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565) 2002 AW197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55565) 2002 AW197
2006년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55565) 2002 AW197.
2006년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55565) 2002 AW197.
발견
발견자 팔로마 천문대[1][2]
발견일 2002년 1월 10일[1][2]
발견지 팔로마 천문대[1][2]
명칭
임시 이름 2002 AW197
소행성 분류
소행성군 해왕성 바깥 천체[3]
큐비원족[4]
분리천체[5]
원거리 소행성체[1]
궤도 성질
(역기점 2020년 5월 31일 (JD 2459000.5))
궤도 긴반지름(a) 47.042 AU[3]
근일점(q) 40.922 AU[3]
원일점(Q) 53.161 AU[3]
공전 주기(P) 322.65년[3]
(117,848 일)
평균 공전 속도 4.307 km/s
지구와의 MOID 39.9824 AU[3]
목성과의 MOID 35.9897 AU[3]
궤도 경사(i) 24.451°[3]
궤도 이심률(e) 0.13009[3]
승교점 경도(Ω) 297.606°[3]
근일점 편각(ω) 297.494°[3]
평균 근점 이각(M) 294.532°[3]
물리적 성질
분광형 IR [6][7] · (적색)
B–V = 0.920±0.020[8]
V–R = 0.560±0.020[8]
V–I = 1.170±0.010[7]
지름 768±39 km[9]
734±116 km[10]
700±50 km[11][12]
886 km[13]
평균 밀도 2.0 g/cm³
반사율 0.112+0.012
−0.011
[9]
자전 주기 8.87±0.01 시간[14]
8.78±0.05 시간[15]
8.86±0.01 시간[16]
겉보기등급 20.0 ()[17][18]
절대등급(H) 3.568±0.046 (V)[19]
3.156±0.059 (R)[20]
3.3 (추정)[3]
평균 온도 −233°C ~ −234°C

(55565) 2002 AW197고전적 카이퍼대 천체로, 다른 천체와 공명이 일어나지 않는다. 지름은 700 km 이상으로 추정되어 왜행성 후보 천체로 거론되기도 한다.[21]

발견[편집]

2002 AW197의 궤도 모습으로, 궤도 경사는 상당히 큰 편이다.

2002 AW197은 2002년 1월 10일 캘리포니아 팔로마 천문대에서 마이클 E. 브라운을 주도로 한 팀이 발견하였다.[1][2] 발견 사실은 같은 해 7월 20일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으며,[22] 이후 소행성체 번호 55565번을 부여받았다. 특별한 이름이 부여되지 않았기 때문에, 임시 명칭을 아직 정식 명칭의 일부로서 사용하고 있다.

2002 AW197의 발견 공표 이후 1997년 12월 29일 할레아칼라 천문대에서 2002 AW197이 찍혔던 사진이 발견되었으며, 이를 통해 5년의 간격을 두고 천체를 관측한 셈이 되어 궤도를 정밀하게 계산할 수 있었다. 이후로도 허셜 우주망원경, 스피처 우주망원경, 다른 지상 망원경 등을 통한 지속적인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2020년 기준 2002 AW197의 관측 기록은 총 209개 있다.[1]

궤도[편집]

2002 AW197은 322.6년마다 태양을 한 번 공전하며, 평균 거리는 47 AU이다. 마지막으로 근일점을 지난 시점은 1754년이며, 2077년 5월에 다시 근일점 41.1 AU 지점을 지나간다.[3]

소행성체 센터에서는 2002 AW197을 역학적으로 뜨거운 고전적 카이퍼대 천체분리천체로 분류하며, 산란원반 천체로는 간주하지 않지만,[1] 심원황도탐사에서는 확장 산란원반 천체로 분류한다.[5]

물리적 성질[편집]

2004년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2002 AW197.

기존에는 다른 카이퍼대 천체와 동일하게 반사율을 0.04로 추정하여 지름을 1,500 km 가량으로 예상했지만, 허셜 우주망원경스피처 우주망원경의 관측 결과 반사율을 0.112+0.012
−0.011
로 측정하여, 지름이 768 ± 38 km로 수정되었다.[9] 2002 AW197의 크기는 큰 편으로, 정역학적 평형을 이루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따라서 왜행성 후보 천체로도 거론된다.[21] 태양과의 거리와 반사율로만 계산했을 때 표면 온도는 −233 °C ~ −234 °C 사이이다.

광도곡선 분석을 통해 얻어진 자전 주기는 약 8.8시간으로, 2002 AW197은 1번 공전할 때마다 약 320,780번 자전한다. 하지만 현재 광도곡선 관측 결과는 오차율이 30% 정도로, 논란의 여지가 있다.

표면[편집]

유럽남방천문대의 분광 관측 결과 표면은 적색을 띄며, 얼음이 검출되지 않았다.[23]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55565 (2002 AW197)”. 《Minor Planet Center》. 2018년 3월 9일에 확인함. 
  2. Marsden, Brian G. (2002년 7월 20일). “MPEC 2002-O30 : 2002 AW197”. 《IAU Minor Planet Center》. 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2010년 1월 6일에 확인함. 
  3.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55565 (2002 AW197)” (2019-03-25 last obs.).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9년 7월 13일. 2020년 2월 20일에 확인함. 
  4. “MPEC 2009-R09 :Distant Minor Planets (2009 SEPT. 16.0 TT)”. IAU Minor Planet Center. 2009년 9월 4일. 2009년 10월 4일에 확인함. 
  5. Marc W. Buie.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55565” (2009-03-23 using 112 observation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9년 10월 4일에 확인함. 
  6. “LCDB Data for (55565)”. Asteroid Lightcurve Database (LCDB). 2018년 3월 9일에 확인함. 
  7. Belskaya, Irina N.; Barucci, Maria A.; Fulchignoni, Marcello; Dovgopol, Anatolij N. (April 2015). “Updated taxonomy of trans-neptunian objects and centaurs: Influence of albedo”. 《Icarus》 250: 482–491. Bibcode:2015Icar..250..482B. doi:10.1016/j.icarus.2014.12.004. 
  8. Tegler, S. C.; Romanishin, W.; Consolmagno, G. J.; J., S. (December 2016). “Two Color Populations of Kuiper Belt and Centaur Objects and the Smaller Orbital Inclinations of Red Centaur Objects”. 《The Astronomical Journal》 152 (6): 13. Bibcode:2016AJ....152..210T. doi:10.3847/0004-6256/152/6/210. 
  9. Vilenius, E.; Kiss, C.; Müller, T.; Mommert, M.; Santos-Sanz, P.; Pál, A.; 외. (April 2014). “"TNOs are Cool": A survey of the trans-Neptunian region. X. Analysis of classical Kuiper belt objects from Herschel and Spitzer observation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64: 18. arXiv:1403.6309v1. Bibcode:2014A&A...564A..35V. doi:10.1051/0004-6361/201322416. 
  10. Stansberry, J.; Grundy, W.; Brown, M.; Cruikshank, D.; Spencer, J.; Trilling, D.; 외. (December 2007). “Physical Properties of Kuiper Belt and Centaur Objects: Constraints from the Spitzer Space Telescope”. 《The Solar System Beyond Neptune》: 161–179. arXiv:astro-ph/0702538. Bibcode:2008ssbn.book..161S. 
  11. Stansberry, J. A.; Cruikshank, D. P.; Grundy, W. G.; Margot, J. L.; Emery, J. P.; Fernandez, Y. R.; 외. (August 2005). “Albedos, Diameters (and a Density) of Kuiper Belt and Centaur Objects”.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37: 737. Bibcode:2005DPS....37.5205S. 
  12. Cruikshank, Dale P.; Stansberry, John A.; Emery, Joshua P.; Fernández, Yanga R.; Werner, Michael W.; Trilling, David E.; 외. (May 2005). “The High-Albedo Kuiper Belt Object (55565) 2002 AW197”. 《The Astrophysical Journal》 624 (1): L53–L56. Bibcode:2005ApJ...624L..53C. doi:10.1086/430420. 
  13. Grundy, W. M.; Noll, K. S.; Stephens, D. C. (July 2005). “Diverse albedos of small trans-neptunian objects”. 《Icarus》 176 (1): 184–191. arXiv:astro-ph/0502229. Bibcode:2005Icar..176..184G. doi:10.1016/j.icarus.2005.01.007. 
  14. Lellouch, E.; Santos-Sanz, P.; Lacerda, P.; Mommert, M.; Duffard, R.; Ortiz, J. L.; 외. (September 2013). “"TNOs are Cool": A survey of the trans-Neptunian region. IX. Thermal properties of Kuiper belt objects and Centaurs from combined Herschel and Spitzer observations”. 《Astronomy & Astrophysics》 557 (A60): 19. Bibcode:2013A&A...557A..60L. doi:10.1051/0004-6361/201322416. 
  15. Thirouin, A.; Ortiz, J. L.; Duffard, R.; Santos-Sanz, P.; Aceituno, F. J.; Morales, N. (November 2010). “Short-term variability of a sample of 29 trans-Neptunian objects and Centau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22: 43. arXiv:1004.4841. Bibcode:2010A&A...522A..93T. doi:10.1051/0004-6361/200912340. 
  16. Ortiz, J. L.; Gutiérrez, P. J.; Santos-Sanz, P.; Casanova, V.; Sota, A. (March 2006). “Short-term rotational variability of eight KBOs from Sierra Nevada Observatory”. 《Astronomy and Astrophysics》 447 (3): 1131–1144. Bibcode:2006A&A...447.1131O. doi:10.1051/0004-6361:20053572. 
  17. “AstDys (55565) 2002AW197 Ephemerides”.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3년 12월 14일에 확인함. 
  18. “HORIZONS Web-Interface”. JPL Solar System Dynamics. 2008년 7월 2일에 확인함. 
  19. Vilenius, E.; Kiss, C.; Müller, T.; Mommert, M.; Santos-Sanz, P.; Pál, A.; 외. (April 2014). “"TNOs are Cool": A survey of the trans-Neptunian region X. Analysis of classical Kuiper belt objects from Herschel and Spitzer observations”. 《Astronomy & Astrophysics》 564 (A35): 18. arXiv:1403.6309. Bibcode:2014A&A...564A..35V. doi:10.1051/0004-6361/201322047. 
  20. Peixinho, N.; Delsanti, A.; Guilbert-Lepoutre, A.; Gafeira, R.; Lacerda, P. (October 2012). “The bimodal colors of Centaurs and small Kuiper belt objec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46: 12. arXiv:1206.3153. Bibcode:2012A&A...546A..86P. doi:10.1051/0004-6361/201219057. 
  21. Michael E. Brown. “How many dwarf planets are there in the outer solar system? (updates daily)”.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6년 8월 31일에 확인함. 
  22. “MPEC 2002-O30 : 2002 AW197”. 《소행성체 센터》. 2002년 7월 20일. 2020년 4월 27일에 확인함. 
  23. D. Ragozzine; M. E. Brown (2007). “Candidate Members and Age Estimate of the Family of Kuiper Belt Object 2003 EL61”. 《The Astronomical Journal》 134 (6): 2160–2167. arXiv:0709.0328. Bibcode:2007AJ....134.2160R. doi:10.1086/522334.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