).svg 필리핀 0 0 1 1
합계 29 29 29 87

메달리스트[편집]

볼마리 이소홀로
종목
남자 100m
자세히
제시 오언스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랠프 멧칼프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티뉘스 오센다르프
Flag of the Netherlands.svg 네덜란드
남자 200m
자세히
제시 오언스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맥 로빈슨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티뉘스 오센다르프
Flag of the Netherlands.svg 네덜란드
남자 400m
자세히
아치 윌리엄스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갓프레이 브라운
Flag of the United Kingdom (1-2).svg 영국
제임스 루발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남자 800m
자세히
존 우드러프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마리오 란치
Flag of Italy (1861–1946).svg 이탈리아
필 에드워즈
Flag of Canada (1921–1957).svg 캐나다
남자 1500m
자세히
잭 러블록
Flag of New Zealand.svg 뉴질랜드
글렌 커닝험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루이지 베칼리
Flag of Italy (1861–1946).svg 이탈리아
남자 5000m
자세히
군나르 회케르트
Flag of Finland.svg 핀란드
라우리 레흐티넨
Flag of Finland.svg 핀란드
헨리 욘손
Flag of Sweden.svg 스웨덴
남자 10000m
자세히
일마리 살미넨
Flag of Finland.svg 핀란드
아르보 아스콜라
Flag of Finland.svg 핀란드
볼마리 이소홀로
Flag of Finland.svg 핀란드
남자 허들 110m
자세히
포레스트 타운스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돈 핀레이
Flag of the United Kingdom (1-2).svg 영국
프리츠 폴러드 주니어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남자 허들 400m
자세히
글렌 허딘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존 로링
Flag of Canada (1921–1957).svg 캐나다
미겔 화이트
Flag of the Philippines (navy blue).svg 필리핀
남자 3000m 장애물
자세히
볼마리 이소홀로
Flag of Finland.svg 핀란드
카를로 투오미넨
Flag of Finland.svg 핀란드
알프레드 돔퍼트
Flag of Germany (1935–1945).svg 독일
남자 400m 계주
자세히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USA)
랠프 멧칼프
제시 오언스
포이 드라퍼
프랭크 와이코프
Flag of Italy (1861–1946).svg 이탈리아 (ITA)
엘리오 라그니
오라치오 마리아니
지아니 칼다나
툴리오 고넬리
Flag of Germany (1935–1945).svg 독일 (GER)
게르트 호른베르거
빌헬름 라이슘
에르빈 길마이스터
에리히 보르슈메이어
남자 1600m 계주
자세히
Flag of the United Kingdom (1-2).svg 영국 (GBR)
프리디 월프
갓프레이 램플링
빌 로버츠
갓프레이 브라운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USA)
로버트 영
알프레드 피치
에드워드 오브리엔
해럴드 커글
Flag of Germany (1935–1945).svg 독일 (GER)
루돌프 하르비크
프리에드리히 폰 스튈프나겔
하리 보이트
헬무트 하만
남자 마라톤
자세히
손기정[2]
Flag of Japan (1870–1999).svg 일본
어네스트 허퍼
Flag of the United Kingdom (1-2).svg 영국
남승룡[2]
Flag of Japan (1870–1999).svg 일본
남자 50km 경보
자세히
해럴드 휘틀록
Flag of the United Kingdom (1-2).svg 영국
아르투르 텔 슈바브
Flag of Switzerland.svg 스위스
아달베르츠 부벤코
Flag of Latvia.svg 라트비아
남자 멀리뛰기
자세히
제시 오언스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루츠 롱
Flag of Germany (1935–1945).svg 독일
다지마 나오토
Flag of Japan (1870–1999).svg 일본
남자 세단뛰기
자세히
다지마 나오토
Flag of Japan (1870–1999).svg 일본
하라다 마사오
Flag of Japan (1870–1999).svg 일본
잭 멧칼프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남자 높이뛰기
자세히
코넬리어스 존슨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데이브 알브리턴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델로스 더버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남자 장대높이뛰기
자세히
얼 미도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니시다 슈헤이
Flag of Japan (1870–1999).svg 일본
오에 수에오
Flag of Japan (1870–1999).svg 일본
남자 포환던지기
자세히
한스 뵐케
Flag of Germany (1935–1945).svg 독일
술로 배를룬
Flag of Finland.svg 핀란드
게르하르트 슈퇴크
Flag of Germany (1935–1945).svg 독일
남자 원반던지기
자세히
켄 카펜터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고든 던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조르조 오베르베게르
Flag of Italy (1861–1946).svg 이탈리아
남자 창던지기
자세히
게르하르트 슈퇴크
Flag of Germany (1935–1945).svg 독일
위료 니카넨
Flag of Finland.svg 핀란드
칼레르보 토이보넨
Flag of Finland.svg 핀란드
남자 해머던지기
자세히
카를 하인
Flag of Germany (1935–1945).svg 독일
에르빈 클라스크
Flag of Germany (1935–1945).svg 독일
프레드 바른고르드
Flag of Sweden.svg 스웨덴
남자 10종
자세히
글렌 모리스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밥 클라크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잭 파커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여자 100m
자세히
헬렌 스티븐스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스타니스와바 발라시에비치
Flag of Poland (1927–1980).svg 폴란드
케테 크라우스
Flag of Germany (1935–1945).svg 독일
여자 80m 허들
자세히
트레비손다 발라
Flag of Italy (1861–1946).svg 이탈리아
아니 슈토이어
Flag of Germany (1935–1945).svg 독일
베티 테일러
Flag of Canada (1921–1957).svg 캐나다
여자 400m 계주
자세히
Flag of the United States (1912-1959).svg 미국 (USA)
베티 로빈슨
앤니트 로저스
해리어트 블랜드
헬렌 스티븐스
Flag of the United Kingdom (1-2).svg 영국 (GBR)
바바라 버크
바이올릿 올니
에일린 히스코크
오드레이 브라운
Flag of Canada (1921–1957).svg 캐나다 (CAN)
도로시 브룩쇼
밀드레드 돌슨
앨린 미저
힐다 카멜론
여자 높이뛰기
자세히
차크 이볼랴
Flag of Hungary (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도로시 타일러 오덤
Flag of the United Kingdom (1-2).svg 영국
엘프리에데 카운
Flag of Germany (1935–1945).svg 독일
여자 원반던지기
자세히
기셀라 마우에르마이어
Flag of Germany (1935–1945).svg 독일
야드비가 바이스
Flag of Poland (1927–1980).svg 폴란드
파울라 몰렌하우어
Flag of Germany (1935–1945).svg 독일
여자 창던지기
자세히
틸리 플라이셔
Flag of Germany (1935–1945).svg 독일
루이제 크뤼거
Flag of Germany (1935–1945).svg 독일
마리아 크바니에바카스카
Flag of Poland (1927–1980).svg 폴란드

각주[편집]

  1. 대한민국 출신인 손기정(금메달)과 남승룡(동메달)의 메달이 합산되었다. 두 선수는 일제강점기 당시 출전했기 때문에 올림픽 일본 선수단으로 참가하였다.
  2. 손기정남승룡대한민국 출신 선수이지만, 시기가 일제강점기인지라 올림픽 일본 선수단으로 출전하였다.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