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和順 雙峰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一括)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1726호
(2011년 11월 1일 지정)
수량21구
시대조선시대
소유쌍봉사
위치
화순 쌍봉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화순 쌍봉사
화순 쌍봉사
화순 쌍봉사(대한민국)
주소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리 741 쌍봉사
좌표북위 34° 53′ 15″ 동경 127° 3′ 38″ / 북위 34.88750° 동경 127.06056°  / 34.88750; 127.06056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화순쌍봉사지장전지장보살상일괄
(和順雙峰寺地藏殿地藏菩薩像一括)
대한민국 전라남도유형문화재(해지)
종목유형문화재 제253호
(2001년 6월 5일 지정)
(2011년 11월 1일 해지)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和順 雙峰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一括)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봉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보살상이다. 2011년 11월 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726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편집]

화순 쌍봉사 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상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과 「綾州地獅子山雙峰寺諸殿記文輯錄」과 「雙峰寺事蹟記」등을 통해 이 상은 1667년경 雲惠를 비롯한 그의 일파 조각승들이 참여하여 제작한 불상임을 알 수 있다. 작품의 경향은 조선후기 17세기 중·후반 전라도 일대에서 크게 활약했던 조각승 운혜의 조각 경향을 잘 간직하고 있고,더불어 과거에 시문된 고색 찬연한 채색문양이 잘 보존되어 있다. 곧 이 시왕상과 권속상들은 회화와 조각이 잘 어우러진 불상으로 조선후기 채색불상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각승 운혜는 17세기 전반을 활약했던 守衍-靈哲의 계보를 잇는 조각승으로 그의 조각 경향은 敬林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는 특히 입체적이고 건장하면서도 중량감 넘치는 선 굵은 조각 경향을 선호하였는데,쌍봉사 지장시왕상에서도 이러한 조각 경향이 잘 나타나고 있다.특히 이 지장보살상에서 발견된 조성기를 통해 이 상은 1667년경에 조성된 것이 확실하므로 아직 제작연대가 밝혀지지 않은 해남 대흥사 지장시왕상, 강진 백련사 지장시왕상,해남 미황사 지장시왕상,순천 동화사 지장시왕상,순천 정혜사 지장시왕상 등 운혜파의 조각으로 추정되는 조각상들의 조성연대 추정에 실마리를 제공하는 귀중한 자료로 판단되고, 더불어 이 중에서 冥界彫刻이라는 종교적 엄숙성과 17세기 불교 조각계가 추구한 대중적 평담성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화순 쌍봉사 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17세기 중·후반경 활발한 조각활동을 펼친 조각승 운혜의 불상양식 연구와 운혜파 조각승의 조각활동과 경향을 시기별로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자료

[편집]