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새류
후새류 | ||
---|---|---|
Notodoris minor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연체동물문 | |
강: | 복족강 | |
(미분류): | 이새류 | |
(미분류): | 비공식군 후새류 ("Opisthobranchia") | |
포함하는 군 | ||
|
후새류(後鰓類, Opisthobranchs /[미지원 입력]ˈpɪsθəbræŋks/)는 대형 분류군의 일종으로 특히 복잡한 해양 복족류이다. 이전에는 이새류의 후새아강 아래에 하나로 묶어 분류했지만 이제는 더 이상 단계통군으로 간주하지 않는다.[1] 진후새류는 후새류의 하위 분류로 단계통군이지만, "전통적인" 후새류와는 차이가 있다.[2]
후새류는 두순류와 낭설류, 무순류의 군소류, 외양의 무각익족류, 유각익족류의 수많은 종들과 갯민숭달팽이류의 많은 과들을 포함하고 있다.[1]
후새류의 학명 "Opisthobranch"는 "뒤쪽의"(後, opistho) 심장 오른쪽에 있는 "아가미"(鰓, brankhia)를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한다. 반대로 "Prosobranch"(전새류, 前鰓類)는 (심장) "앞쪽의" "아가미"를 의미한다. 후새류의 특징으로 2쌍의 촉수와 심장 오른쪽의 뒷쪽에 한 개의 아가미가 있다.
분류
[편집]1931년 티엘레(Johannes Thiele)의 분류 체계는, 복족류를 전새류와 유폐류, 후새류로 나누었다. 나중에 유폐류와 후새류는 한 개의 목으로 통합되었다.[4]
린네식 분류
[편집]1848년 밀네-에드워즈(Milne-Edwards)의 후새목(Opisthobranchia) 분류
- 두순아목 (Cephalaspidea) P. Fischer, 1883
- 낭설아목 (Sacoglossa) von Ihering, 1876
- 군소아목 (Aplysiomorpha) P. Fischer, 1883
- 배순아목 (Notaspidea) P. Fischer, 1883
- 유각익족아목 (Thecosomata) Blainville, 1824
- 무각익족아목 (Gymnosomata) Blainville, 1824
- 갯민숭달팽이아목 또는 나새아목 (Nudibranchia) Blainville, 1814
- Anthobranchia Férussac, 1819
- 지새하목 (Cladobranchia) Willan & Morton, 1984
2004년 11월, 후새류를 7개의 주요 계통군으로 새롭게 정의하는 계통 분류학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5] 그러나 이 분류는 이제 더 이상 유효한 계통군으로 간주하지 않으며, 2005년 부쉐와 로크루아의 복족류 분류는 이새류에 속하는 비공식군의 하나로 분류한다.[1] 따라서 최근에는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2]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Bouchet P.; Rocroi J.; Frýda J.; Hausdorf B.; Ponder W.; Valdés Á.; Warén A. (2005). “복족류 분류 (부쉐 & 로크루아, 2005년)”. 《Malacologia: International Journal of Malacology》 (Hackenheim, Germany: ConchBooks) 47 (1-2): 1–397. ISBN 3925919724. ISSN 0076-2997.
- ↑ 가 나 Jörger K. M., Stöger I., Kano Y., Fukuda H., Knebelsberger T. & Schrödl M. (2010). "On the origin of Acochlidia and other enigmatic euthyneuran gastropods, with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Heterobranchia". BMC Evolutionary Biology 10: 323. doi:10.1186/1471-2148-10-323.
- ↑ (in Czech) Pek I., Vašíček Z., Roček Z., Hajn. V. & Mikuláš R.: Základy zoopaleontologie. - Olomouc, 1996. 264 pp., ISBN 80-7067-599-3.
- ↑ Knudsen, B.; Kohn, B.; Nahir, B.; McFadden, S.; Moroz, L. (2006년 2월). “Complete DNA sequence of th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sea-slug, Aplysia californica: conservation of the gene order in Euthyneura”.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38 (2): 459–469. doi:10.1016/j.ympev.2005.08.017. ISSN 1055-7903. PMID 16230032.
- ↑ Cristina Grandea; Josè Templadoa; J. Lucas Cerverab; Rafael Zardoya (2004).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Opisthobranchia (Mollusca: Gastropoda) based on mitochondrial cox 1, trnV, and rrnL gen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33 (2): 378–388. doi:10.1016/j.ympev.2004.06.008. PMID 15336672.
참고 문헌
[편집]- Haszprunar G. (1985). “The Heterobranchia – a new concept of the phylogeny of the higher Gastropoda”. 《Z. F. Zool. Systematik u. Evolutionsforschung Bd.》 23 (1): 15–37.
- Bieler R. (1990). "Haszprunar's "clado-evolutionary" classification of the Gastropoda—a critique". Malacologia 31(2): 371–380, 2 tabs. [28 May; G, Haszprunar's response published in Malacologia, 1990, 32(1): 195–202].
- Bieler R. (1992). “Gastropod phylogeny and systematic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3: 311–338. doi:10.1146/annurev.es.23.110192.001523.
- Verena Vonnemann; Michael Schrödl; Annette Klussmann-Kolb; Heike Wägele (2005). “Reconstruction of the phylogeny of the Opisthobranchia (Mollusca: Gastropoda) by means of 18s and 28s rRNA gene sequences”. 《Journal of Molluscan Studies》 71 (2): 113–125. doi:10.1093/mollus/eyi014.
외부 링크
[편집]- 바다 민달팽이 포럼(The Sea Slug Forum), a resource from the Australian Museum.
- Sea slugs of Hawaii
- Born to be Wild: Sea Slugs, retrieved 30.4.2008
- Various opisthobranch species from Indonesia, Philippines and Thailand
- Nudi Pixel Nudi Pixel is a web-based identification tool for opisthobranchs worldw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